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 육식주의를 해부한다
멜라니 조이 지음, 노순옥 옮김 / 모멘토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육식의 단점, 혹은 육류산업의 폐해를 다룬 책은 꽤 많다. <육식의 종말>과 같은 책들은 언제부터인가 찾아보기가 쉬워졌다. 육식을 주제로 한 내용은 텔레비전이나 신문 방송 등 각종 미디어에서도 종종 등장한다. 육식주의자에 반대되는 개념인 채식주의자라는 말도 언제부터인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단어가 되었고.

나 또한 이런 정보를 통해 육식의 폐단을 알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육식’을 하지 않는 삶을 살고 싶지만 생각만큼 쉽지는 않아서 그냥 고기 먹기를 포기하고는 살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 Why We Love Dogs, Eat Pigs, and Wear Cows: An Introduction to Carnism>는 육식주의를 파헤친 책이다. 육식주의에 대한 수많은 책 중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제목이 정말 왜 그럴까? 하는 호기심이 들게 하기 때문이다.

저런 질문을 누군가가 던진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개는 귀엽고 사랑스럽고 우리의 가족 혹은 친구 같지만 돼지와 소는 그렇지 않다. 애완동물이 아니다. 먹기 위해 기르는 동물이다.”라고. 그러나 이 지구상에 먹기 위해 기르기 시작한 생명이 대체 얼마나 될까? 저자는 ‘사람들은 흔히 개는 귀엽고 사랑스럽고 인간과 감정 교류를 하는 친구 같은 존재라고 말한다. 그러나 알고 보면 돼지와 소도 그에 못지않게 영리하고 감정을 지닌 동물이며 새끼 돼지나 소는 개 못지않게 사랑스러운 존재’라고 이야기한다.   

이렇게 어떤 동물에 대해 떠올릴 때 사람들은 ‘스키마’에 의해 판단을 내리게 된다고 한다. ‘우리는 동물을 포함한 모든 대상에 관해 스키마를 갖고 있다(스키마란 우리의 신념과 생각, 인식, 경험을 구조화하는-그리고 역으로 그것들에 의해 형성되는-심리적 틀을 이른다). 가령 동물은 포식동물과 그 먹이가 되는 동물, 유해동물, 애완동물, 또는 식용동물 따위로 분류된다. 우리가 특정 동물을 어떻게 분류하느냐에 따라 우리와 그것의 관계- 사냥할지, 도망칠지, 박멸할지, 사랑할지, 아니면 먹을지-가 결정된다. (15쪽)’

육식을 하는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돼지, 소, 닭 등이 차지하는 위치는 어디쯤일까? 돼지와 닭을 애완동물로 키우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런 이들을 제외하고 보통의 사람들에게 그들은 결코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존재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이들도 분명 살아있는 생명체다. 그런데 사람들은 들판을 뛰어다니던 돼지와 소, 혹은 닭에게서 ’고기‘가 나왔다는 것을 잘 연결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그걸 연결 지어 생각하면 불편해지기 때문에 스스로 외면하거나 외면하게끔 육류산업에서 철저하게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사람들이 잃어버린 그 연결고리, 혹은 육류산업군에 의해 방해되어 철저히 감춰진 그 연결고리를 다시 찾으라고, 찾아야만 한다고(그렇지 않으면 인간은 물론, 그 인간들에게 잡아먹히는 동물들, 그리고 그런 동물을 키워내기 위해 몸살을 앓는 지구까지 공멸한다고) 주장한다. 육식주의는 굉장히 폭력적이지만 가부장제처럼 이미 이 사회에서 주류 이데올로기로 확고히 자리 잡았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이데올로기라며 그 이면을 들여다보기를 강조한다.    

내가 이 책을 꽤 괜찮게 읽은 이유는 이 책이 단지 ‘육식주의’라는 이데올로기만을 파헤치는 것이 아니라 육식주의 이데올로기를 통해 우리가 흔히 ‘정상’이라고 부르는 이데올로기들이 사실은 ‘다수의 신념과 행동양식’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계속 깨우쳐주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구절을 읽어보면 아, 하고 새삼 깨닫게 된다. 다음의 예문에 육식주의라는 이데올로기 대신 사회의 주류를 이루는 이데올로기- 예를 들면 가부장제, 이성애, 인종주의 등의 단어를 입력해보라. 그 이데올로기들의 허상을 깨닫게 된다.   

육류에 관한 방대한 신화들이 있지만 그 모두는 내가 ‘정당화의 3N’이라고 부르는 것과 어떤 방식으로든 연관되어 있다. 즉, 육류를 먹는 일은 ‘정상이며(normal), 자연스럽고(natural), 필요하다(necessary)’는 것이다. 3N은 아프리카인들의 노예화에서부터 나치스의 유대인 대학살에 이르는 모든 착취적인 시스템을 정당화하는데 이용돼 왔다. 한 이데올로기가 전성기에 있을 때는 이런 신화들이 면밀하게 검토되는 일이 거의 없다. 그러나 시스템이 마침내 붕괴하면 그 3N이 말도 안 되는 것이었음을 알게 된다. 예컨대 미국에서 여성에게 투표권을 주지 않으면서 내세운 이유를 생각해 보라. 남성만 투표를 하는 것은 ‘선조들이 정해 놓은 일’이며, 여자들이 투표를 하게 되면 ‘국가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히고, ‘재앙과 파멸이 온 나라를 덮칠’ 거라고 하지 않았는가. (132쪽)


육식이 결코 건강에 이롭지 않다는 이기적인 생각에서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생명체를 인간의 필요에 의해 길러서 결국 ‘먹는다’는 일의 끔찍함, 혹은 폭력적인 면을 생각해보면 당장 육식을 끊어야 함이 옳다. 그러나 한국에서 살면서 육식주의자를 포기하고 채식주의자로 살기란 참 쉬운 길은 아니다. 회사를 다닌다면 더 그렇다. 사람들과 함께 먹는(먹어야만 하는) 점심 식사와 회식자리에서 메뉴를 살펴보면 더 갑갑해진다. 나는 언젠가 고기 좀 멀리했다고 채식주의자로 오해를 받기도 했다.

채식주의자로 살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그래도 이 책은 육식주의에서 벗어나기를 거듭 강조한다. “동물들이 앞으로도 계속 고통받고 죽어 가리라는 걸 나는 안다. 하지만 그게 ‘나’ 때문은 아니도록 해야 한다.”(197쪽)며. 그게 ‘나’ 때문은 아니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 가슴에 오래 남는다.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가 먼저 고기를 찾아먹는 일이 없도록 노력해야겠다. 그러나 이런 결심을 할 때마다 내 마음을 심하게 뒤흔드는 게 하나 있다. 바로 치킨!! ㅠ_ㅠ 치킨을 어떻게 끊어;; 치킨과 맥주를! 닭을 한 번 애완용으로 길러볼까…. ㅠ_ㅠ
 

우리는 사회의 주류를 이루는 생활방식이 보편적 가치를 반영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보통 또는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따지고 보면 다수의 신념과 행동양식에 지나지 않는다. (38쪽)

이데올로기가 확고히 자리 잡았을 때는 눈에 보이지 않게 마련이다. 그 한 예가 가부장제다…. 육식주의도 마찬가지다. (39쪽)

어떤 면에서, 채식주의가 육식주의보다 먼저 이름을 얻은 것은 당연하다. 주류에서 벗어난 이데올로기들은 알아보기가 더 쉬우니까. 그러나 육식주의보다 채식주의에 먼저 이름이 붙은 데는 보다 중요한 또 하나의 이유가 있다. 확고히 들어선 이데올로기가 그 상태를 유지하는 주된 방법은 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남아 있는 주된 방법은 이름 없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름을 붙이지 않으면 그것에 대해 말할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면 의문이나 이의를 제기할 수도 없으므로. (40쪽)

어느 수준에서는 우리도 진실을 알고 있다. 식육 생산이 깔끔하지도 유쾌하지도 않은 사업이라는 것을 안다. 다만, 그게 어느 정도인지는 알고 싶지 않다. 고기가 동물에게서 나오는 줄은 알지만 동물이 고기가 되기까지의 단계들에 대해서는 짚어 보려 하지 않는다. 그리고 동물을 먹으면서 그 행위가 선택의 결과라는 사실조차 생각하려 들지 않는 수가 많다. 이처럼 우리가 어느 수준에서는 불편한 진실을 의식하지만 동시에 다른 수준에서는 의식을 못하는 일이 가능할 뿐 아니라 불가피하도록 조직되어 있는 게 바로 폭력적 이데올로기다. ‘알지 못하면서 아는’ 이 같은 현상은 모든 폭력적 이데올로기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다. 바로 이것이 육식주의의 요체다. (95~96쪽)

대규모의 폭력 앞에서 우리는 불가피하게 희생자 아니면 가해자의 역할을 맡게 된다. 주디스 허먼은 모든 방관자는 행동을 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결국 한쪽 편을 들 수밖에 없으며, 도덕적 중립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노벨 평화상 수상자이자 유대인 대학살의 생존자인 엘리 위젤(Elie Wiesel)은 이렇게 지적한다. “중립은 압제자를 돕지 절대로 희생자를 돕지 않는다. 침묵은 괴롭히는 자에게 용기를 주지 결코 괴롭힘을 당하는 자에게 용기를 주지 않는다.” (206~20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