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과디아 - 1920년대 한 진보적 정치인의 행적
하워드 진 지음, 박종일 옮김 / 인간사랑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과디아 - 1920년대 진보적 정치가의 행적>은 하워드 진의 최초 저작으로 1959년 그의 박사 논문이기도 하다. ‘라과디아’라는 인물에 대해 딱히 크게 아는 바가 없음에도 이 책을 읽게 된 이유는 이런 이유 때문이었다. 하워드 진의 ‘최초’ 저작이면서 ‘박사 논문’이었다는 점. 석사나 박사 논문은 굳이 꼭 다 읽어보지 않더라도 어떤 주제와 소재를 선택했느냐에 따라 그 연구자의 주요 관심사를 알 수 있고 앞으로의 학문 방향까지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하워드 진이 ‘피오렐로 라과디아’를 박사 논문 주제로 삼은 것은 참 ‘그 다운’ 선택이라는 생각이 든다. 라과디아는 1934년에서 1945년 동안 공화당의원으로 뉴욕시장을 세 번이나 했던 사람이지만 이탈리아계로 미국에서는 소수 인종에 속했고, 뉴욕시장을 하기 이전에 긴 세월을 하원 의원으로 보냈으며, 부자보다는 가난한 이들, 소수 인종, 노동자들을 위한 입법 정책을 활발히 했던 ‘20년대의 진보주의자’라고 불리는 사람이다.


하워드 진은 역사는 역사책에서 자주 언급되는 유명한 사람들에 의해 움직이는 게 아니라 오히려 이름 없는 무수한 사람들의 힘에 의해 변화하고 발전되어왔다며 ‘민중의 힘’을 항상 역설해 왔다. 때문에 하워드 진이 서술한 역사서를 보면 주류 역사관과는 많이 다르다. ‘민중의 힘’, 보이지 않는 작은 사람들의 변화의 힘과 가치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해온 그의 관점은 ‘피오렐로 라과디아’를 박사 논문 주제로 선택했을 때부터 예견되었다고 볼 수 있다.


라과디아가 하원 의원으로 열정적으로 활동하던 1920년대 미국은 ‘번영의 시기’라 하여 부가 넘쳐났고 사회는 흥청망청이었다. 피츠제럴드가 그의 소설에서 묘사한 ‘재즈시대’가 바로 이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피츠제럴드가 이때를 다룬 자신의 작품에서 넘쳐나지만 공허한 사람들을 그렸고, 실제로 자신의 주변에서 이유 없이 삶을 포기하거나 망가져 버린 사람들을 언급했듯, 화려한 1920년대의 이면에는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삶도 있었다. 선택받은 소수를 제외하고 대부분 사람들의 삶은 크게 나아질 것이 없었다. 오히려 부가 소수로 집중하면서 화려한 성장의 뒤편에 남겨진 사람들의 삶은 더욱 궁핍하고 어려워졌다.


라과디아는 바로 그런 사람들을 위해 일했다. 하워드 진은 라과디아의 의회 활동을 꼼꼼하게 찾아내어 기록하며, 그 의미와 한계 등을 되짚는다. 라과디아는 전기와 석탄과 같은 산업이 소수 기업에게 독점되는 행태를 막고자 기간산업의 국유화를 줄기차게 주장했고, 노동자의 파업권을 보장하라고 싸웠으며, 누진세제를 통한 부의 재분배를 외쳤다. 어떻게 보면 공화당과는 전혀 반대되는 정책을 내세웠다고도 볼 수 있다(공화당에서는 소수인종에게 인기가 좋았던 라과디아가 필요했기에 그를 쉽게 내치지 못했고, 라과디아에게 있어 당은 중요하지 않았다).


하워드 진은 라과디아의 이런 입법 활동들이 ‘뉴딜’ 정책의 기반이 되었다고 평가를 한다. 누구나 다 뉴딜하면 루즈벨트를 떠올린다. 역사도 루즈벨트 = 뉴딜이라고 기록한다. 그러나 하워드 진은 뉴딜의 기반을 닦은 사람으로 ‘라과디아’를 지목한 것이다. 보이지 않는 소수의 사람, 민중의 힘에 더 주목한 하워드 진의 시선답다. 물론 라과디아를 ‘보이지 않는’, ‘민중’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지만 역사에서 자주 다루는 인물들에 비하면 ‘보이지 않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라과디아>는 하워드 진의 학문 및 정치 세계의 출발점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깊기도 하지만 ‘라과디아’라는 인물과 그가 살았던 1920~30년대 미국의 또 다른 면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흥미롭다. 라과디아는 약자를 위해 줄기차게 싸운 사람이라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줄 ‘정치인’이다. 그러나 ‘정치인’이기에 어쩔 수 없이 한계로 느껴지는 부분도 종종 있다. 1차 대전에 참가하며 전쟁을 옹호하기도 했으며, 이탈리아계 표를 잃지 않기 위해 무솔리니에 대한 비판도 하지 못했다. 또한 때로는 선거에서 이기기 위해 맞대결하는 상대방을 저열하게 깎아 내리기도 했다.


그러나 인간이자 정치인이었던 ‘라과디아’가 이런 한계가 있었음에도 ‘대단한 사람’이었다고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건 그가 결국 그런 자신의 오류를 수정해나갔기 때문이다. 전쟁을 옹호했던 자신도, 무솔리니를 비판하지 못했던 자신도 부끄러웠는지 훗날의 그는 변모한다. ‘진보’란 이런 게 아닐까. 서로 말과 글로 진짜 진보니, 가짜 진보니 ‘진보 싸움’에 여념이 없는 한국의 '자칭' 진보주의자들에게 ‘라과디아’를 권하고 싶다. 진짜 진보란 사회의 약자를 위해 끊임없이 싸우는 사람, 자본보다 사람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때문에 그 자본에 맞서 싸울 줄 아는 사람, 인간이기에 오류와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자신의 그 오류를 인정하고 고쳐나갈 수 있는 사람이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