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가방
세르게이 도나또비치 도블라또프 지음, 정지윤 옮김 / 뿌쉬낀하우스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은 계속 큭큭큭큭. 키득키득 웃게 된다. 그러다가 끝내 어느 부분에서는 ‘푸하하하하’ 박장대소하게 된다. 책을 읽으면서 이렇게 많이 웃어본 게 얼마만인지 모르겠다. 한 편의 개그 소설로 손색이 없다. 하지만 그냥 웃고 끝나는 게 아니다. 이 담담한 소설 속에는 웃고 나면 한없이 찡한, 현실이 담겨 있다.


러시아 소설은 읽고 나면 마음에 남는 게 많지만 섣불리 집어들게 되지는 않는다. 러시아 소설하면 떠오르는 무겁고, 심각하고, 어두운 이미지- 그런 것들 때문에... 그러나 도블라또프의 작품 <여행가방>은 그런 러시아 소설에 대한 고정관념을 깬다. 큭큭큭큭- 웃음이 끊이지 않는다. 체호프의 유머 코드가 담긴 단편을 읽을 때의 느낌과도 좀 비슷하다. 실제로 도블라또프는 ‘20세기의 체호프’라고 불린단다. 적어도 <여행가방>에서는 도블라또프가 체호프보다 더 웃기다.


도블라또프는 미국으로 망명한 러시아 출신 작가다. 1972년부터 신문 기자로 일하며 산문을 쓰던 그는 정부의 박해를 피해 1978년 소련을 떠났다. 그때 그는 소련을 떠나며 가방에 짐을 싸는데, <여행가방>은 그 가방에 담겨 미국까지 따라온 물건들에 관한 이야기다. 양말, 구두, 양복, 벨트, 잠바, 모자, 셔츠 등이다. 이 물건들과 관련한 추억이 옴니버스 형식으로 펼쳐진다. 때로는 예상치 못한 반전이 있고, 단편마다 웃음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나는 프롤로그를 읽자마자 도블라또프의 작품에 매료되기 시작했다.

 일주일 후에 나는 벌써짐을 싸고 있었다. 다 싸 놓고 보니 가방 하나로도 충분했다. 나는 내 신세가 처량하게 느껴져 눈물이 쏟아질 것만 같았다. 내 나이가 서른여섯이 아닌가. 그 서른여섯 해 가운데 18년 동안 돈벌이를 하며 살았다. 수중에 돈이 생기면 물건을 사고는 했으니, 그렇게 사들인 것이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그 결과가 달랑 여행 가방 하나다. 그것도 코딱지만한 가방으로. 아니, 내가 거지도 아니고, 어떻게 이런 지경이 돼 버렸을까?(9쪽)


머리말만 읽고 이렇게 한껏 기대를 하게 되었는데, 첫 번째 단편인 ‘핀란드 산 양말’의 시작부분을 읽다가 나도 모르게 큭큭큭 웃기 시작했다. 도블라또프, 이 사람- 살아있다면 왠지 만나서 수다를 떨어보고 싶은 심정까지 들었다. 누군가 남을 웃길 때, 웃기는 사람이 ‘이건 진짜 웃긴 이야기야’하며 폼을 잡고 이야기를 시작하고,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시종 웃어대면 듣는 사람은 그다지 웃기지 않다. 그런데 도블라또프는 웃지 않는다. 웃긴 이야기라고 말하지 않는다. 담담한 어조. 때로는 심각하게, 시니컬하게 이야기한다. 무미건조한 문체다. 그래서 더 웃기다. 심각한 얼굴로 자신은 전혀 웃지 않으면서 개그를 하는 개그맨이 더 큰 웃음을 주듯이.

 세상에는 정확한 학문들이 존재한다. 이것은 곧 정확하지 않는 학문들도 존재한다는 말이다. 내 생각에, 그 정확하지 않은 학문들 가운데 일등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 어문학이다. 그래서 나는 어문학부 학생이 되었다. (핀란드 산 양말, 16쪽)

 나는 내가 겪었던 가난을 슬퍼하지 않는다. 만약 헤밍웨이의 말을 믿는다면 가난은 작가에게 그 무엇도 대신할 수 없는 학교이다. 가난은 사람을 명민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런 식의 교훈은 얼마든지 있다.
 흥미로운 점은, 헤밍웨이가 부자가 되자마자 이것을 깨달았다는 것이다. (페르낭 레제의 잠바, 139쪽)


앞서 언급했듯 도블라또프 작품의 매력은 그저 한번 웃는 것으로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각 단편에는 공산주의 치하 러시아의 암담했던 현실, 그 현실 속에서 고되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애잔하게 그려진다. 게다가 그 짧은 단편 속에서 인간에 대한 작가의 명민한 통찰력이 돋보인다. 나는 <여행가방> 이 한 권만으로도 도블라또프의 팬이 되었다. 그런데 국내에 번역되어 나온 작품은 이 책이 처음인 듯하다. 앞으로 그의 작품을 더욱 많이 만나볼 수 있으면 좋겠다.
 
내가 크게 박장대소했던 부분은 다음 장면이다. 도블라또프가 자신의 게으름에 대해 쓴 구절이다.

 솔직히 말해, 나는 집에서 나가는 것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다들 나를 가만히 좀 내버려 뒀으면 좋겠는데….
 어릴 때 우리 집에 루이자 겐리호브나라고 하는 유모가 있었다. 그녀는 늘 체포될까 봐 전전긍긍하며 지냈기 때문에 매사에 집중을 하지 못했다. 언젠가 한번은 루이자 겐리호브나가 나에게 반바지를 입혀 주었던 적이 있었다. 그때 그녀는 내 다리 두 개를 바지 한 가랑이에 다 넣어 버렸다. 결국 나는 그 모양으로 하루 종일 돌아다녀야 했다.
 당시 네 살이었던 나는 이 일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나는 그녀가 옷을 잘못 입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다시 입기가 싫었기 때문이다. 옷을 다시 입는 일은 지금도 싫어한다.
 그와 비슷한 일들이 내 기억 속에는 많이 남아 있다. 어릴 때부터 나는 무엇이든 참을 준비가 되어 있었다. 쓸데없이 귀찮은 일만 피할 수 있다면야….(포플린 셔츠, 1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