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진, 역사의 힘 - 새로운 미래의 가능성
하워드 진 지음, 이재원 옮김 / 예담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하워드 진, 그가 세상을 떠난지 벌써 몇 해가 흘렀다. 데이비드 보위를 비롯해 미셸 투르니에, 그리고 신영복 선생까지... 올해도 나라 안팎으로 더없이 아까운 죽음 소식이 들려온다. 죽음에 경중이 있겠냐만은, 몇 해 전 하워드 진 그가 죽었을 때처럼 가슴 한 구석이 뻥 뚤린듯한 기분을 느낀 적도 없는 듯하다. 그런데 그게 어느덧 몇 해 전이라니, 이제는 그 사실이 더 놀랍다.  1월 27일 오늘, 바로 그가 죽은지 어느덧 여섯 해가 지났다. 그를 기리며 그의 책을 한 번 더 훑어본다.

언제부터인지 하워드 진의 글을 읽는 일은 비관주의, 냉소, 허무, 무기력증에서 벗어나는 것과 마찬가지 의미가 되었다. 요즘 한국의 전반적인 상황을 보면 희망이라는 게 존재할까 싶다. 그저 이런저런 생각으로 참 허무하다. 이 땅에서 과연 ‘진보’한다는 의미가 무얼까 그 어느 때보다 회의감이 밀려온다. 이 땅에 사는 인간들은 저마다 제 살기 바쁠 뿐인데, 이른바 ‘먹고사니즘’ 때문에 사회가 정말 ‘진보’하는 일에 관심조차 없을 텐데…. 이 나라가 과연 바뀌는 날이 있을까? 더 나빠지면 나빠지지 좋아질 리는 없을 텐데 등등.

이 런 생각에 빠져 있는 요즈음 하워드 진의 <역사의 힘>이라는 책을 다시 읽는다. 어떻게 그는 희망이 보이지 않는 그 어두운 시대를 살아오고, 지켜보면서 단 한 번도 지치지 않았으며 냉소에 빠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비관주의에 자신을 내몰지도 않았을까? 과연 어떤 확신이 있었기에 그토록 사람을, ‘민중의 힘’을 믿을 수 있었을까? 이 책을 읽는 내내 하워드 진의 확신, 믿음, 희망 근거를 좇느라 내 눈과 마음은 무척이나 분주했다.
 
역사학자인 하워드 진은 바로 ‘역사’ 속에서 희망의 근거를 찾았다. 그는 ‘나는 비관주의를 이해하지만 믿지는 않는다. 이것은 단순히 신념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적 증거로 따져 봐야 할 문제다. 강력한 증거일 필요는 없다. 희망을 주기에 충분하면 그만이다. 희망을 위해 필요한 것은 확실성이 아니라 가능성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든 역사는 우리에게 이런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비록 모든 경우마다 “역사는… 보여 준다”, “역사는 … 증명한다” 같이 확고하게 말할 수는 없지만 말이다). (31쪽, ‘비관주의에 반대한다’ 중)’라며 인종차별, 성차별, 노동자 탄압, 소수자들에 대한 탄압, 자본에 의한 억압, 끊임없는 전쟁 등등 이 세계의 어두운 그늘은 항상 어느 순간 억압받았던 민중들의 폭발, 즉 혁명을 통해 변화해왔으며 그것이 곧 ‘진보의 길’로 나아갔음을 이야기한다.

그는 또한 비관주의에 빠질만한 이들에게 역사 속의 변화를 희망의 근거로 들며 권력에 지배당하지 않고 늘 깨어있으라고 촉구한다. 그 어떤 권력도 민중들의 복종이 없으면 유지될 수 없기에 ‘파업, 보이콧, 복종하지 않기, 복잡한 사회구조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능력 등 이 모든 행동은 여전히 국가나 기업의 무시무시한 권력에 맞서는 강력한 무기’임을 강조하며 권력에 길들여지지 않기를, 필요할 때는 비폭력 직접행동에 나서 세상을 변화시켜야 함을 주장한다. ‘정의를 위한 투쟁을 결코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이런 주장들을 다른 사람이 했다면 설득력이 매우 약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하워드 진은 그 자신이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나 일찌감치 노동 현장의 쓰라림을 맛보았고 전쟁의 참상을 직접 겪었으며 그런 가운데서도 공부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그리고 그렇게 배운 지식으로 사회에서 소외된 자들의 편에서 아픔을 함께하며 평생 정의를 위한 투쟁을 멈춘 적이 없었다. 때문에 그의 가슴으로 써내려간 글들은 그 어떤 이의 말보다 더욱 뜨겁게 다가온다.

이 책은 다양한 시대, 다양한 주제로 하워드 진이 써내려간 에세이 묶음이다. 비록 오래 전 글일지라도 현재에도 여전히 그의 주장은 유효하다. 무엇보다, 그의 글은 쉽고 소박하지만 그 어떤 글보다 뜨겁고 열정적이다. 때문에 지치지 않는 희망의 열정가이자 혁명가인 하워드 진의 글을 읽는 일은 언제나 감동적이다. 그는 어떻게 그토록 긍정적인 시선으로 다른 세상, 더 나은 세상을 꿈꿀 수 있었을까. 그 변함없는 열정과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만들고자 끊임없이 노력한 ‘실천가’의 모습에 울컥울컥 뜨거운 눈물이 흐른다. 하워드 진은 여러 의미로 존경스럽다. 그처럼 살다가야 인생을 참 잘 살았다고 말할 수 있을 텐데…. 오늘은 어쩐지 그가 문득 더욱 그리워진다.


    나는 수업 중에 정치적 관점을 결코 감추지 않았다. 전쟁과 군사주의를 혐오하고, 근본적인 불평등에 분노하고, 민주적인 사회주의와 전 세계 부의 합리적이고 정의로운 분배를 믿는 내 관점을 말이다.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은데 ‘객관적’인 척하는 것은 정직하지 않은 태도라고 생각했다. (153쪽 ‘교육은 얼마나 자유로운가’ 중)

    우리는 정치적으로 되느냐, 아니면 비정치적으로 되느냐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사회의 지배 세력들이 규정한 우선순위와 목적의 틀 내에서만 업무를 수행하면서 기존 질서의 정치를 좇을 것인지, 아니면 현재 우리 사회가 부정하는 평화, 평등, 정의라는 인간적 가치를 활성화시킬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213쪽, ‘비밀주의, 역사 기록, 그리고 공익’ 중)

    대학은 다음과 같이 당당하게 선언해야 한다. 대학의 이해관계는 전쟁, 빈곤, 인종과 민족 차별, 개인의 자유에 대한 국가 통제를 철폐하는 것이고, 협력 정신과 다음 세대에 대한 관심을 강화하는 것이다. 대학이 특정 민족, 정당, 종교, 정치적 교의를 대변하는 이해관계에 봉사해서는 안 된다. 대학은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역설적이게도 정부, 군대, 기업의 협소한 이익을 위해 자주 봉사해 왔고, 더 크고 우월한 가치들에 대한 지지는 아직 보류하고 있다. (230쪽, ‘학문의 효용’ 중)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하수 2023-03-12 22: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 이 책 이제 1부 읽었는데
벌써 별 5개 누르고 싶어집니다
첫 페이지 ˝사람들의 힘을 북돋아 줄 사람이 필요했던 것 같은데, 결국 내가 선택된 것이다.˝부터 행동하는 멋진 지성이란게 느껴져서 그 멋짐에 감동해 버렸어요
끝까지 꼭꼭 씹어 잘 읽어보고 싶어집니다!

잠자냥 2023-03-12 23:01   좋아요 1 | URL
아아, 이 책 하워드 진….. ㅎㅎ심장 뛰게 만드는 사람이죠. 즐겁게 읽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