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낌의 공동체 - 신형철 산문 2006~2009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느낌의 공동체 -신형철 평론에 관하여-

평론가 신형철은 섬세하고 다감하고 친절하다. 그는 해부용 메스로 시들을 분석하지 않는다. 그가 시를 진단하는 도구는 공감의 청진기다. 그는 귀에 청진기를 꽂고 고개를 숙이고 자기의 숨을 멈추고 가만 시에 귀 기울인다. 평론가 신형철에게 시는 삶을 앓고 있는 이들(시인들)이 힘없이 나직이 얕게 내뱉는 신음 소리이다. 그래서 이 소리들은 가까이 다가가 조용히 들어야만 하는 소리이다. 그는 시어 하나하나를 아픈 이의 호흡처럼 읽는다. 그렇게 이 훌륭한 내과 의사는 시인의 느낌에 진입하게 되고 시인의 세계에 공감하게 되고 시인과 같이 아파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시인 허연이 10년 동안 시를 접었다가 다시 쓰게 된 상황을 진단하며 그는 이렇게 말한다. “이 시인의 마음에도 슬픈 신경질이 차곡차곡 쌓였던가 보다.” 또한 조용미의 <검은 담즙>에 대해 “얼마나 깊은 비애가 이런 이미지를 만드는가.”라 말한다. 제 숨을 멈추고 시인의 숨과 결을 같이 하며 시인의 아픔에 참여할 줄 아는 다정한 평론가, 내게 그는 그런 평론가이다. 이런 평론가와 만난다는 것이 시인들에게 더없는 행운일 것이다. 그래서 이 따뜻한 의사 선생님 주변에는 앓는 이들이 많이 찾아온다. 시인들의 친구, 평론가 신형철.

그러나 바로 이러한 이해심 많은 마음씨 고운 평론가의 모습이 권성우가 비판하고 있는 지점은 아닐까? 평론가 권성우는 “진정한 의미의 정신과 정신의 만남은 일방적인 동화의 과정이 아니라”고 말하며 “제대로 된 비평은 텍스트와의 황홀한 연애 그 이후에 있는 것이”라 밝힌다. 권성우는 비평은 “가치 비평”과 “해설(해석)”이라는 두 날개로 이루어지는 작업이라 말하며 현재 한국에서의 비평은 후자에 치우친 “해석과 설명 위주로 전개되는, 즉 지나치게 작품에 종속되면서 냉철한 가치판단을 상실한” 비평이라 말한다. 지금의 비평에는 비판은 없고 친절한 작품 해설만 있다는 문제제기이다. 실제로 신형철의 글은 가치판단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두드러지지 않는다. 신형철의 글을 읽으면 최대한 작품에 몸을 밀착시켜 작가의 호흡을 느끼고 자신이 느낀 바를 독자에게 설명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는 것이 역력하게 보인다. 이런 작품에의 강한 애정이야 말로 신형철이 가진 장점임에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그의 평론에는 안타깝게 그 작품이 문학사의 맥락 안에서 어떤 지점에서 훌륭한 작품인지, 이전의 작품들과 비교할 때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지, 또한 나아가 그 작품이 가진 한계는 무엇이며 작가의 향후 지향점은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분석과 평이 분명 부족하다. 즉, 작품과 보다 객관적인 거리를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이 신형철의 한계라 할 수 있지 않을까?

“나는 여기서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 이 시들 앞에서 그 무슨 심리학적 방법론 따위들을 동원할 수가 없다. 나는 그를 시인으로만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니다. 지금은 그러지 못하고 있지만, 2000년 이후 몇 년간 나는 그와 거의 매일 만났다. (......) 그런데 어떻게 이 시들의 깊은 곳에 서글픈 이론들을 들이댈 수 있겠는가.” 그와의 대학원 동학인 이수정의 시들을 이야기하며 남긴 신형철의 말이다. 물론 이 책(느낌의 공동체)이 본격적 평론집은 아니나, 분명 평론적 성격을 담고 있는 글들이 상당수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그렇기에 이토록 가까운 사적관계에 있는 이의 작품을 이만큼 주관적, 정서적 방식으로 다루는 것은 “평론가”가 보여주기에는 너무 순진한 태도 아닌가? (필자의 생각에는 이수정의 작품들에 대해서는 오히려 침묵했어야 옳았다)

또한 앞서 말한 대로 이 다정한 평론가가 직간접적으로 여러 경로를 통해 밝혀왔듯 많은 시인과 작가들의 (사적)친구임이 분명하다면 신형철이 그동안 보여주었던 방식의 평론(가치평가가 결여된 평론)으로는 권성우의 말처럼 주류 출판언론에서 작가들과 소위 “침묵의 카르텔”을 형성하여 문화 권력의 중심에서 제 식구 감싸기식 평론을 쓴다는 불명예스런 혐의에서 자유롭기도 어려울 것이다. 그렇기에 평론가 신형철에게는 작품(작가)와의 밀착을 통한 깊은 이해와 공감 이후의 가치평가가 병행된 냉정한 비평(날선 비판을 포함하는)이 필요한 것이다.

공감의 청진기를 사용한 진료 이후 필요하다면 냉철한 눈빛을 품고 날카로운 메스로 환부를 도려내는 외과의사의 전문성을 보여주는 평론가 신형철의 글을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