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 강탈자의 침입 - Invasion of the Body Snatchers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도시에서 고향마을로 돌아온 의사 마일스 버넬(캐빈 메카시) 박사는 가족이나 친구들이 마치 딴사람처럼 변했다고 느끼는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뭔가 이상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애인 베키(다나 윈터)도 아버지가 딴사람처럼 느껴진다고 합니다. 친구 정신과의사에게 이런 사실을 얘기하지만 집단히스테리 정도로 가볍게 여깁니다.
이웃친구 부부의 호출을 받고 간 마일스는 이상한 시체를 목격합니다. 분명 사람의 형태를 하고 있긴 하나 사람은 아닙니다. 신체는 살아있지만 얼굴의 형태는 불분명합니다. 마일스가 베키를 데려다 주고 돌아와 보니 시체는 잠든 친구의 얼굴로 변해 있습니다. 베키가 걱정 돼 베키의 집으로 몰래 들어간 마일스는 지하실에서 베키로 복제되고 있는 신체를 목격합니다.
나중에 마일스는 사람들을 복제한 신체가 외계식물의 거대한 꼬투리에서 나온다는 걸 알게 됩니다. 잠들면 그 사람을 복제하고 그 사람인 척 행동합니다만 감정이 없고 어딘지 부자연스러운 행동을 합니다. 마일스와 베키는 마을사람들이 대부분 외계생물체로 바뀐 걸 알고 사실을 알리기 위해 고속도로를 통해 외부로 나가려 합니다. 외계생물체로 변해버린 사람들이 두 사람을 추격합니다.
"신체강탈자의 침입"은 50년 넘는 세월 동안 무려 네 차례나 리메이크된 특별한 영화입니다. 아마도 잭 피니의 원작소설 '신체강탈자(The Body Snatchers)'가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일 겁니다. 돈 시겔 감독의 이 영화가 첫 번째, 두 번째는 필립 카우프만 감독이 1978년에 같은 제목으로 리메이크했고(우리나라엔 "외계의 침입자"로 나왔음), 1993년에는 아벨 페라라 감독도 "바디 에이리언(Body Snatcher)"로 리메이크 했습니다. 긜고 2007년 니콜 키드먼 주연의 "인베이젼(The Invasion)"으로 네 번째 리메이크 되었습니다. 리메이크 횟수도 많지만 네 영화 모두 나름대로 수준있는 영화로 각각의 영화가 모두 볼 만 합니다.
지금 보면 영화 내용은 짧고 단순하지만 공포는 세월을 뛰어 넘어 여전합니다. 겉으로 보기엔 전혀 달라진 것 없는 사람들이 한 순간 내가 알고 지내던 사람이 아니라는 설정은 생각만으로도 공포를 자아내기에 충분합니다. 1950년대엔 유달리 좀비 등 이런 류의 소설이나 영화가 많습니다. 냉전과 핵전쟁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원인입니다. 특히 미국은 맥카시 선풍으로 공산주의의 침입에 대해 극도의 히스테리를 보이던 시기였기 때문에 이런 류의 공포에 유난히 공감했던 것 같습니다. 주인공 배우의 이름이 맥카시인데 우연이라 하기엔 재미있습니다.
영화는 공산주의의 침입에 대한 두려움으로, 혹은 정반대로 맥카시 선풍 등에 대한 조롱으로도 읽힙니다. 육체와 정신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인 영화로 봐도 무리없습니다. 뭐 그냥 공포스릴러 자체로도 손색이 없고요. 그만큼 이 영화의 내용은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무언가가 있습니다. 네 영화를 모두 보고 비교해 보면 더욱 재미있을 겁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hizz 2013-01-14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희 커뮤니티에 쓰신 내용을 일부 옮겼습니다. 미리 양해 구하지 않고 옮겨 죄송하며, 댓글로 지워야 한다고 말하시면 삭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옮겨 쓴 주소. https://plus.google.com/106944354670147886422/posts/7euCThyMaU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