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친밀한 대화를 원하지만 똑똑한 놈들은 속내를 드러내지 않고 바보들만 술술 떠벌린다. 똑똑한 놈들은 그런 바보들에 대해 친밀한 대화를 나누며 그들을 유심히 관찰하고 조언을 한다. 나는 왜 이런 상황을 허용했을까? - P57

" 미치광이인 동시에 제정신일 수도 있죠. 요즘은 누가 어떤 사람이라고 확신할 수도 없는 시대쟎아요." - P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들러보렴. 선생님은 그렇데 말씀하셨다.
세상은 음악으로 가득하단다.
들어보렴. 진. 귀를 기울여봐. 세상에 가득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사람나이 자기 음악을 낳을 수 있는 법이니까. - P3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전에 내 최악의 적이라 여겼던 이의 죽음이 내 가슴을 이렇게까지 울릴 줄은 몰랐어.
피에르, 당신이 없었다면 우리의 모험은 한참 전에 끝났으리라는 걸 잘 알아. 

때로는 우리의 반대자들이 같은 편보다 우리를 더빠르고 멀리까지 진보시킨다는 것, 당신은 바로 그 증거야. -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과사전 : 파울 키메러

영국 작가 아서 쾨슬러는 어느 날 과학계의 사기들에 대한 저작을 집필하겠다고 마음먹었다. 연구자들에게 물어본 결과 가장 딱한 사건은 파울 카메러가 연루된 경우라는 한결 같은 답이 돌아왔다.

 카메러는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였고 1922년에서 1929년 사이에 주요 발견들을 해냈다. 그는 말주변이 좋고 매력적이며 열정적인 사람이었고, <살아 있는존재는 모두 자기가 사는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고 그적응의 결과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이론은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의 변이론과 궤를 같이했고 다윈의 이론과 상충했는데, 다윈은 이미 적응한 존재만이 살아남는다고 보았다. 
.....
비교적 최근의 조사로 키메러는 자살한 것이 아니었으며 그의 작별 편지는 위조였음이 드러났다. 사실 자살로 가장한 살인이었던 것이다. - P56

백과사전: 더닝-크루거 효과

1999년, 미국의 두 심리학자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는 한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심리적 역설을 설명했다.

가장 부족한 사람들은 전혀 의심 없이 자신이 능력 있다고 믿는다. 
반대로 가장 뛰어난 사람들은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의심하고 <가면 증후군>에 시달릴 수 있다. 
이 역설은 <더닝-크루거 효과>라 불리게 되었다.

이 분석을 좀 더 발전시키면서, 두 심리학자는 이것이 기업 내의 일반적 법칙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무능한 사람일수록 제 실력에 대해 의문을 덜 제기한다. 그리고 실제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일수록 의구심에 가득 차 있다.
- 에드몽 웰스,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 P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말했습니다. <인간 진보의 결과 중 모두의 찬성으로 얻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리고 남들보다 앞서 빛을 알아보는 이는 다른 이들의 의견을 거스르고 빛을 향해 가야하는 운명에 처한다.>」 - P32

「우리 어머니는 말씀하셨어요. <뉴스를 보고 세상을 이해하려는 건, 시 병원 응급실에서 일어나는 일을 보면 그 도시를 알 수 있다고 하는 거나 마찬가지야.> 알리스는 음료를 한 모금 마시며 말한다. - P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