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마일스가 적은 바로는, 
이 모든 사실의 요점(앵무새 죽이기에 대한)은 삶에서 상처는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라는 것이었다. 어떤 식으로든 상처를 입어보아야만 한 인간이 될 수 있다.  - P2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는 그 백인을 투안 짐"이라고 불렀는데, 짐을 언급하는 그의 어조는 친근함과 경외심이 기이하게 섞여 있어서 주목할 만하더군.
  
‐‐----‐
56) ‘투안(tuan)‘은 말레이 - 인도네시아어에서 영어 낱말 lord‘ 혹은
‘master‘에 해당하는 말인데, 존칭어로는 Mr.‘ 혹은 ‘Sir‘ 처럼 쓰인다. 이 소설의 제목 Lord Jim‘은 ‘Tuan Jim‘을 영어로 번역한 것이다. - P44

「잔인하고 끔찍한 파국에 처해 보아야만 비로소 우리에게서 진실을짜낼 수 있는 법이니까, ...

...
「어쨋든 그건 일종의 깨침이었어. 사람에 대한 판단으루내일 때 우리는 그의 친구뿐만 아니라 적까지도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 법이다....... - P162

"인간이란 주변 사람들에 비해 별로 더 나쁘지 않으면서도 이따금 아주 간악하게 행동할 때가 있다오." - P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때가 되자 아직 젊은 나이인데도 그는 좋은 배의 1등항해사가 되었다. 하지만 바다에서의 어려운 사건들이 가하는 시련들은 아직 겪지 못하고 있었다.
 이런 사건들을 겪어야만 한 인간으로서의 내면적 가치와 기질적 특성 및 사람됨 따위가 백일하에 밝혀질 것이고, 선원의 저항력이지닌 성격이라든지 그가 외면적으로 내세우는 것들의 은밀한 진실이 다른 사람들에게 뿐만 아니라 선원 자신에게까지 드러나게 되는데도 말이다. - P2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시련들은 처음에는 기습하듯 닥쳐오지만, 결국 우리를 역사의 정확한 지점들로 인도해 줄 뿐이야. 아포칼립스, 너의 혼종 발명, 모든 게 내게 순수한 화합의 순간으로 느껴지는 이 순간으로 수렴돼.」 - P152

「그들은 종으로서 사춘기의 반항을 거치는 중이나 마찬기지야. 대립하는 힘들과 맞서면서 자기 존재를 뚜렷이 굳히고 정체성을 발견하지. 폭력은 성숙해지는 과정의 일부야. 하지만 그 파괴적인 시기에만 갇혀 있어선 안 돼. 그들이 이고비를 넘기고 계속해서 진화하도록 내가 도와야해.」 - P159

백과사전: 삼체 체계

삼체문제는 아이작 뉴턴이 최초로 언급했다.

태양하나와 행성 하나로 구성된 행성계에서는 그 유일한 행성의 궤도를 예측할 수 있다. 타원이다.

태양 하나와 행성 두 개로 구성된 행성계에서도 역시 두행성의 궤도를 예측할 수 있다. 타원과 외파선(타원의 굽은부분)이다.

그러나 태양하나와 행성 세 개로 구성된 계에서는 무엇도주기적이지 않고, 따라서 아무것도 예측할 수 없다.

이처럼 뉴턴은 두 천체가 있는 세계에서 세 천체가 있는세계로 넘어가면 궤도 예측 계산이 완전히 불가능해지는 수준의 복잡성이 발생함을 입증했다.
더 넓은 의미에서, 모든 이체 체계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모든 삼체 체계는 불안정하고 예측 불가하다.
- 에드몽 웰스,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과사전: 네겐트로피

엔트로피의 법칙은 1824년 프랑스 물리학자 사디 카르노가저서 『불의 동력에 관한 고찰』에서 처음 제시한 개념이다.
이 열역학 법칙이 서술하는 바는, 방치된 상태에서 만물은 자연스럽게 무질서와 혼란쪽으로 간다는 것이다. 더 간단히 말해 시간이 감에 따라 모든 것이 저하한다고 할 수 있다.

많은 물리학자가 우주 그 자체는 한 점에 불과하며, 폭발하고 공백 속으로 퍼져 나가면서 매 순간 조금씩 복잡성과 무질서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본다.
과일이나 고기 한 조각을 공기 중에 내버려두면 그 형태와 모양새가 퇴락한다. 썩고 악취를 풍긴다.

엔트로피 법칙에 따르면, 이런 혼란을 억제하려면 시스템에 새로운 정보를 주입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네겐트로피다. 이 두 번째 개념은 대표적으로 미국 수학자 클로드 섀넌이 1956년에 발전시켰다.

네겐트로피는 새로운 외부 정보가 명하는 회복하고, 결합상태를 되찾고, 변화하라는 제안이며, 이는 한정된 시간 동안시스템 붕괴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우리는 생 전체를 네겐트로피로 볼 수 있는데, 생은 한조직, 구조, 형태, 효율적인 작동 방식을 최대한 오래 보존하려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생명체는 노화하고,
육체는 쇠락하며 생은 중지된다. 그 이후 시체는 계속해서 퇴락한다. 
세포, 개인, 단체, 기업, 종, 우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모든 것이 태어나고 성장하고, 성숙하고, 늙고, 죽고, 퇴락한다.
엔트로피의 법칙은 영속적인 반면 네겐트로피의 법칙은 국지적이고 일시적일 뿐임을 인정하는 수밖에 없다.
- 에드몽 웰스,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 P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