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어떻게 여성을 차별하는가 - 불평등과 혐오를 조장하는 알고리즘 시대의 진실을 말하다
사피야 우모자 노블 지음, 노윤기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알고리즘은 공정하고 객관적일 것 같다. 그러나 구글 같은 검색사이트들은 ‘공공’검색엔진이 아닌, 기업이다. 기업의 목표는 이윤 추구. 때문에 자연스레 헤게모니 집단을 위해 운영될 수밖에 없다(여기서 성차별 인종차별이 교묘히 일어난다). 기억하자. ‘모든 정보는 동기와 의도를 포함’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19-08-25 2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별점 테러가 좀 심하던데, 제목만 보고 ‘여성 차별’이라는 말에 부들부들거리면서 별점 테러한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라. 손가락을 보지 말고 제발.... 에휴

young026 2024-06-14 13: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고리즘이 ‘공정하고 객관적이라는 것부터가 잘못된 생각이죠. 알고리즘은 수단 내지는 도구일 뿐이고 더 우수한 알고리즘이라는 말은 더 잘 드는 칼이라는 말과 다를 게 없는 식의 개념입니다. 책 소개에서 예시된 포르노그라피 검색 같은 문제는 세상 사람들이 실제로 검색에서 원하는 결과가 그런 것이기 때문에 나오는 결과라서 말씀하신 논점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잘 드는 칼(혹은 총 등등)을 어린애나 범죄자에게서 멀리해야 하는 것처럼 우수한 도구에 대해서 사회적 통제와 감시는 필요하겠지만 이는 또다른 얘기.
‘동기와 의도‘라는 논점에 대해 보자면, 특정 소수를 위한 반민주적 반사회적 조작을 배제해야 한다는 것에는 대다수가 이의가 없겠지만 문제의 포르노그라피 검색결과를 치워 버리는 것 같은 것도 결과 조작인데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봐야 하는가는 의견이 엇갈릴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