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 - 여든 앞에 글과 그림을 배운 순천 할머니들의 그림일기
권정자 외 지음 / 남해의봄날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해 전이었던가, 순천 할머니들의 서울 전시회를 놓쳐서 무척 아쉬웠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할머니들의 글과 그림을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만날 수 있게 되다니, 정말 반가웠다. 이 책 출간 소식을 들었을 때, ‘어머 이건 꼭 사야해!’하고 생각했다. 나는 에세이집은 주로 도서관에서 빌려 읽거나 하는데, 이 책은 바로 구입했다. 몇 년 전 서울 전시회 소식도 그렇고, 이 책도 그렇고 무엇이 그렇게 내 마음을 끌었을까? 글과 그림을 배우고 그 글과 그림으로 자기를 표현한다는 것. 누군가에게는 무척 쉽고 일상적인 일일 테지만 누군가는 평생을 간절히 바라고 꿈꿔왔을 일일 수 있다. 그럼에도 번번이 현실에 가로막혀 그 바람을 이루기가 도무지 불가능해 보일 때, 여든과 아흔을 바라보는 나이에, 드디어 할머니들은 그 꿈을 이뤘다.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는 바로 그러한 꿈의 열매다.

이 책에 담긴 글과 그림은 얼핏 보면 초등학교 1~2학년 아이들의 그림일기를 보는 것 같다. 하지만 그 내용은 정말이지 인생 그 자체이다. 산전수전도 모자라 공중전까지 겪은 이들의 굴곡진 인생이다. 글씨가 삐뚤빼뚤하고, 어린 아이들이 그린 그림 같아도, 그 안에 담긴 절절한 사연 때문에 탄식하기도 하고 웃기도 하고 미소 짓기도 하다가 끝내 눈물 흘리게 된다.

할머니들의 사연은 어찌 보면 예상 가능하다. 그 세대 어른들이 살아왔을 법한 그런 삶이 짧은 글 안에서 꾸밈없이 그려진다. 딸이라고 구박받고, 딸이라서 배우지 못하고. 그러면서도 일찍부터 집안을 돕고 동생들 건사하며 살다가 어느 날 문득 얼굴도 모르던 사람과 선을 보고 집에서 쫓겨나듯이 결혼하고, 결혼 뒤에는 가혹한 시집살이가 기다리고 있다. 애들한테 흰쌀밥 먹였다고 시아버지가 밥상을 던지고 딸을 많이 낳았다고 구박받는 등등 무서운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로도 모자라 시누이는 또 시누이대로 못살게 군다. 남편이라도 따스하게 대해주면 좋을 텐데 이 책 속에 그려진 남편들은 대개가 술주정에, 바람에, 폭력에 난봉꾼들이 따로 없다. 그런 이와 살면서 이제는 딸을 낳았다고 구박받고, 자식들은 자식들대로 엄마 마음도 몰라준 채, 차별받고 자랐다면서 볼멘소리를 한다. 할머니들 인생 참 가엽고 안쓰럽다.

그런데, 도무지 행복하지 않을 것 같은 이런 인생에서도 할머니들은 참고, 견디고, 때로는 그 안에서 소소한 기쁨도 발견하면서 그렇게 살아간다. 이 삶의 무게를 견디고 보듬어 안는 그 마음들을 엿보노라면 자못 숙연해진다. 선본지 3일 만에 결혼한 어느 할머니의 사연은 참으로 기가 막히다. 할머니의 시댁은 너무나 가난했다. 시어머니가 잠잘 방이 없어서 하루는 형님 방에서 하루는 할머니의 신혼 방에서 잤다. 이 기막힌 현실 앞에서도 할머니는 이렇게 말한다. ‘그때 시어머니는 우리와 함께 자면서 얼마나 불편했을까 생각하면 짠하다.’……. 치매 앓는 시어머니를  자식들이 서로 모시지 않겠다고 해서 4년 넘게 홀로 시어머니 병수발을 한 할머니도 있다. 이 할머니는 그런 시어머니가 가여워서 ‘어버이날이 되면 시어머니가 불쌍해서 꽃을 사다 달아 주면서 마음이 아팠다’고 말한다. 그렇게 모질게 구박받으며 살아왔으면서도 이런 마음을 품고 있는 할머니들 앞에 그저 마음이 먹먹해진다.

어떤 사연은 너무나도 충격적이다. 열한 살 때 피난길에서 동생이 죽은 할머니는, 죽은 동생을 어디다 두고 갈 수가 없어서 하루 종일 업고 다녔다고 한다. 지금도 죽은 동생을 잊을 수 없다는 그 짤막한 일기에는 더없이 큰 아픔이 담겨 있어 어떤 말도 쉽사리 나오지 않는다. 죽은 동생을 업고 하루 종일 다니는 마음은 어떠했을까? 그리고 그 일을 평생 잊지 못하고 이렇게 일흔, 여든을 지나 아흔을 바라보는 나이에 글을 배워 그때 그 일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은 또 어떤 심정일까. 나로서는 도저히 헤아리기 어렵다.

할머니들도 ‘딸’이었던 시절이 있었기에 엄마를 그리워하는 마음도 일기 곳곳에서 보인다.



큰집에는 딸만 있고 아들이 없었습니다. 할머니는 큰어머니 몰래 사람을 얻어 아들을 낳게 했습니다. 나중에 큰어머니가 알고 그 여자 머리채를 잡고 싸우는 것을 봤습니다. 우리 엄마는 얼른 치맛자락을 펴서 내 눈을 가리고 못 보게 했습니다. 나는 살면서 힘들 때마다 엄마를 생각했습니다. (‘훌륭한 우리 엄마’, 16쪽)


그러나 무엇보다도 내가 <우리가 글을 몰랐지 인생을 몰랐나>에서 느끼는 감동은 글과 그림을 배우고 익혀서 자신을 표현하고, 그래서 행복한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 할머니들 모습을 볼 때 가장 크다. 글을 몰라 평생 죄지은 것처럼 부끄러움과 두려움에 떨며 살았던 할머니들은 글씨를 배우고 그림을 그리면서 조금씩 그전까지는 몰랐던 또 다른 인생의 즐거움을 알아간다. 은행에 가는 일도 더는 두렵지 않고, 계약서도 이제는 직접 쓴다. 핸드폰으로 자식들과 남편에게 문자를 보내며 소통한다. 무엇보다도 글과 그림으로 자기 안에 있었던 상처를 치유한다.

아버지, 그 많던 재산을 술과 여자, 노름으로 다 없애고 가난뱅이가 된 아버지, 엄마는 아버지 때문에 병을 얻어 젊은 나이에 돌아가신다. 학교도 안 보내 주고 술 먹고 노름하고 여자를 집까지 데려와 엄마랑 셋이 함께 잠을 자고 밥상까지 차려 바치게 했던 아버지. 엄마가 돌아가신 뒤 그런 아버지와 인연을 끊고 살았다는 어느 할머니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도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았고 엄마 산소에 갈 때도 아버지 묘는 쳐다보지도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할머니는 글을 배우면서 조금씩 마음을 열었고 드디어 처음으로 아버지 산소에 절을 올렸다. 글과 그림이 주는 치유의 힘은 이렇게도 크다. 게다가 할머니들은 글을 배우고 가족들한테 칭찬을 들으니까 ‘보약 먹은 것처럼 힘이’ 난다고 말한다. 글 가르쳐 주는 선생님은 ‘청소나무 때는 아궁이처럼 열심히 가르쳐’ 주신다고도 말한다. 이런 살아있는 표현력에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어엿한 작가와 화가가 된 할머니들은 글과 그림을 배움으로써 여든, 아흔의 나이에도 또 다른 꿈을 꾼다. ‘앞으로 내 꿈은 글을 많이 배워 우리 동네 이장이 되는 것입니다.’ 라고. 할머니들의 꿈을 진심으로 응원하게 된다.

책을 읽노라니 괴팍하기만 하던 우리 할머니 생각도 난다. 할머니도 글을 모르셨는데, 내가 글을 깨우칠 무렵, 그 괴팍하고 성마른 노친네가 아주 부끄러운 얼굴로 ‘이게 무슨 글자냐’ 묻던 모습은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딸이라고 구박하고, 엄마를 구박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 같았던, 내게는 악마 같기만 했던 할머니인데도 그때만큼은 글자를 아는 아이 앞에서 얌전한 양이 되었다. 할머니 때문에 글을 모른다는 건 이렇게 사람을 부끄럽게 만드는 일이구나 생각했던 것 같다. 할머니도 그때 글을 배우셨다면 성마른 성미가 조금은 누그러지지 않았을까, 엄마를 덜 괴롭히지 않았을까……. 이제는 이 세상에 계신 분이 아니니, 내가 글을 가르쳐드릴 수도 없는 노릇이고, 모진 시집살이에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남편 때문에 괴롭게 살았던 엄마에게 이 책을 선물하고 싶다. 엄마는 나보다 더 크게 공감하다가 책을 다 읽을 무렵엔 활짝 웃으실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