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고흐 미술관 마로니에북스 세계미술관 기행 1
파올라 라펠리 지음, 하지은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흐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던 단편적인 지식은 불우했던 사나이, 자신의 귀를 스스로 잘라버릴 만큼 광기 가득한 모습, 그의 라이벌이라 생각했던 고갱 정도였다.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보았던 「자화상」이나 「해바라기」같은 작품 밖에는 알고 있는 것이 없었다. 

이 책은 세계 미술관 기행 시리즈의 첫 번째인 암스테르담의 <반 고흐 미술관>이다. 책을 읽는 동안 직접 미술관을 관람 하는듯한 느낌을 받았다. 가이드의 설명을 들으며 작품을 감상 하는듯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실제로 작품을 보았다면 더 큰 감동을 받았겠지만 책속에 실려 있는 그림으로도 여러 가지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먼저 반 고흐 미술관이 설립되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해 놓고 있다. 고흐의 든든한 후원자이자 동생인 테오, 그의 아내 요안나, 테오와 요안나의 아들인 빈센트 빌렘, 이들의 노력으로 고흐의 작품은 잘 지켜질 수 있었고 마침내 그의 이름을 딴 미술관을 개관할 수 있었다. 생전에는 인정받지 못했던 그의 작품들이 지금은 아름다운 미술관에 전시되고 있다.

작품 하나하나 마다 그 그림을 그리게 된 배경이나 주변사람들과의 관계, 작품의 간단한 해설을 덧붙여 놓았다. 고흐에 대한 배경지식이나 작품을 잘 알지 못하는 나에게 작품을 감상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고흐의 생애에 대해 작품의 변화와 함께 설명하고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아니다. 작품이 중심이기 때문에 고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부족하다.

1890년 고흐가 자살하기 전까지 많은 그림을 그렸지만, 그중에서 1888년 작「복숭아 나무」가 가장 마음에 들었다. 꽃이 핀 나무를 주제로 그린 삼부작 중 하나인데 화려하고 강렬한 색채가 멋지다.

고흐에 대한 나의 편견 중 하나가 고흐의 작품은 어둡고 딱딱하다는 것 이였다. 어둡고 무거운 색채의 작품만 보아서 그랬는지, 고흐의 불우했던 삶이 떠올라서인지 모르겠지만 고흐의 작품을 우울하고 어둡게 보았었다. 그런데 책 속 작품들 중에는 꽃과 나무 같은 밝고 긍정적인 소재로 그린 그림도 많이 있었다. 특히「복숭아 나무」나「도비니의 정원」,「꽃이 핀 아몬드 나무」같은 부드럽고 화려한 색채의 작품들이 마음에 들었다. 

마지막에는 미술과 관람에 관한 간단한 정보가 실려 있다. 반 고흐 미술관에 기회가 되면 꼭 가보고 싶다. 책 속에서만 보았던 작품들을 실제로 보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