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더 하우스 1
존 어빙 지음, 민승남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존 어빙의 <사이더 하우스 : 원제 The Cider House Rules>는 한 고아 소년의 성장기이자, 삶을 이루는 규칙에 관한 소설이다. 이것은 해서는 되고, 저것은 해서는 안 되고 등등 삶에는 수많은 규칙이 존재한다. 이 소설에서도 몇 가지 큰 삶의 규칙이 등장한다. 주인공 ‘호머 웰즈’가 살고 있는 고아원에서의 규칙, 호머가 사과농장의 일꾼으로 들어가면서 만나게 되는 사과농장의 규칙, 누군가를 사랑하게 되면서 저절로 깨닫게 되는 사랑에서의 규칙 등등. 그 중 이 작품에서 가장 크게 다루고 있는 규칙은 ‘낙태’가 아닐까 싶다.

주인공 호머 웰즈는 고아다. 그가 태어난 시기의 미국은 낙태가 불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때였다. 때문에 미혼모들은 아이를 원치 않아도 낳을 수 밖에 없었고, 그런 미혼모들에 의해 버려지는 아이들 때문에 호머 웰즈가 자란 고아원에는 불행한 아이들이 넘쳐 났다. 고아원의 원장이자 의사인 ‘닥터 라치’는 낙태 시술을 하면 의사 자격을 박탈당하던 그 시기에 고아원에서 아이를 낳고 싶어하는 산모의 아이를 받기도 하고, 아이를 원치 않는 산모에겐 낙태 시술도 해준다. 물론 아무런 대가도 받지 않고. 그는 원치 않는 아이들이 세상에 태어나 불행해지는 사례를 너무도 많이 봐왔고, 원치 않는 임신으로 자신의 삶을 망가뜨리는 수많은 불행한 여자들 또한 많이 보아왔다. 그런 닥터 라치에겐 임신과 출산도 ‘하나님의 일’이지만 낙태 또한 ‘하나님의 일’이다.

닥터 라치는 자신이 늙어 죽은 뒤 고아원에서 자신의 뒤를 이어 불행한 산모들과 불행한 고아가 될 아기들의 운명을 구해줄 ‘낙태 시술’을 감행할 의사의 필요성을 깨닫는다. 그리고 ‘호머 웰즈’를 점 찍는다. 그에게 의사가 되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그러나 호머는 낙태 시술로 버려진 태아의 시체를 본 뒤 충격을 받아 자신은 절대로 낙태를 하지 않을 것이라며 라치의 뜻을 거부한다.  

얼마 전 읽었던 ‘르몽드 세계사’에서 낙태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 한국은 (국가가) 낙태를 허용하는가, 안 하는가에 따라 분류한 세계지도에서 부분적 낙태허용국가에 속한다. 물론 그런 구분에 상관없이 한국에서는 낙태가 거의 자유롭게 허용되고 있는 듯하다. 반면 낙태가 금지되어 있는 국가는 대부분 가톨릭계 국가였다. 글쎄… 생명을 어느 순간부터 보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낙태도 하나님의 일이라고 중얼거리던 닥터 라치의 생각에 나는 동의하는 편이다.

이 소설 속에서 그려지는 수많은 불행한 여자들의 삶을 봐도 그렇고, 태어나자 마자 버려지는 고통을 당하는 불행한 아이들의 삶을 봐도 그렇고… 그저 ‘태아’도 생명이기 때문에 낙태는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척 안이한 생각이 아닐까 싶다. 물론 태아의 성을 감별해서 원하는 성(性)이 아니면 주저 없이 낙태를 감행하는 것은 비도덕적인 일이라 찬성하지 않지만…

‘낙태’라는 무거운 주제 때문에 이 소설이 재미가 없는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면 오산. 존 어빙은 현존 미국 최고의 스토리텔러라고 불리는 작가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솜씨가 탁월하다. 웃기고 울리고 독자를 쥐락펴락한다. 기본 줄거리와 상관없는 듯한 내용이 느닷없이 튀어나오기도 하는데 그런 내용들이 뒤로 흘러가면서 하나씩 얼개가 짜맞춰질 때는 작가의 이야기를 엮어가는 솜씨에 감탄이 나올 정도. 

물론 1, 2권을 합해 천 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은 지나치게 길다 싶기도 하다. 그러나 고아가 고아로 태어나, 인격과 자기 나름의 가치관을 가진 어른으로 성장하고, 한 여인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자신의 아이를 낳고, 그리고 결국 긴 길을 돌아 자신이 진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는 과정으로 천 페이지라는 양은 어쩌면 그리 많은 분량이 아닐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영화에서부터 시작된다. 오래 전에 이 소설과 같은 제목의 영화를 본 적이 있었는데, 무척 감동했던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영화는 그다지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는 않았던 것 같다. 당시에는 거의 무명에 가깝던 토비 맥과이어가 주인공 ‘호머 웰즈’ 역을 맡았는데, 이 책을 읽는 내내 저절로 토비 맥과이어 얼굴이 그려지더라. 다만 지금에야 호머 웰즈가 사랑에 빠지는 대상인 ‘캔디’ 역을 ‘샤를리즈 테론’이 맡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나는 소설을 읽으면서 ‘캔디’의 모습을 상상할 때 어쩐지 ‘키이라 나이틀리’가 떠올랐다. 소설을 읽고 나니, 영화를 다시 보고 싶은 생각도 든다.




영화 속 호머(토비 맥과이어)와 캔디(샤를리즈 테론)- 영화도 꽤 괜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