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클래식 - 조우석의 인문학으로 읽는 클래식 음악 이야기
조우석 지음 / 동아시아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주장이나 논리라고 하기엔 석연치 않은 면이 많다.  추론적인 클래식 비판을 보는것 같았고 그 근거는 지은이의 정확한 근거와 논리의 부족을 들수 있다. 논리적 거부라고 하기엔 이론적 배경이 너무 빈약하다. 적어도 로고스적 이성에 부합하는 역할로서의 클래식의 탄생이나 적어도 바하의 대위법이 민주주의 구성원의 평등성을 강조한것에 대한 비판같은 거라도 있어야 하는것 아닌가? 

하물며 알레그레토와 아다지오가  욕망의 고조와 욕망 뒤의 허무라는 철학적 이해를 해주는 논거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다. 저자가 굿바이 클래식이라고 외치면서 거창한 포문을 열어가는 모습이 좀 허황된 느낌이든다. 그만큼 이성적 설득력을 갖고 써내려간 글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렇다면 좀 더 솔직하고 소박하게 써가야 하지 않았을까? 

짜집기식 구성과 잡다한 상식의 꿰맞추기식 나열로는 클래식을 멀게 하긴 역부족이다. 그만큼 서구 근대문명을 구성한 클래식의 넓고 깊고 거대한 제국적 이미지는 견고하기 때문이다. 수십 수백편의 클래식 관련 논문을 쓴 아도르노의 번역본이 겨우 <음악사회학>정도이고 에릭홉스봄의 저서가지고는 심오한 그들의 정신세계를 감히 논하기엔 너무도 패기에 찬 도전으로 보여진다. 그런면에서 읽을 거리는 많다. 

재즈를 듣고 머리속이 시원해지는 매니어나  클래식을 듣고 머리가 맑아진다는 고매한 철학교수님의 말씀으로 새삼 책의 무게를 견주어 보기도 한다.  자칫 혹평으로 끝날수도 있는 점에서 마지막으로 냉정한 잣대를 들이댄다면 

클래식 컴플렉스를 가진 사람이 클래식을 알고나서 그 경외심에 떨었던 인식을 새롬게 하면서 종국엔 클래식도 인간이 저지른 행위라는 자각을 바탕으로 썼다는 느낌이다. 비평서라기 보다는 비판일 뿐이라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