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 스릴러'라는 대중적인 장르를 썼음에도 문학적으로도 뛰어난 인정을 받는 존 르카레. 이 작품은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1963년작)>와 함께 그의 양대 걸작으로 꼽힌다. 나는 존 르카레 작품 중 공교롭게도 이 두 작품만을
읽었는데 <추운 나라에서 돌아온 스파이>를 읽었을 때보다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를 읽었을 때 더
감탄이 나왔다. ‘아, 정말 잘 쓰는구나! 대단하다!’ 이런 생각... 이 작품이 <추운 나라>보다 한 10년 뒤에
쓰인 작품인데 그래서 그런 걸까? 인간과 삶을 바라보는 시선은 더욱 예리해졌고, 이야기의 구조도 보다 원숙해진 느낌이다.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는 ‘두더지’ 즉 이중간첩을 찾아내는 게 주된 내용이다. 1960년대 미국과 소련 간 냉전
상황에 각국의 스파이전은 심화되었고 영국 역시 이런 분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실제로 냉전시대에 영국 최고 엘리트들 중에는
소련의 첩자 역할을 한 이들이 많았고 이런 이들의 정체가 발각되어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주기도 했단다). 영국 정보부 최고위직에
소련에서 심어놓은 이중간첩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은퇴한 정보부 요원 ‘조지 스마일리’는 스파이 혐의자들을 대상으로 누가 진짜
‘두더지’인지 밝혀내는 작업을 시작한다. 그 누구도 믿을 수 없고, 믿어서는 안 되는 상황에서 조지 스마일리의 외로운 싸움은
시작된다.
그저 단순히 두뇌게임을 하듯 그래서 누가 두더지인가를 밝혀내는 일에 모든 이야기의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이
작품은 그저 ‘스파이 스릴러’로 끝나고 말았으리라. 그러나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의 미덕은 단순히 이야기를
흥미롭게 하기 위한 ‘스파이 찾기 게임’에 몰두하는 게 아니라, 한 인간이 어쩌다 스파이가 될 수밖에 없었는지, 그리하여
스파이로 살아가는 삶이 얼마나 힘겨운 일인지 등을 보여줌으로써 ‘이데올로기’ 앞에 선 인간 삶의 고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 있다.
은퇴한 정보부 요원인 조지 스마일리의 삶도 그렇고 이 책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들의 삶(주로 정보부와
관계있는)은 기이하게도 뒤틀려있다. 보통 사람의 눈으로만 판단하자면 남부러울 것 없는 부와 명예를 가진 이도 있고, 엘리트코스를
밟고 창창한 미래가 빛나던 이들도 많다. 그런데 그들의 현재 삶은 어떤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미국과 소련, 빛나던 대영제국,
동서갈등 등등 숱한 이데올로기가 난무하던 시절, 자신의 신념에 따라 ‘이것이 옳은 길이다’라고 선택하고 그 길을 걸어가지만 남은 건
‘허상’뿐이다. 스파이로 살기 위해 가진 수많은 이름, 가짜 여권, 여기저기 만들어 놓은 (가짜 혹은 진짜일수도 있는) 가족,
연인…. 어느 것이 진짜 삶인지 정체성의 혼란을 겪으며 그저 세상을 부유할 뿐이다.
조지 스마일리뿐만 아니라
그렇게도 전도유망하던 사람들이 어떤 특정한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혀 ‘국가’라는 혹은 ‘체제’라는 허상을 위해 개인의 인생을
망가뜨리는 것을 보고 있노라면 삶의 쓸쓸한 한 단면을 보는 듯해 어쩐지 마음이 싸해진다. 서글프기도 하고 씁쓸하다. 결국
‘두더지’로 밝혀지는 그 사람조차도 개인의 영광을 위해 그런 선택을 했다기보다는 ‘이념’의 희생자, 자신이 믿었던 세계의
희생자라는 생각이 들어 그저 가련하고 불쌍하게 느껴질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