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어디서 본 사람인데...어디서 보았지 ?

어디서 많이 들어 본 이름인데... 워낙 흔한 이름이라서 그런가 ?

아 ! 믿을 수 있게도, 그는 내 중학교.고등학교 동기생이었습니다. 당연히 믿을 수 있게도, 그와 난 한 번도 같은 반을 못 해 봤기 때문에 그다지 친하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믿을 수 없게도, 서로 마주쳐도,이름을 대고 아는 체를 해도 기억이 나지 않을 수도 있는 그는 내 동기생이었습니다.

그렇게 뜻밖의 장소, 뜻밖의 시간에 친구를 만났고 친구의 얘기를 들었습니다.
제가 기억하는 친구는 어눌한 놈이었는데 어디서 약장사를 하다 왔는 지 엄청나게 말빨이 세져 있었습니다. 별로 친하지도 않았던 놈의 주절이 주절이 늘어놓는 얘기를, 참으로 믿을 수 있게도, 넋을 잃고 한마디도 놓치지 않고 싸그리 싸그리 다 들었습니다.

그래, 놈은 이렇게 살아왔구나 ! 1할2푼5리쯤의 승률로 이렇게 살아왔구나 !

나는 이 친구가 7할6푼8리 쯤의 승률로 중학교를 다니던 때를 기억합니다.

나는 이 친구가 9할2푼1리 쯤의 승률로 고등학교를 다니던 때도 기억합니다.

나는 지금도 이 친구가 최소한 8할5푼4리 쯤의 승률로 잘 살고 있을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이 놈이 1할2푼5리 쯤의 승률로 지금까지 살아왔다고 하네요.

이 친구, 남들이 삼미 슈퍼스타즈의 팬클럽을 탈퇴하고 OB 베어스나 MBC 청룡으로 바꿀 때도 끝까지 삼미 슈퍼스타즈를 응원하더니...내 그리 될 줄 진작에 알아봤습니다.

그래도 놈은 지금 행복하군요.

나는 지금까지,내가, 7할5푼 쯤의 승률로 살아 온 줄 알고 있었습니다만 이 친구 얘기를 들으니 저도 겨우 1할2푼5리 쯤의 승률로 살아 왔다는 걸 알았습니다.

내가 7할5푼의 승률을 유지할려면 누군가 어떤 친구가 1할2푼5리 쯤의 승률로 살아줘야 한다는 걸 이제야 알았습니다.

친구의 얘기를 들으며 나에게도 순수하게 삼미 슈퍼스타즈를 좋아하던 그 시절이 있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삼미 슈퍼스타즈의 성적에 실망하여 OB 베어스나 MBC청룡으로 배신을 땡긴 그 순간부터 제 인생도 배신자의 인생이 되어 어둠의 골목길에서 깃을 세우고 숨어 지내왔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친구의 얘기를 들으며 깔깔 땍때구르르.... 웃다가....엉엉 돌돌스르르..... 울었습니다.

친구와 1할2푼5리의 승률로 살아 온 서로의 인생에 대해 건배하며 밤을 지샜습니다.

나도 이제 다시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에 가입할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혼의 음모
E.L.독토로우 / 한뜻 / 1995년 6월
평점 :
품절


이 소설은 링컨 대통령이 죽은 몇 해 뒤인 1871년 뉴욕의 맨하튼을 무대로 석간 "텔레그램"지의 편집장이었던 매킬베인이란 사람의 회상형식으로 쓰여진 이야기입니다. 얘기는 어느 날 자신의 프리랜서 중 한 사람이었던 마틴 펨버튼이 사라지면서 시작합니다.

마틴의 행적을 쫒던 매킬베인은 마틴이 죽은 아버지 어거스터스 펨버튼이 사실은 죽지 않고 살아있다는 이야기를 친구와 목사에게 한 사실을 알고 음모에 의한 실종임을 확신합니다. 마틴의 아버지 어거스터스는 남북전쟁 당시 노예밀매 등의 악덕한 사업으로 돈을 번 거부로 마틴과는 심한 불화를 겪다 얼마 전 갑작스레 죽은 사람입니다.

하지만 마틴은 살아있는 아버지를 보았으며 여기엔 무슨 음모가 있다는 걸 확신하고 아버지를 추적하다 실종된 것입니다. 매킬베인은 청렴결백한 경찰서장 단과 함께 마틴을 찾기위해 나섭니다. 끈질긴 추적 끝에 드디어 드러나는 음모 ...

두 사람은 결국 시대를 앞서 간 천재의사 새토리어스가 마틴을 감금하고 어거스터스의 생명을 연장해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하지만 새토리어스는 악인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지적이고 인간적인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기 위해 연구를 했고 마침 생명을 연장하길 바라는 많은 부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투자를 받아들여 실험을 계속해 온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수명이 연장된 사람들은 영혼이 없는 육체만의 빈껍데기 인간으로 살아 온 것입니다. 세상은 재판도 없이 새토리어스를 정신병원에 가두고 모든 기록을 없애 버립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매킬베인은 이 사건을 회고합니다.

이 소설은 난해합니다. 간단한 스토리와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도무지 진도가 나가지 않는 책이었습니다. 읽고 있는데 딴 생각이 끼어들기 일쑤였고 읽고 나서도 정리가 안 돼 다시 읽은 페이지도 부지기수입니다. 겨우 282 페이지짜리 소설 한 권 읽는데 근 한달이 걸린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다른 책들처럼 쉽게 던져버리지 못한 건 무엇때문일까요?

이 소설은 짧고 단순한 스토리지만 그 사이엔 화자의 사색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 사색의 갈피는 그다지 심오한 것 같진 않으면서도 묘한 울림이 있습니다. 영혼과 육체의 문제, 종교, 철학, 시대정신 등등 작가의 사상은 드러나지 않게 행간들을 메우고 있습니다.

인간이 "산다"라고 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 어거스터스의 육체는 살아 있더라도 그의 영혼이 이미 죽은 것이라면 그는 "살아있다"라고 할 수 있을까요 ? 인간의 생명과 영혼의 연장을 위한 연구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간의 생명이 늘어나면 그만큼 인간의 행복도 늘어나는 것일까요 ? 개인의 의식은 시대정신에 앞서는 것일까요 아니면 결코 시대정신을 앞설 수 없는 것일까요 ? 여러가지 의문이 뇌리를 맴돕니다.

지금은 이 소설을 잘 이해할 수 없습니다. 다음에 제 영혼이 더욱 성숙한 시기가 온다면 다시 한 번 읽어 봐야할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 - 복거일의 영어 공용론 SERI 연구에세이 3
복거일 지음 / 삼성경제연구소 / 200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뷰작 "비명을 찾아서"에서부터 "민족어의 쇠멸"이란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여 온 복거일은 21세기에 들어서자마자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최초로 "영어공용론"을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이 소책자는 그의 영어공용론을 조리있게 정리한 소논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의 주장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1.언어는 정보전달의 망(network) 노릇을 한다.

2.현대의 망 경제(network economy) 상황은 강력한 국제어를 요구한다.

3.현재 그런 국제어로 부상한 언어는 영어이다.

4.영어는 과거 역사에서 나타났다 사라져간 국제어들과는 다르게 다른 어떤 언어들도 도저히 도전할 수 없을 만큼 확고한 국제어로서의 위치를 굳히고 있고 그런 현상은 앞으로도 더욱 심해질 것이다.(교통.통신.미국의 힘 그리고 결정적으로 인터넷)

5.영어의 득세로 인해 궁극적으로 민족어들이 쇠멸할 것이다. (약 300년내)

6.이런 추세로 나가면 한국어도 "박물관 언어(museum language)"로 남을 것이다.

7.영어를 잘 못해서 발생하는 손실은 막대하다. 세계정보의 대부분이 영어로 통용되고 있지만 한국이 영어를 못 해서 아예 들어오지 않는 정보가 막대하며 이는 한국의 국제경쟁력이 현저하게 약해짐을 뜻한다.

8.번역과 통역 등은 이러한 현상의 대책이 될 수 없다. 언어는 11세 이전에 배운 제1언어가 평생을 지배한다. 그 이후 배워서 쓰는 언어는 한계가 있다.

9.결국 가장 확실하고 진정한 대책은 영어를 모국어로 삼는 것이다.

10.당장 영어를 모국어로 삼는 것은 어려우므로 현실적으론 영어공용이 대안이다.

11.영어공용을 하더라도 우리 민족전통과 민족문화를 지키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여러번 언어를 바꾸면서도 민족의 정체성과 전통을 유지해 온 유태인들과 한글창제 이전까지 우리문화의 대부분이 한문으로 기록된 예를 듬.

12.언어는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민족의 혼이 담긴 것이 아니고 도구에 불과하다.

13.이미 민간주도로 영어의 공용화가 진행되고 있고 정부가 주도하지 않기 때문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 이러한 피해는 상류층.지도층이 아닌 서민층에 더욱 크게 돌아간다.

14.따라서 지금부터라도 시급히 정부 주도의 영어공용이 시행되어야 한다.

15.궁극적으론 후손들에게 풍요로운 미래를 물려주기 위해서는 영어를 우리의 모국어로 삼아야 한다.

이 정도로 요약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요약해 놓고 보니 상당히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의 솓구침을 막기 힘듭니다만 복거일의 논리적이고 냉정하면서도 깊이있는 분석은 무시할 수 없는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 영어는 영어권 국가(영국,미국,캐나다,호주, 아일랜드 등)들만의 말은 아니라는 점도 수긍할 수 있습니다. 비 영어권의 영어가 오히려 영어권 국가로 침투하는 현상까지 있다고 하고 그런 현상은 앞으로도 심화될 거라고 합니다. 따라서 미국에 대한 감정적 거부감으로 영어를 편협하게 보아서는 안 된다는 사실도 인정할 수 있습니다.

언어는 도구일 뿐 언어 자체가 민족과 동일어가 아니라는 점도 일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영어에 대한 필요성과 대중의 욕구는 이미 막을 수도, 막아서도 안 되는 일이라는 점은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어차피 대세를 거스를 수 없다면 적극적으로 영어를 받아들여 우리의 문화와 전통을 세계로 퍼뜨리고(영어로) 세계와의 경쟁에서 이긴 잘 사는 미래를 후손에게 물려주자는 주장에 이르면 그의 주장이 황당한 것이라곤 도저히 말할 수 없게 됩니다.

저는 아직은 감정적으로 그의 주장에 쉽게 동조할 수가 없습니다. 민족의 존재와 전통이 언어와 함께하지 않는다는 말은 여전히 전적으로 동감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그의 논의가 충분히 근거있고 공론화할 가치가 있다는 데엔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오랫동안 누구보다도 열심히, 깊이 "민족어의 쇠퇴"문제를 연구해 온 작가의 문제의식과 감히 누구도 나서서 말하지 않는 논의를 시작한 작가의 용기에 머리를 숙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들의 사회 행복한책읽기 SF 총서 3
로저 젤라즈니 지음, 김상훈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먼 미래 지구와 닮은 어느 행성에 정착한 "제1세대"들은 고도로 발달한 과학기술로 육체를 바꿔가며(轉生) 살아가는 능력을 갖게 됩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퍼뜨린 자손들을 지배하기 위해 힌두교를 적용하여 민중들을 무지와 암흑의 카스트제도로 묶어 놓고 자신들은 힌두의 신들이 되어 "천상도시"에서 수십세기를 신으로서 군림합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항해서 반란의 기치를 올린 불사의 영웅이 있었으니 그 이름하여 "샘" !
그의 이름은 대성(大聖), 즉 위대한 영혼을 뜻하는 마하사마트만(Mahasamatman)에서 마하(Maha)와 아트만(atman)을 생략한 약칭이다. 제1세대중 한 사람인 그는 훗날 "악마의 구속자" 칼킨,싯다르타, 고타마, 세존,만주스리(文殊舍利),보디사트바(菩提薩陀),정각자(正覺者),그리고 여래(如來) 마이트레야(미륵)라 불리고 그는 곧 "빛의 왕"이 됩니다.

로저 젤라즈니의 1967년도 소설 "신들의 사회"는 SF라고 하기도 그렇다고 판타지라고 하기도 어려운 소설입니다. 전체적인 구도는 힌두교의 신화를 차용하고 있는데 그 내용 또한 신화를 방불케 합니다. 하지만 주인공들은 진짜 신들은 아니며 그들의 신적인 상(相)과 속성(屬性)은 과학을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만화 "드래곤볼"을 능가하는 박진감 넘치는 신무협지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며 생과 사, 신과 인간, 종교와 과학에 대한 상징과 비유는 철학서라고 해도 좋을 정도입니다.

로저 젤라즈니는 전작 "내 이름은 콘라드"와 같은 작품에서도 불사의 인간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신화적 세계를 창조한 것처럼 신화가 없는 미국에 새로운 신화를 만들어내고자 노력한 작가입니다.

그래선지 원대한 상상력에 비하면 깊이는 좀 부족한 편입니다. 하지만 "내 이름은 콘라드"와 "신들의 사회"를 서른즈음에 발표했다는 사실을 보면 그의 천재성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신들이 사회"도 마지막 부분이 다소 용두사미식으로 약하게 마무리된 감이 없지 않지만 기본적으로 그 구성의 치밀함은 한 작가가 성취하기엔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경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오한 상징을 찾을 사람은 그런 사람 나름대로 그냥 재미있는 SF판타지를 읽고 싶은 사람은 또 그 나름대로 다같이 즐길 수 있는 걸작임에 틀림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대어 기르기
김희도 지음 / 삼호미디어 / 1999년 10월
평점 :
절판


6개월전쯤 애들이 치킨을 시켜 먹자고 해서 시켰는데 제브라 두마리가 선물로 따라왔다. 조그만 병에 넣어놓고 곧 죽겠지하고 놔 뒀더니 멀쩡하게 잘 사는 게 신기했다. 좀 더 큰 병으로 옮기고 먹이를 사고 산소 공급기를 샀다. 외로울까봐 제브라를 두 마리 더 사 넣었다. 무려 3개월을 잘 사는 제브라를 보며 '물고기 키우기도 별 게 아니구나 !'라고 생각하게 됐다.

레드 플레티도 사고 칼라 테트라도 사 넣고 키웠는데 역시 죽지는 않았는데 아무래도 병이 좁아 보였다. 이번에는 45CM짜리 어항을 하나 사고 모래도 깔고 히터와 필터까지 사 넣었다. 좀 허전한 거 같아 수마트라도 네마리 사 넣었다. 문제는 이 때부터 시작됐다.

물고기들이 한 마리씩 차례로 죽어가기 시작했다. 이유를 알 수 없어 급한 마음에 이 책을 샀다. 이 책의 내용은 대략 큰 틀은 알겠는데 집에서 실천해 볼려면 설명이 자세하지 않아서 적용이 잘 안 됐다. 그 사이 물고기들은 차례로 죽어 갔다.  동네 할인점으로 달려가 점원에게 물어보고 하나씩 배우며 겨우 몇 마리는 살릴 수 있었다.

한마디로 이 책은 수박 겉핥기식의 입문서로 실제 물생활에 거의 도움이 안 된다. 이 책보다 수족관이면 어디나 비치 돼 있는 무료 안내책자가 더 자세하고 실용적이다. 책이라면 좀 더 전문적이거나 아니면 정말 실제로 적용하기 쉽게 현실적이어야 할 텐데 이 책은 그냥 개론서 정도다. 정말 물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주변 가게에 가서 물어보는 게 훨씬 실수를 줄일 수 있는 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