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등 이펙트 - 지금 누군가 나를 조종하고 있다!
로빈 스턴 지음, 신준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이 살면서 느끼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 중 하나는 '인간관계'가 아닐까. 가족, 친구, 연인, 직장 상사 등 수 많은 '인간관계'에서 기쁨을 느끼기도 하지만 때로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로빈 스턴의 <가스등 이펙트>는 인간관계에서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 혹은 무기력을 느끼는 이들에게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이 책을 보며 '혹시 내가 타인에게 가학적으로 대하는 면은 없을까'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가스등 이펙트'란 의식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상대방을 조종하려는 가해자와 그 상대방을 이상화하고 그의 관점을 받아들이는 피해자가 만들어내는 병리적 심리 현상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잉그리드 버그먼이 주인공으로 열연했던 고전 영화 <가스등Gaslight>에서 따왔다. 이 영화에서 남편은 아내 폴라의 유산을 빼앗기 위해 그녀를 정신병자로 몰아간다. 그가 보석을 찾기 위해 다락방에 불을 켜면, 그 때문에 폴라의 방에 있는 가스등이 희미해지곤 하는데, 폴라가 아무 이유 없이 흐릿해지는 가스등에 대해 얘기하면, 그녀가 미쳤기 때문에 환각을 보는 것이라고 매도한다. 폴라는 혼란스럽고 겁에 질린 나머지 점차 히스테릭하게 행동하고, 남편이 끊임없이 이야기하는 것처럼 실제로도 무기력하고 방향 감각이 없는 사람이 되어간다. 이 영화로 이러한 가학-피학적 인간관계를 ‘가스등 이펙트(Gaslight Effect)’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사실 가해자, 피해자(가학-피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통 사람들은 '나는 상관없을 것이다'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책에서 나열된 사례들을 보면 이건 내 모습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불현듯 든다. 상황에 따라 가해자가 되기도 하고, 혹은 피해자가 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관계가 그렇듯 힘의 균형, 혹은 권력의 균형이 동등하기란 힘들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우리는 모두 어느 정도 '가스등 이펙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돈을 펑펑 쓴다는 배우자의 비난이나 스타일이 우스꽝스럽다는 어머니의 빈정거림, 자신의 업무 능력을 낮게 평가하는 상사의 지적 등등. 대체로 자신이 옳다고 확신하거나 사회적 지위나 나이에서 더 우위에 있거나 더 강한 자아를 가진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자신의 뜻에 따르게 만드는 것을 당연하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부모가 자식을 키울 때 '가스등 이펙트'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란 어렵다. 많은 부모들은 자신들의 의도대로 자식을 이끌기 위해, 아이들이 부모의 눈치를 살피며 전전긍긍하게 만들거나 죄책감을 느끼게 만든다.


저자는 가해자의 유형을 크게 '난폭한 유형' '매력적인 유형' '선량한 유형'의 세 가지로 나눈다. '난폭한 유형'은 소리를 지르며 피해자를 비난하기 때문에 알아채기 쉽다. 피해자는 그가 언제 감정을 폭발시킬지 몰라 항상 눈치를 살피며 전전긍긍한다. 폭력적인 남편이나 남자친구, 억압적인 상사를 예로 들 수 있다. '매력적인 유형'은 대체적으로 연인에게서 볼 수 있는데, 불안정하고 예민한 성향은 이성에게 오히려 연민과 애정을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피해자는 그의 자아도취적 성향을 낭만적인 사랑으로 오해하고, 그의 무책임한 행동에 대해서는 갖가지 해석과 추측을 달아 자신이 원하는 신비로운 이미지로 재창조한다. 마지막으로 '선량한 유형'은 부모나 단짝 친구, 충실한 배우자처럼 피해자를 위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알아채기가 가장 어렵다. 그러나 그들은 사실 피해자를 위하기보다는 자기 자신이 좋은 사람으로 보이기 위해 애쓰는 것이며,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을 일방적으로 강요하기 때문에 피해자는 불평할 수 없는 상황 속에서 비참해지고 무기력에 빠진다.


이 책에서는 자신이 현재 '가스등 이펙트'에 처한 상황인지 체크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각 단계별로 대안을 제시한다. 물론 모든 인간관계가 어느 정도 영향력을 주고받기 때문에, 타인의 영향력을 완전히 배제하는 삶이 가능할까? 하는 의문도 든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친구, 어머니, 직장 상사, 연인과 다툰 것을 계속 머리 속으로 끊임없이 생각하고 괴로워한다면 이미 어떠한 '가해자'로부터 심정적 고통을 당하고 있는 것이므로 자기 삶을 다시 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은 '자기를 존중'하는 법을 찾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어떤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기를 이 책은 권유한다.


상대방과 계속 만날 것인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네 가지 질문

1. 나는 이 사람을 다르게 대할 수 있는가?


2. 상대방이 나를 다르게 대할 수 있을까?


3. 나에게 상대방과의 관계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할 의지가 있는가?


4. 현실적으로, 내가 최선을 다한다면 우리 사이가 행복해질 수 있을까?




 영향력이란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자신이 항상 옳다고 여기며 자존심을 세우고 힘을 과시하는 가해자와 상대방이 자신의 현실감을 좌우하도록 허용하는 피해자 사이에서 일어난다. 피해자들은 가해자를 이상화하고, 그들의 인정이나 사랑, 관심이나 보호 등을 받기 위해서 가해자가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에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허용한다. 영향력 행사는 성별에 구분 없이 모든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 (22쪽)


 문제는 상대방의 영향력이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생겨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상대방의 이해와 인정, 사랑을 받고자 하는 소망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을 잃을 수 있다는 두려움과 걱정에서 상대방의 영향력이 생겨난다. 우리가 신뢰하고 존경하고 사랑하는 상대방이 확신을 가지고 이야기 할 때, 특히 그 말 속에 어느 정도 진실이 담겨 있을 때 그것을 불신하기는 힘들다. 그리고 특히 우리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을 이상적인 존재로 생각한다면, 즉 그들을 인생의 동반자나 존경할 만한 상사 혹은 훌륭한 부모로 생각한다면 그 앞에서 우리의 생각을 고집하기는 쉽지 않다.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은 자신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려 하고, 영향을 받는 사람은 그 사람의 마음에 들고 싶어 할 때, 상대방의 영향력이 시작된다. (25쪽)


 

 실제 인간관계에서는 상대방을 조종하는 사람이 비록 결과적으로 나쁜 영향을 미치더라도 처음부터 사악한 의도를 갖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그들은 주로 자신의 관점에서 자신만을 생각한다. 그들은 이기적이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에 어긋나는 작은 도전도 용납하지 않는다.(3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