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수업을 듣는 여자애 아버지를 문병가서 오이를 먹었어. 그랬더니 그 사람도 먹고 싶다면서 아직아작 씹어 먹었어. 그런데 닷새 후 아침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어. 

그가 오이를 씹을 때 내던 아작, 아작, 하는 작은 소리가 아직도 내 기억에 생생히 남아 있어. 사람의 죽음이란 아주 사소하고 묘한 추억을 남기는 것 같아, 하고. - P334

"넌 뭔가를 착각하는 것 같은데, 사람이 누군가를 이해하는것은 그럴 만한 때에 이르렀기 때문이지 누군가가 상대에게 이해받기를 바라서 그렇게 되는 게 아니야." - P354

"자신을 동정하지 마." 라는 나가사와의 말을 갑자기 떠올렸다.
"자신을 동정하는 건 저속한 인간이나 하는 짓이야." - P413

"인생이란 비스킷 깡통이라 생각하면 돼."

나는 몇 번 고개를 젓고 미도리 얼굴을 보았다. "내 머리가나쁘기 때문일 테지만, 때로 네가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가 안갈 때가 있어."

"비스킷 깡통에는 여러 종류 비스킷이 있는데 좋아하는 것과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이 있잖아? 그래서 먼저 좋아하는것을 먹어 치우면 나중에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만 남는 거야. 나는 괴로운 일이 있으면 늘 그런 생각을 해. 지금 이걸 해두면 나중에는 편해진다고. 인생은 비스킷 깡통이라고." - P419

‘죽음은 삶의 대극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 속에 잠겨있다.‘
그것은 분명 진실이었다. 우리는 살면서 죽음을 키워 가는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배워야 할 진리의 일부에 지나지 않았다. 나오코의 죽음이 나에게 그 사실을 가르쳐 주었다.

어떤 진리로도 사랑하는 것을 잃은 슬픔을 치유할 수는 없다.
어떤 진리도, 어떤 성실함도, 어떤 강인함도, 어떤 상냥함도,
그 슬픔을 치유할 수 없다. 우리는 그 슬픔을 다 슬퍼한 다음 거기에서 뭔가를 배우는 것뿐이고, 그렇게 배운 무엇도 또다시 다가올 예기치 못한 슬픔에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  - P4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 천박한 작자들일수록 바람만 조금 바뀌어도 큰소리를 내거나 기가 죽어 버리거나 하는 것이다. - P88

"어떤 사람들한테 사랑이란 그렇게 아주 사소하고 쓸데없는 데서 시작되는 거야. 그런 게 없으면 시작되지가 않아." - P138

‘내가 가장 두려운 것은 그렇게 죽어 가는 거야. 천천히 죽음의 그림자가 생명의 영역으로 파고들고 문득 정신을 차려보니 아무것도 안 보이는 어둠이 깔렸고, 주변 사람들도 산사람이 아니라 죽은 사람으로 바라보는 상황. 그런 거 정말 싫어. 절대로 견딜 수 없어, 난."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음은 삶의 대국이 아니라 그 일부로 존재한다.

말로 해 버리면 평범하지만 그때 나는 그것을 말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공기 덩어리로 몸속에서 느꼈다. 문진 안에도 당구대 위에 놓인 빨갛고 하얀 공 네게 안에도 죽음은 존재다. 우리는 그것을 마치 아주 작은 먼지 입자처럼 계 속으로빨아들이며 살아가는 것이다.

그때까지 나는 죽음이란 것을 완전히 삶에서 분리된 독립적인 존재로 이해했다. 다시 말해 ‘죽음은 언젠가 우리를 잠아 챌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말하자면 죽음이 우리를 움켜쥐는 그날까지 우리는 죽음에게 붙잡히지 않는다‘라고. 그것은 나에게 너무도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었다. 삶은 이쪽에 있고 죽음은 저편에 있다. 나는 이쪽에 있고 저쪽에 있는 게 아니다.
...
삶의 한가운데에서 모든 것이 죽음을 중심으로 회전했다. - P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중플레이를 상대할 땐 말이야, 완벽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이점(利點)을 추구해야 돼」  - P276

「사람마다 동정할 수 있는 마음의 용량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만약 우리가 그런 동정심을 사소한 것에 다 모두 써버린다면 우리는 정말 중요한 일,그러니까 세상의 이치라는 핵심에는 접근하지 못하게 돼. 나의 이런 생각을 자네는 어떻게 생각하나?」 - P2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술가는 근본적으로 상치되는 두 가테이블의지 사항을 서로 조화시켜 굴러가게 만드는 사람입니다. 그런예술가로 누가 생각납니까?」「스콧 피츠제럴드.」 
스마일리는 그렇게 대답했지만 속으로 블랜드가 빌 헤이든을 의중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그래요. 피츠제럴드도 인생의 한두 가지 측면을 알고 있었지요.」 - P224

「퍼시 말인가? 카를라가 아니라면 누구겠나? 하층 계급의 출신이 상류층의 자원을 갖게 되면 반드시 비열한 자가 될수밖에 없어. 퍼시는 카를라에게 매수된 거야. 그게 유일한 설명이야.」 - P2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