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작년에 성판매 여성들이 성매매방지법에 반대하며 거센 항의 시위를 벌였을 때, 나는 그것이 그들의 본심이라고 믿을 수가 없었다. 그동안 성산업 업주들의 폭력과 강제에 대해 익히 들었기에, 악덕 업주들이 시위까지 조작하는구나 생각했다. (실제 현장에 나가보지도 않은 이의 안이한 판단이었다. 성판매 여성들과 함께하는 여성운동가들에게 직접 들은 말로는, 업주가 시킨 경우도 있었지만 생계가 막막해졌다는 생각에 화나서 자발적으로 나선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래서 민주성노동자연대가 출범했을 때 매우 혼란스러웠다. 여성들 스스로 이 일을 노동으로 선택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더욱이 민성노련 쪽이 성매매 근절 운동가들을 ‘부르주아 여성 권력자’로 매도하는 것을 보자, 진정 성판매 여성의 권익을 대변하려면 탈성매매 여성들을 돕는 여성 단체를 비난할 게 아니라 악덕 업주부터 고발해야 하지 않나 생각했다. (지금은, 일단 법을 어겨서 ‘단속’ 대상이 되면 범죄자 취급을 받기 때문에 이들이 방지법 제정과 시행을 주도한 단체들을 비난하게 되었으리라고, 이해는 된다.)

그런데 올 1월, 『노동하는 섹슈얼리티』(원제 ‘사는 신체/파는 신체-섹스워크론의 사정’)라는 책의 번역 원고를 만나게 되었다. 성노동 이론서인 이 책의 주장에 나는 당혹했고, 생각지도 못했던 깨달음을 얻기도 했다.

성매매방지법을 제정하고 시행한 주체들 중 당사자인 성판매 여성들에게 이 법이 어떠냐고 물어 본 사람이 과연 있었을까? 그들 스스로의 앞날이 걸린 문제인데도 정작 당사자인 그들에게는 아무런 결정권이 없었다. 이들은 멸시(창녀라는 손가락질)나 동정(가난과 성폭력의 피해자)의 대상일 뿐, 문제 해결의 ‘주체’가 아니었다. 자기주장을 원천 봉쇄당하는 것, 그것은 또 다른 폭력이다.

또한 섹슈얼리티 자체가 상품이 되어버리거나 모든 상품에 섹슈얼리티를 부여하는(자동차 광고에 섹시한 여성이 필요한 이유)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은 신성한 것으로 규정하는 반면 성판매는 노동으로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의 모순. 그러한 태도의 바탕에는 ‘일반’ 여성과 ‘성매매 여성’을 분리하는 차별 의식이 깔려 있지 않나? ‘일반’ 여성과 ‘성매매 여성’을 분리하는 심리적 사회적 장벽은 실제로 존재한다. 그러면 나는 왜 여기에 있고, 그들은 저편에 있게 되었는가, 고민해야 하지 않나?

무엇보다, 어찌 됐든 어떤 여성(이나 남성)이 성판매 일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면, 그 일자리를 법으로 빼앗는 일보다, 일하는 현장에서 착취와 폭력이 벌어지지 않도록 감시하는 일부터 먼저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이 책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이 책의 주장을 넘어서야 한다. 이 책의 가장 큰 문제점은, 운동을 이야기하면서도 모든 것이 상품이 되는 자본주의를 거역할 수 없는 전제로, 그대로 인정하는 데 있다. 이 책을 갈기갈기 이르집어서, 넘어서고야 말겠다. (그러나 언제? -.-)

- <기획회의> 177호에 기고한 글을 아주 조금 손봄.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랑비 2006-05-25 1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이 책에 대한 이야기여요. ^^
(어째 요새 일에 얽힌 뻬빠만 올리네... 아우~ 벗어나고파.)


물만두 2006-05-25 1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프랑스에서는 세금내고 합법적으로 하게 한다는데 어느나라나 그래도 매춘여성에게는 나쁜 넘들이 꼬이게 마련인것같아서 해법이 어렵지 싶다는 생각을 했었지요.

로드무비 2006-05-25 1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대됩니다.
왕언니 악을 쓰다 책도 그러고 보니 삼인에서 나왔군요.^^

chika 2006-05-25 1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많이 바빠보여요;;;
생각안해봤는데.. 지금 보니 삼인의 책, 좋은 책이 많아요 ^^

산사춘 2006-05-25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우, 찾아오느라 힘들었시유. 암튼 전 삼인이 좋아요. 집에 가서 함 세어볼래요.

가랑비 2006-05-25 16: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 언니/그래서 이 책의 주장은, 아예 노동으로 인정하고 보호하면 그런 나쁜 넘들을 노동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다는 것...이에요.
로드무비님/언제나 감사~ ^^
치카님/흑. 놀구 시퍼요~
산사춘님/어서 오세요. 와락.

릴케 현상 2006-05-30 10: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예 노동으로 인정하고 보호하면 그런 나쁜 넘들을 노동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다는 것..이라면 공창제 주장과 같은 건가요?
'그들 스스로의 앞날이 걸린 문제인데도 정작 당사자인 그들에게는 아무런 결정권이 없었다.'이 부분이 지난 번 논란에서 저도 마음에 걸리더군요. 매매춘을 법으로 금지할 수 있으려면 결국 만인이 기본적인 생계와 인권을 보장받는 사회를 먼저 만들어야 하는 건가 하는 회의적인 생각도 들고...

가랑비 2006-05-30 16: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창제란 관제 성매매 업소를 두자는 이야기 아닌가요? 그럼 공창제랑은 다르지요. 그냥 서비스업으로 인정하라는 것이죠. 아무튼 뒷부분 말씀에는 공감합니다.

릴케 현상 2006-05-30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그대로 같다는 게 아니라, 잘 모르지만...주장하는 의의가 같은 거 같아서요. 문제가 많은 민간 성서비스를 금지하고 관이 관리하자는 거든, 민간에 허용해놓고 관이 문제없도록 보호(?관리)하자는 거든. 어쨌든 잘 모르겠네요

가랑비 2006-05-31 2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가지는 서로 다르지요. 공창제는, 관이 그것을 통해 수입을 올리는 거지요. 게다가 관의 관리를 받는다고 해서 종사자들의 인권이 보호된다는 보장도 없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