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 인생의 굴곡 많은 사람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가는 곳 마다 세계사에 길이 남을 사고와 마주치고, 한국사에 길이 남을 만한 사건을 만든 인물이 얼마나 될까? 작가 황석영의 인생이 그렇다. 오죽하면 황석영 가는 곳마다 사건 사고가 일어난다는 말이 생길 정도로 그가 지나온 발자취를 따라가보면 사고의 연속이었다. 그런 그의 작품 바리데기를 읽고 있노라니 바리의 인생의 그의 인생과 닮은 구석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바리는 7자매의 막내로 태어났다. 막내까지 딸인 것을 안 엄마는 바리를 산속에 버리지만 집에서 키우던 흰둥이가 아이를 찾아와 자기의 집에 놓고 보살펴 바리는 생명을 부지하게 된다. 또한 어린 시절 장질부사 염병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기지만 이후 영매의 기질을 보이게 되고, 그런 그녀를 이해하고 보듬어주는 할머니. 이후 할머니는 바리의 인생에서 중요한 순간 종종 꿈에 나타나 그녀의 갈 길을 알려주는 인도자 역할을 해주신다.
바리라는 이름은 ‘버려진 아이’라는 뜻도 있지만, 바리데기 설화 공주의 이름이기도 하다. 할머니는 가끔 바리에게 바리공주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바리데기는 오귀대왕의 일곱째 공주로 태어나지만 곧 버려진다. 그러나 부모가 병이 들자 버려진 바리공주가 부모와 죽어가는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서천의 생명수를 찾아 나서게 되고, 온갖 신들의 저항을 받으며 고생끝에 생명수를 구하고 세상도 구한다는 내용이다.

바리네 가족은 뜻하지 않은 사고로 인해 가족 모두 뿔뿔이 흩어지게 되고, 할머니와 칠성이(바리의 강아지), 바리 이렇게 셋이 북에서 탈출하여 중국에서 생활하게 되지만 할머니의 죽음 그리고, 아빠를 찾아 나서던 중 칠성이마저 잃은 바리는 홀로 중국으로 돌아오게 되고, 이후 그녀 삶의 머나먼 여정이 시작된다.
환타지 같은 그녀의 꿈과 바리데기 설화 이야기가 현실에서의 그녀의 삶과 연결 되면서 평탄하지 만은 않은 그녀의 삶을 암시하지만, 할머니와 칠성이의 도움으로 때마다 고비를 넘길 수 있게 된다.

“이런 괘씸한 것! 네가 죽지도 않은 것이 감히 자기 꿈속에 우리를 불러내다니.”

“칠칠은 사십구, 사십구일 동안의 고행을 통과하면 너는 돌아갈 수 있노라.”  
중국에서 런던으로의 밀항. 배에서 보낸 고통의 시간은 그녀가 꿈에서 본 지옥의 생활과도 같은 고통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힘든 시간을 보내고 런던에 도착한다. 다행히 주변 분들의 도움으로 발마사지를 시작하게 되고, 빚도 갚으며 조금은 자유로운 생활을 한다. 또한 파키스탄인 압둘 할아버지의 손자 알리를 만나게 되고,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하게 된다. 9.11 테러로 인해 남편과의 이별 그리고, 아이와의 이별 등 그녀의 고통이 끝난 것은 아니었다.
바리의 삶이 순탄하지만은 않은 건 어쩌면 그녀가 인간이 가진 업보를 짊어 지고 가는 형벌을 받고 있는지도 모른다. 세상을 구원을 위해 우리에게 오신 예수님처럼 그녀는 세상 고통의 이유를 찾아 저승길로 간다.

“여기는 서천의 끝, 팔만사천 지옥 팔만사천.”

“넋이야 넋이로다
서천의 하늘 땅끝
무간 팔만사천 지옥
해꾸지하고 해꾸지당한
서로서로 묶인 넋들
초넋 이넋 삼넋 들어
살아나고 살아나라
아홉 겹 하늘 위로
하얀 새 날아가듯
풀려나고 풀려나라
훨훨 훠이훠이
훨훨 훠이훠이”

“말 좀 해봐. 우리가 받은 고통은 무엇 때문인지. 우리는 왜 여기 있는지.”
“사람들의 욕망 때문이래. 남보다 더 좋은 것 먹고 입고 쓰고 살려고 우리를 괴롭혔지. 그래서 너희 배에 함께 타고 계시는 신께서도 고통스러워하신대.”

저승길을 돌고 돌아 생명수를 마시고 돌아오는 바리에게 죽은 영혼들은 자신들의 고통의 원인에 대해 물어본다. 어쩌면 우리 현실의 삶의 고통을 묻고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가진 욕망으로 인해 세상을 썩어가고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대립이 생겨나는 것이다.
다시 돌아온 바리와 남편 알리, 새로 시작하는 그들의 인생길에 그들은 또 다른 고통앞에 슬퍼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