이 여행은 전혀 외롭지 않았다. 그 길 위에서는 절대로 그럴 일이 없었다. 불필요한 장비를 모두 벗겨낸 포드 자동차를 탄 폭주족들이 16분의 1인치 틈을 두고 앞 차의 팬더에 바짝 붙기는 했지만 용케들 피해가며 교통의 흐름 속을 들락날락하면서 질주하고 있었다. 먼지를 뒤집어 쓴 쿠페나 세단을 탄 피곤한 남자들은 움질하며 핸들을 쥔 손에 더 세게 힘을 주고 집과 저녁식사, 스포츠란을 읽는 저녁, 쾅쾅 울려대는 라디오, 징징 울어대는 버릇없는 아들, 주절대는 멍청한 아내를 위해 북쪽이나 서쪽으로 고생하며 나아가고 있었다. 나는 계속 차를 몰아 야한 네온사인들과 그 뒤에 숨어 있는 위장 영업소들, 알록달록한 빛 아래서는 궁전처럼 보이는 허름한 햄버거 가게, 강인하고 날카로운 눈빛의 웨이트리스들이 서커스에서처럼 즐겁게 돌아다니는 원형 드라이브인 식당, 환한 카운터, 두꺼비도 독살할 수 있을 것 같은 땀과 기름으로 범벅이 된 부엌을 지나쳐갔다. 거대한 더블 트럭들이 월밍튼이나 센페드로에서부터 세풀베다를 넘어 덜거덕거리며 지나가 리지루트 쪽으로 건너가더니, 신호등 앞에서 동물원의 사자가 으르렁대는 듯한 낮은 소리를 내며 시동을 건 채로 멈춰 섰다.
---------
토요일, 테크노마트에서 10시간 시달리고 난 후에 차를 타고 돌아가는 길에 떠오른 구절. <리틀 시스터>에서 가장 좋아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내가 느낀 서울의 강변 북로는 이미 챈들러가 느낀 선샛 대로의 손아귀에 있었다. 챈들러는 씹으면 씹을수록 맛있는 오징어 같다. 가끔은 쓰기도 하지만...<리틀 시스터>는 짜증나고, 지치고, 누구에게 대들고 싶을 때 읽으면 후련하다. <안녕 내사랑>이나 <기나긴 이별>에 못지 않은 과소평가받는 작품이라는 생각도... -135~1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