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위보가(濟危寶歌)

浣紗溪上傍垂楊 완사계상방수양
執手論心白馬郞 집수론심백마랑
縱有連恕三月雨 종유연월삼월우
指頭何忍洗餘香 지두하인세여향

빨래하는 시냇가에 버들은 늘어졌는데,
풍신 좋은 사나이는 손목 잡고 속삭이
네, 석 달을 잇고 이어 비가 내려도
손길에 묻은 흔적 씻지 못하리.

 

 『요점 정리』

 갈래 : 고려 가요
 작가 : 미상
 연대 : 미상
 주제 : 여인의 정절과 부덕(제위보에서 일하던 여인이 손을 잡혀 원망스럽고 부끄러워 불렀다는 노래)


 『이해와 감상』

  어느 여인이 죄를 지어 제위보에서 노역(勞役)하다가 남자에게 손목을 잡혀 그 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이 노래를 불렀다 한다. 본래의 가사는 전하지 않고, 이제현(李齊賢)의 한역가(漢譯歌)만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을 통해 내용을 알 수 없지만 추론하자면 정조 관념이 강했던 여성이었으리라는 짐작을 해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長巖  장암

拘拘有雀爾                  구구유작이
爲 觸着網羅黃口兒       위 착구망라황구아
眼孔元來在何許           안공원래재하허
可燐觸網雀兒癡           가린촉망작아치

까불 까불 새야 너 뭘 하니
그물에 걸려 노란 주둥이만 짹짹
눈은 어디 두고 날뛰다가,
그 어리석음 가엾어라. 그물에 걸린 그 새야


 

 갈래 : 고려 가요
 성격 : 우의적
 주제 : 장암의 노인이 평장사, 두영철의 근신하지 않음을 나무람

 『이해와 감상』

 두영철(杜英哲)이 장암(長巖)에 귀양갔을 때 그곳의 어느 노인과 사귀었는데, 다시 조정의 부름을 받게 되자 그 노인은 이제 다시는 벼슬을 하지 말라고 말렸다. 그러나 두영철이 이를 듣지 않고 다시 벼슬하여 평장사(平章事)가 되고, 또다시 모함에 빠져 죄를 지으니, 노인이 이 일을 풍자하여 지은 노래라 한다.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기에 알 수는 없으나 한역시로 보아 두영철을 참새로 비유하여 그물에 걸린 참새를 힐책하는 우의를 노래한 것이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그 가명(歌名)과 유래만 전한다. 그러나 이제현(李齊賢)의 《소악부(小樂府)》에 이 노래를 한역(漢譯)한 것이 실려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 http://www.seelotus.com/ 

 

五冠山
오관산

木頭調作小唐鷄
邸子拈來壁上棲
此鳥膠膠報時節
慈顔始似日平西
목두조작소당계
저자념래벽상서
차조교교보시절
자안시사일평서

나무로 작은 닭을 다듬어 벽에
보금자리 주어 살게 하였네.
이 닭이 꼬꼬 울 때까지
어머님 오래도록 사시기를

 

『이해와 감상』

 고려시대에 문충(文忠)이 지은 가요로《목계가(木鷄歌)》라고도 한다. 효자인 문충은 오관산(五冠山) 밑에 살았는데, 홀어머니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집에서 삼십리나 되는 서울(開城)을 아침 저녁으로 왕복하여 통근하면서도 어머니에 대한 효성은 변함없이 극진하였으나, 어머니가 날로 노쇠하여 감을 보고 슬퍼하여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가사는 전하지 않고, 제목과 그 유래만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에 전하며, 이제현(李齊賢)의 한역가(漢譯歌)가 《익재해시(益齋解詩)》에 수록되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 http://www.seelotus.com/


沙里花 사리화

黃雀何方來去飛  황작하방래거비
一年農事不曾知  일년농사부증지
鰥翁獨自耕耘了  환옹독자경운료
耗盡田中禾黍爲  모진전중화서위



참새야 어디서 오가며 나느냐
일 년 농사는 아랑곳하지 않고, 
늙은 홀아비 홀로 갈고 맸는데
밭의 벼며 기장을 다 없애다니.

 *
참새는 어디서 날아왔는고
한해 농사가 아랑곳없구나
늙은 홀아비가 혼자 갈고 매었는데
벼와 수수를 다 없애다니
 *


 지은이 : 이제현(李齊賢)의 한역
 갈래 : 칠언절구(七言絶句)
 연대 : 고려말
 성격 : 현실 고발적, 풍자적, 상징적, 비판적
 표현 : 상징법(참새 - 수탈자, 관리. 홀아비 - 농민, 힘없는 백성)
 압운 : 飛(비) ,知(지), 爲(위)
 어조 : 부당한 현실을 비유적으로 고발하며 원망하는 어조
 의의 : 당시 민족적 현실을 노래한 한시
 짜임 : 기,승,전,결의 4단 구성
 
주제 : 권력자들의 농민 수탈에 대한 비판과 고발, 가혹한 수탈로 인한 농민의 피폐한 삶.
 출처 : 익재난고(益齋亂藁)

 

『이해와 감상』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본래의 가사는 전하지 않고, 다만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 益齋亂藁≫소악부(小樂府)와 ≪고려사≫ 악지(樂志)에 노래의 내력과 이제현의 한역시가 수록되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이제현은 소악부(小樂府) 11편을 남겼는데, 「사리화」는 그 중 네 번째 시이다. 소악부란 당시 유행하던 우리말 노래(민요 등)를 한시로 옮겨 놓은 것인데, 이 가운데는 「처용가」·「정석가」·「쌍화점」·「정과정」등의 고려 속요도 실려 있다.

 ≪고려사≫ 악지에 의하면, 부세(賦稅)는 무겁고 권력자들은 수탈하므로 백성들이 참새가 곡식을 쪼아먹는 것에 탁의(託意)하여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칠언 절구(七言絶句)로 된 「사리화」는 세금이 무겁고 권력 있는 자들의 수탈이 심한 것을 곡식을 쪼아 먹는 참새에 비유하여 원망한 노래이다. 이제현의 한역시에도 당시 농민들의 궁핍한 생활과 관리들의 타락된 일면이 잘 풍자되어 있다.

 그리고 사리화는 기장과 비슷한 풀을 말하는 것 같다는 해석이 있기는 하나, 확실히는 알 수 없다. 그리고 사리라는 꽃이 있는데 기장과 비슷하다고 하는데 그것과 유추해서 해석을 해야 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여간 무리하게 한자의 뜻으로 해석을 하자면, 사리화의 沙(사)에는 목이 쉰다는 뜻이 들어 있고, 里(리)에는 근심하다는 뜻이 있다. 시경 云如何里에서 그 의미를 추측할 수가 있다. 그래서 사리화는 농부들이 목이 쉬고, 근심 걱정하여 얻는 꽃 다시 말해서 곡식이라는 뜻으로 추정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居士戀(거사련) 

 

鵲兒籬際噪花枝 (작아리제조화지)

噪子床頭引網絲 (희자상두인망사)

余美歸來應未遠 (여미귀래응미원)

精神早己報人知 (정신조기보인지) 
 

울타리 옆 꽃가지에 까치 우짖네
거미도 상머리에 줄을 치누나.
돌아오는 우리님 멀지 않을새.
심신이 미리 알아 지감하게 하네.
 
  

 

 

『이해와 감상』
 고려가요로 원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고려사》 <악지(樂志)>에 제목과 간단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고, 또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藁)》 중 <소악부(小樂府)>에 한역시(漢譯詩)가 실려 있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어떤 부역자(賦役者)의 아내가 남편을 그리워하며 지은 것으로 보인다. 남편이 객지에 부역 나갔으나, 까치가 울고 거미가 상머리에서 실을 뽑으니 남편이 돌아올 날이 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세종실록》에 “이 노래에 대한 거문고 타는 법은 알려져 있으나, 가사는 이미 그 당시에 잃어버리고 없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가사는 고려 말기까지는 구전되었고, 곡조는 세종 때까지 연주된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