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백 - 제16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장강명이라는 작가의 이름을 '한국이 싫어서'이라는 소설을 통해 알게 되었다. 알라딘 신간평가단 활동은 '에세이' 분야를 했지만, 종종 다른 분야의 책 목록을 살펴보는 습관이 있었다. 그러다 마음에 드는 책을 발견하면 구매해서 읽는데, 그렇게 만난 책이 '한국이 싫어서'이라는 소설이었다.


 '한국이 싫어서'는 정말 요즘 내가 느끼는 '한국이 싫다.'는 감정이 그대로 적혀 있었고, 한국을 떠나고 싶어하는 요즘 젊은 청년의 심적 고통이 반영되었지 않나 싶다. 그리고 그 이번에 읽은 '표백'이라는 소설은 젊은 청년의 고통만이 아니라 기성 세대에 대한 반항이자 고발이기도 했다.


나는 자살 선언자에 대해 완성된 사회가 쏟아낼 비난이 어떤 것인지 이미 알고 있다. 그들은 자살 선언자의 자살이 비겁한 도피와 현실 부정이며, "그럴(자살할) 용기와 의지가 있다면 그 힘으로 살아라"라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패전을 각오한 군인과 순교자들처럼 명백하게 죽음을 선택한 이들에 대해서는 같은 주장을 하지 않는다.

기실 완성된 사회는 어떤 사상이나 자존심을 위해 개인이 모든 것을 포기하는 행위에 대해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한다. 완성된 사회는 인간을 하찮은 욕망에 의해 움직이는 존재로 규정하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완성된 사회가 왜 그토록 자살 선언자를 두려워하는지도 설명이 된다. 자살 선언자는 그 존재만으로 완성된 사회의 기본 가정을 부수며, 완성된 사회가 완전하지 않음을 고발한다. 자살 선언자는 희고 완벽한 완성된 사회에서 지워지지 않는 한 점 얼룩이다. 완성된 사회는 자살 선언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줄 능력이 없으며, 자살 선언자의 행위를 이해조차 할 수 없다.

자살 선언자들은 봉건사회를 무너뜨린 부르주아나 공산 혁명을 시도한 프롤레타리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자살 선언자들의 목표는 완성된 사회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완성된 사회의 천박함과 불완정성을 고발하고 자신들이 품고 있는 위대한 가능성을 증명하는 데 있으며, 그 방법은 오로지 죽음이라는 완전한 거부뿐이다. 왜냐하면 봉건 시대의 부르주아지와 산업시대의 프롤레타리아에게는 대안과 미래가 있었으나 표백 세대와 자살 선언자들에게는 그런 것이 없기 때문이다. (p208)


 윗글처럼 표백은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소재가 사용된다. 한국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 상위를 차지하고, 그중에서도 청소년 자살률은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부패했다고 하는 한국은 조부모, 부모의 재산이 없으면 더는 그 자식에게 희망도 꿈도 없는 나라가 되어버렸다.


 소설 표백에서는 이것을 잘 알 수 있다. 그리고 자살을 이용하여 이 버러지 같은 사회 자체를 부정하는 세연과 그녀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놀라울 정도로 우리의 극단전인 심정을 그대로 옮긴 듯했다. 나는 책을 읽는 동안 정말 눈을 뗄 수 없었고, 빠른 호흡으로 끝까지 읽을 수 있었다.


 나는 꼭 이 책을 다른 사람도 읽어보았으면 좋겠다. 20대, 10대, 30대 상관없다. 그냥 이 책이 담은 우리 이야기를 읽어보았으면 좋겠다. 책의 띠지에는 '이 소설은 파격인가, 도발인가, 아니면 고발인가!'이라는 문장이 적혀 있는데, 개인적으로 그 모두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장강명의 표백은 오랫동안 여운이 남아있을 듯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5-10-14 0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이해 하고 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