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아동 수집가 1
자비네 티슬러 지음, 권혁준 옮김 / 창해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제목에서 말해주듯이 소아성애를 위해 아이를 유괴 살해하는 연쇄살인범의 이야기이다. 모든 범죄야 나쁜 것이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혐오하는 범죄는 유괴와 소아성애이다. CSI : Miami S1의 에피소드를 본 직후에 책을 읽기 시작해서인지 약간 분노한 상태로 읽었다.   

시나리오 작가답게, 데뷔작이라고는 믿을 수 없는 작중 인물의 심리묘사가 가장 큰 장점이다. 유괴를 다루는 소설의 경우, 일장 부분 정형화 될 여지가 높은 편이고, 이 작품도 그러하지만, 장르의 피로감 없이 읽을 수 있는 것은 시나리오 작가로 단련된 작가의 필력 때문일 것이다. 첫 장부터 등장하는 연쇄살인범의 심리와 범행과정이 쉬이 분노를 자아내는 것은 단순히 소재의 자극성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영리하게도 범인과 추적자 뿐만 못지않게 피해자와 남겨진 주변 사람들에 대한 상처를 구구절절하게 묘사하는데에도 공을 들였기 때문에 몰입도는 더욱 컸다. 물론 나의 혐오감이 양념으로 들어가긴 했지만, 아마도 대부분의 독자들이 쉬이 공감할 수 있으리라 본다. 헤닝 만켈의 책이나 <그들만의 조국> 혹은 <웃는 경관>에서 느낄 수 있는 무뚝뚝하면서도 음습한 작품의 분위기도 마음에 들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데뷔작의 한계 또한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매조지하는 힘이 약하다. 초반부의 가해자-피해자의 심리묘사는 매우 촘촘하고 공감대 혹은 분노를 형성하는데 반해서, 범인과 추적자 간의 그것은 미진하다. 첫장부터 등장하는 연쇄살인범의 존재 때문에 초반부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는 있었겠으나 범인의 정체가 밝혀짐으로서 얻을 수 있는 충격효과도 사라지기 때문에 후반부에서 강렬한 서스펜스를 보여주지 못한다면 아쉬움은 더 클 수 밖에 없다. 데뷔작이라는 한계라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지나치게 맥없이 풀린다. 개인적으로 어떤 종류의 이야기에 있어서 조삼모사를 믿는데, 아침에 3개 먹고 저녁에 4개 먹나, 아침에 4개 먹고 저녁에 3개 먹은 것이 숫자상으로 같을 수는 있겠지만, 그것의 대상이 이야기라면 전자가 더 낫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더 아쉬운 면이 있다. 그리고 정형화된 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연대기적 구성을 피하고 있는데, 역효과라는 생각도 들었다. 작가의 묘사수준을 생각하면, 차라리 정공법으로 밀어붙이는 것도 어땠을까 싶다. 

게다가 데뷔작의 한계라고만 볼 수도 없는 것이 그렇게 철저한 범인이 뒤로 가면 지나치게 느슨해지고, 인물들의 행동도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 게다가 교코쿠도도 아닌데 에필로그만으로 한 권 분량의 이야기를 쓴 것은 솔직히 과욕이라고 본다. 더 압축적으로 접근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전체적으로 좋은 점도 있고 아쉬운 점도 있기에 최고라고 말할 수는 없으나 미스테리의 계절인 여름에 읽어볼법한 작품인 것 같다. 

추신) 도대체 여자주인공은 몇 살인가? 에피소드가 뒤섞이면서 생긴 오류인 듯 싶다. 30대 중반일 수가 없는데...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8-17 17:3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