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
오츠이치 지음, 김수현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올해 중점적으로 소개 되는 작가중에 하나인 오츠 이치. <여름과 불꽃과 나의 사체>, <GOTH> 등이 소개되었거나 소개될 예정이라고 한다. 17세의 나이로 데뷔하여 천재성을 과시하였다고 하며, 현재 작가 겸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기존에 소개된 <쓸쓸함의 주파수>나 <너밖에 들리지 않아>는 평도 그렇게 좋지 않았고, 비교적 관심없는 장르였기 때문에 그냥 지나쳤지만, 이 작품은 믿을만한 리뷰어들의 평도 괜찮고 해서 호러 소설을 그닥 열심히 읽지 않지만 시간을 내서 읽어 보았다.

읽고난 느낌은, 좀 과대평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면 찬사 때문에 내 기대치가 너무 높았던 게 아닐까 싶기도 하고...일단 오츠 이치의 묘사-가독성 면에서는 일정 수준을 자랑하는 일본 작가들 중에서도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는 훌륭하다. 일부 미스테리적 요소를 차용한 작품도 있지만, 호러/SF등이 섞여있는데다가 과장광고(?)에 실망하면서도 꾸역꾸역 끝까지 읽을 수 있었던 것은 오츠 이치의 장점이 뛰어난 문장력에 있다는 증거일 것이다. 추리/호러/SF 등의 다양한 장르를 실험하면서도 최소한 평균적인 수준의 단편들을 배치할 수 있었다는 것도 이 작가의 기본기가 튼튼하다는 반증일 것이고...상투적인 이야기들에서 소재를 잡아서 자신만의 재능으로 돋보이게 하는 재주가 있다. 

하지만 그가 보여주는 상상력이라는 것이 기존에 다 나와있던, 그것도 대단히 유명한 구조를 차용하고 있다는 점이 거슬렸다, 내가 실망한 부분은 여기서부터였다. 천재라 할때, 독창성이라는 항목이 빠져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데, 오츠 이치는 그런 점에서 실격이다. 장르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알법한 구조를, 그것도 너무나 유명한 이야기들의 원형을 버젓이 가져다 놓았는데, 천재라고 하기는 조금 뭣하다. 작품이 출간된 시간차를 고려하더라도 내 결론은 오츠 이치는 뛰어난 작가이지만 (이 작품만 놓고 보면) 천재는 아니라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볼까. 표제작인 <ZOO>가 그렇게 뛰어난가? 이 정도의 싸이코 서스펜스는 꽤 있지 않은가? <카자리와 요코>도 마찬가지고. 그리고 <양지의 시>는 너무 노골적이라서 결말부분에서 허탈했고...내가 무덤덤한 탓인지도 모르겠으나 다른 분들이 말씀하시는 등장인물간의 아름다움이 그렇게까지 좋지는 않았다. 오히려 욕심없이 장르의 전형성에 충실한 <Seven Rooms이>나 <Closet>가 가장 만족스러웠던 것은 이 작가의 장점과 한계가 어디까지인지를 알려주는 사례라고 생각한다.(게다가 내 자신의 취향도 결합했을 것이다.)

출간 당시의 일본 내 찬사를 그대로 가져왔는지 시간차로 인해서 과장광고(?)로 느껴지는 띠지와 소개에 반감을 가져서 상대적으로 박한 평가를 준다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이 작품은 뛰어난 가공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원천기술은 보유하지 못한 회사의 제품을 접한 느낌이었다. 나머지 두 작품은 이 작품보다는 낫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