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육아의 사회학 - 스스로 ‘정상, 평균, 보통’이라 여기는 대한민국 부모에게 던지는 불편한 메시지
오찬호 지음 / 휴머니스트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겉보기 사회적 위치가 어느정도 레벨이 되었는지 스스로는 종종 잊는다. 내가 어느정도의 나이로 보이는가를 잊는다는 것이다. 마음은 늘 스물 여덟 정도로 살아가는 나로써는 좀 아줌마로 보이는 현실을 부정하고 싶은 것일터. 가끔 미용실이나 옷가게에서 나의 겉보기 나이를 짐작할 수 있는데, 모두가 나를 ‘언니’로 부르기 때문이다. 나도 미용실 언니를 언니로, 옷 가게 언니를 언니로 부르니까, ‘언니’는 그냥 대강 나이를 모르는 여자를 지칭하는 말일지도 모르지만. 뭐, 처음 보는 사이에 아줌마로 불렀다가 서비스직의 본분을 잊었다느니 기분나빠서 거기 안가면 안되니까. 언니로 수렴되는, 몇 번의 방문으로 뭔가 편안한 분위기가 되면, 그녀들은 묻는다. 결혼해도 괜찮으냐고. 애 키우기 괜찮으냐고. 불쌍해보이나, 내가?

최근에는 두 언니가 나에게 그런 질문을 했다. 나야 물론 이럴 때마다 ‘나만 당할 수 없지’의 심정으로 결혼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가능하면 아이도 낳고 결혼하는 것이 좋다는 식으로 은근 농담을 던진다. 그러고는 친정 동생을 대하는 심정으로 결혼의 장단점을 읊는다. 그들도 다 들어보았을 말을. 살림, 시댁, 육아에 관한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을 공포로 몰아넣는 출처가 분명하지만 그 수가 너무 많아 일반적이 된 호러물 스토리들을. 이때 호감이 가는 여성이라면 결혼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을 꼭 더 붙인다. 그 남자만 보일 떄 결혼하면 안된다고. 그 남자에 딸린 모든 식구가 따라오며, 당신도 혼자 시집가는 것이 아니라 가족을 업고 가는 거라고. 아니고 싶지만 그렇다고. 그러면 언니들은 고개를 끄덕이고 ‘그렇죠 그렇죠’하며 맞장구를 치다가 결국 자신이 점찍어 놓은 그 남자 하나에 대한 아쉬움과 연애의 피로를 토로하기 마련. 나야 머리 손질을 끝내고, 옷가게를 나오면 그만이지만 내 말은 가게를 맴돌며 그녀돌의 마음을 스치다 다음 언니에게 질문이 옮겨가겠지. 어떤 선택을 하던지 후회하는 성격이라면, 둘 다 후회할 거고 후회없는 성격이라면 비혼으로 살아도 후회없겠지. 결국 못 가본 길에 대한 기회비용 아닌가. 최근 미용실 언니가 그만둔 것으로 보아, 결혼하나보다. 축하해 주고 싶으나 심정은 말이되어 나오지 않는다.

오찬호님의 <결혼과 육아의 사회학>을 읽었다. 결혼해서 애를 낳기 전에는 이해하기 힘들 말들. 나도 몰랐던. ‘왜 다들 이렇게 힘들다고 말 안해준거야?’가 아니라 사실은 다 말해줬는데 내가 골라들었던 것들. 언제 결혼하느냐 묻는 무례한 말들부터 육아서의 육아간섭과 사교육으로 불어닥치는 옆집 엄마들의 공세까지. 대한민국에서 지금, 아이를 낳아 기르는 모두에게 무릎을 치게, 아니 가슴을 쥐어 뜯게 할 글들. 하지만 책 표지의 글처럼 스스로 정상, 평균, 보통이라 여기는 대한민국 부모들은 이 책을 잠깐의 불편함으로 느끼고, ‘다들 불편하군’ 위로하며 결국 스스로를 토닥이고, 다시 정상, 평균, 보통의 육아로 돌아갈 터. 모두가 불편해서 모두가 이것을 바꾸는 일은 언제 또 일어날까.

다행이라면 오찬호님과 비슷한 세대라, 함께 사회의 아픔을 쏙쏙 파고들어 조망할 수 있다는 것. 아니야, 이건 다행이 아닌것 같다는 슬픈 느낌. 망했어. 이번 생애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