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리즈, 플리즈 미! 2 팝툰 컬렉션 7
기선 글 그림 / 팝툰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대한민국의 소위 말하는, 혼기가 꽉~ 찬 미혼 남녀들이 가장 듣기 싫어하는 말 가운데 하나란 바로 이런 말들일 것이다.   


  “넌 결혼 안 하니? 대체 국수는 언제 먹여 줄 거야?”

 

  그것도 애인 없는 싱글이라면 이런 종류의 말은 언제나 엄청난 압박감으로 다가올 것이다. 말하는 사람들이야 그저 한 마디 씩 지나는 말로 할 수 있다지만, 비슷한 종류의 말을 계속해서 들어야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자신이 마치 제 값에 팔리지 않은 유행 지난 물건이 되어가는 심정일 테다. 처치곤란의 재고품들이 세일에 세일을 거쳐 결국에는 떨이 상품으로 헐값에 팔려나거나 폐기처분 되는 것처럼 자신들도 언젠가는 필요 없는 폐품 취급을 받게 되는 건 아닌 가 불안해하면서 말이다.

  2005년 여름을 강타하며 국민드라마의 반열에 올랐던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수많은 사람들이 이 드라마를 보며 울고 웃었던 이유는 주인공 김삼순이 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여자, 어쩌면 바로 나였기 때문이다. 물론 단지 현실만을 반영했다면 그토록 많은 삼순이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을 리 만무하다. 주인공 삼순이는 철저히 현실 속에 있는 인물이되 이야기는 그녀들이 꿈꾸는 판타지 로맨스를 절묘하게 버무려 놓았기 때문에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었던 것이다. 삼순이가 사랑받는 사이 뉴요커 4인방의 적나라한 싱글 라이프를 그려낸 미드 <섹스 앤 더 시티>도 국내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수많은 골드 미스들은 삼순이의 로맨스를 지지하면서도 정작 자신은 캐리나 미란다가 되고 싶어 했다.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두 드라마가 인기를 끈 이후 비슷한 아류의 영화, 드라마, 소설들이 무더기로 쏟아져 나왔다.

  기선의 신작 <플리즈, 플리즈미>는 삼순이와 캐리의 중간쯤 되는 어중간한 주인공 구애리와 그녀의 두 친구들이 주인공이다. 아니, 구애리 그녀는 어쩌면 삼순이나 캐리보다는 비슷한 시기에 인기를 끌었던 시트콤 <올드미스 다이어리>에서 뭐 하나 잘난 것 없이 집안의 애물단지가 되었던 주인공 최미자씨와 더욱 닮아 있는지도 모른다. 작가 기선이 자기 주변의 평범한 싱글녀들의 이야기들을 직접 수집하고 귀동냥으로 담아냈다는 <플리즈, 플리즈미>는 그래서 좀 더 현실적이고 솔직한 화법을 구사한다.   

  불과 10여 년 전만 하더라도 똥차 취급을 받으며 노처녀란 이름으로 싸잡아서 매도되었던 이십대 후반 이상의 여자들에게 요즈음 서른은 더 이상 올드미스가 아니다. 오히려 결혼하지 않은 당당한 싱글녀들에게 골드미스란 신조어가 생겨났고, 그녀들은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엄청난 영향력을 지니는 거대 단체로 자리 잡았다. 이 작품에서도 그녀들은 결혼적령기의 나이가 무색하리만큼 결혼 자체에 대해선 그닥 고민의 흔적을 풀어놓지 않는다. 다만 20대 후반이나 30대 초반을 살아가는 대한민국의 평범한 싱글들의 삶은 예상보다 화려하지도, 멋있지도 않다는 것을 단적으로 드러내준다.

  그녀들은 일과 사랑, 재테크 때문에 고민하고 결코 녹록치 않은 인생을 한탄한다. 특히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구애리와 친구들의 사랑이야기가 부각되고 있는데, 그녀의 이야기는 참으로 공감이 가면서도 안타깝다. 왜 남자는 여자가 적극적으로 다가가면 도망가고 달아나면 잡고 싶어 할까? 설령 남자의 적극적인 구애로 시작된 관계일지라도 만남이 지속되다보면 관계의 역전은 순식간에 일어나는 것이 남녀관계의 일반론이다. 구애리 이전에 서른을 살아냈던 삼순이와 미자씨가 결국에는 멋지구리한 연하남의 사랑을 쟁취한 것처럼 우리의 주인공 애리씨도 솔로탈출에 성공할 수 있을까? 사랑에 있어서 언제나 Loser가 되었던 애리씨가 이번엔 꼭 그녀와 꼭 맞는 상대와 사랑에 빠지길 진심으로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