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과 흑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5
스탕달 지음, 이동렬 옮김 / 민음사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애절하고 간절한 사랑도 멀리서 보면 코미디다.’<적과 흑>을 읽은 후의 짧은 감상평이다. 코미디도 이런 코미디가 있을 수가 없다. 그들끼리는 그토록 애절하고 강렬할 수 없는 연애인데 이렇게 멀리서 떨어져 보면 참 어이없는 광경이다.

당시 프랑스 사회를 많이 알지 못해 정치적인 사건이나 사회 이야기가 나올 때면 좀 지루한 감이 들기도 했는데 주인공 쥘리엥 소렐의 연애 이야기만 읽고 있자면 배꼽이 빠진다. 쥘리엥 소렐을 보고 있노라면 이런 미친놈이 다 있나 싶은데 그 미친놈의 모습에서 보통 사람들이 연애할 때 한 번쯤은 혹은 그 이상은 쥘리엥 같은 행동을 하지 않을까 싶어진다.

쥘리엥 소렐은 비천한 계급 출신으로 끊임없는 신분 상승의 욕구를 지닌 남자다. 머리는 영특하고(특히 암기력) 책 읽기를 좋아하는 등 그 계급에 맞지 않는 비범한 재주를 지녀 일찍이 귀족 집안의 가정교사가 된다. 그리고 그 집에서 유부녀인 드 레날 부인과 사랑에 ‘빠진다.’ 그런데 여기서 ‘빠진다’는 말은 적절하지 않을 듯하다. ‘사랑하기로’ 마음을 먹고 그 마음에 따라 끊임없이 계산을 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러다 자기도 모르게 그 사람을 정말 사랑하게 된다.

쥘리엥 소렐만 ‘계산’으로 사랑을 시작하는 건 아니다. 드 레날 부인이나 쥘리엥이 두 번째로 연애를 하게 되는 여자 마틸드 역시 ‘계산’을 하기는 마찬가지다. 남자나 여자나 끊임없이 상대방의 의도, 몸짓, 마음 등을 의심하고 재보면서 ‘이렇게 하면 저 사람이 이렇게 나오겠지, 저렇게 하면 저 사람은 또 이렇게 나올지도 몰라.’하며 잔머리를 굴린다. 드 레날 부인과 마틸드 두 여인이 쥘리엥에 비해선 무척 고결한 신분의 태생인지라 이런 잔머리 굴림은 극에 달한다.

상대가 너무 가깝게 다가오면 한 걸음 물러나고, 상대방이 식은듯하면 오히려 이쪽에서 불이 훨훨 타오르고, 지나치게 애정 표현을 하면 질려 버리고 등등 끊임없이 마음의 줄다리기가 오고 간다. <적과 흑>은 이런 연애 심리가 참 탁월하게 그려진다. 그래서 스탕달의 <연애론>을 한 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어쩐지 스탕달은 연애심리의 대가가 아닐까 싶다. 

가끔 나는 사람들이 누군가를 사랑하고 있는 그 상태를 사랑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연애를 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도취되어 더욱 연애에 빠지는 그런 상태. 자기도 모르게 연애에 빠진 자기 모습을 의식하면서 더 열정적인 사랑의 ‘연기’를 하게 되는 것이다. 어쩌면 자기가 만든 ‘환상’을 사랑하는 상태라고 할 수도 있다. 드 레날 부인이나 마틸드가 좀 그렇다.

드 레날 부인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사랑은 헌신적이고 누군가를 따뜻하게 보살펴주는 모성애적 사랑의 모습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는 쥘리엥으로부터 그렇게 챙겨주고 싶은 면을 끊임없이 찾고, 보호해주고 싶다는 열망 때문에 사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런 자신의 모습을 보며 더더욱 사랑에 빠져 들어간다. 마틸드 역시 그렇다. 그녀는 다른 귀족들과는 다른 사랑, 모험적이고 열정적인 사랑, 죽음도 불사를 수 있을 정도의 비장한 사랑이 최고의 사랑이라 여기고 쥘리엥에게서 그런 면을 찾고자 애를 쓴다. 쥘리엥이 그런 모습을 보일 때는 한없이 뜨거워지지만 그녀가 만든 환상에 가깝지 않은 평범한 모습을 할 때면 냉정하게 뒤돌아선다.

<적과 흑>을 보고 있노라면 인간은 모두 어쩌면 연애를 하고 있는 자신, 사랑에 빠진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는 에고이스트가 아닐까 싶어진다. 사랑에 빠진 자신의 연기를 보면서 감탄을 하는 연기자. 때문에 그 연기를 멀리서 바라보고 있노라면 웃음이 터질 수밖에 없다. 뒤늦게 자신의 진정한 사랑을 깨달은 쥘리엥의 모습에서 조차 이런 모습은 엿보인다. 나는 이제 인생의 참된 의미를 깨닫고 숭고하게 마지막을 살다 가야 한다는, 자신이 관객인 또 하나의 연기.

자신이 하는 연애가, 사랑이, 남들 눈에는 어떻게 보일지 가끔 궁금하지 않은가(물론 사람들은 끊임없이 남들 눈에 자신의 연애가 대단한 것으로 보이길 원하며 과장하고 포장한다. 그러나 그런 포장을 벗겨낸 진짜 날것의 모습이 궁금하지 않은가?). <적과 흑>은 내가 하고 있는 연애가 어떤 사랑의 모습일지 객관적으로 한 번쯤 생각해 볼 기회를 주는 작품이다. 



참 그래서 <연애론>을 찾아봤더니....


미리보기로 좀 넘겨보았더니 벌써부터 웃음이 난다. 스탕달, 이 연애쟁이 같으니라구. ㅋ

<연애론>,(홍신문화사, 2010) 중 제2장 '사랑의 발생에 관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