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떤 예술은 사라지지 않는다 ㅣ 윤혜정의 예술 3부작
윤혜정 지음 / 을유문화사 / 2025년 6월
평점 :

이 책은 윤혜정의 예술 3부작의 마지막 편으로 예술을 장소성과 시간성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작가는 전시를 꾸리고 관람객은 눈으로 보고 느낀다. 이 일련의 행위는 예술가의 작업이 누군가의 삶으로 스며드는 과정이다.
우리는 흔히 예술은 경험하는 과정이라 여긴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단순히 보고 읽고 아는 것을 넘어 무엇인가를 헤아려보려는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녀의 그 경험은 글자를 넘어 내게 도달해 예술을 바라보는 시각을 넓혀준다.
전시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예술은 우리의 일상에 더 가까워진다.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비엔날레 현장부터 소유하고 공유하며 사랑하는 컬렉터의 집을 지나 뉴욕 맨해튼의 구겐하임 미술관과 두 시간 프로젝트, 일명 라이브러리 싱킹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예술의 경험은 무료한 삶에 자극이 된다.
특히 이 책에서 보여준 컬렉터 이야기는 오랜 시간 시선을 끌었다. 부자도 아니고 작품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도 부족하지만 소유하고 싶다는 열망은 오래전부터 이어져왔다. 부러운 마음에 더 집중해서 읽게 된 컬렉터의 이야기는 예술을 대하는 태도와 철학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준다.
예전부터 현대미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지만 작품을 보고 있어도 알기 힘들고 안다고 해도 이해하는 건 언감생심이다. 그럼에도 끊임없이 예술 경험에 관심을 쏟는 건 지극히 평범하다 못해 지루한 내 인생에 다채로운 색감을 입혀 주기 때문이다.
저자가 전하는 예술에 대한 사유, 불안에 대한 고백, 새로운 발견에 대한 쾌감 등은 직접 촬영한 사진이 더해져 생동감 있게 들려온다. 다채로운 예술 이야기는 마지막 여행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특별한 계획도 없이 아침부터 걷다 보니 눈앞에 익숙한 쿠사마 야요이의 노란 호박 조형물이 보였고 개장 시간에 맞춰 관람을 시작했다. 사진첩을 찾아보니 당시의 기억과 느낌이 떠올랐다. 비록 전시는 끝이 났지만 그날 내가 본 작품은 여전히 기억 속에 남아있다. 긴 총부리 끝에서 피어난 커다란 나뭇가지와 꽃은 여전히 생생하게 피어있다.
예술 3부작의 마지막 편이기 때문일까. 한 챕터가 끝날 때마다 줄어드는 페이지에 아쉬움이 짙어진다. 저자가 예술의 자리에서 경험하고 기록하고 기억한 것들은 내 삶에 새로운 자극이 되었다. 잠시 멈추어있던 경험의 시간을 다시 시작해 보려 한다. 그땐 어떤 예술이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을까. 기대감에 마음이 설렌다.
#어떤예술은사라지지않는다 #윤혜정 #을유문화사 #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