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안과에 다녀왔다. 책을 보다가 갑자기 극심한 눈의 피로를 느꼈기 때문이다. 별 이상은 없다고 한다. 다만 난시로 인해 자주 피곤함을 느끼는 눈이라고 한다.
안과를 나오면서 생각했다...
눈먼 자들의 도식 속에 그들과 내가 같은 처지라면... ㅡ.ㅡ;
갑자기 도시 전체의 사람들이 백색 실명이란 원인 불명의 전염병에 걸려 버렸다. 그리고 전염병에 걸린 이들은 한결 같이 흑이 아닌 백색이라고 한다. 앞이 보이지 않는데... 그것이 하얗게.. 세상이 하얗게 보인다는 것이다. 그들은 국가에서 정한 격리센터로 이동을 한다. 그곳에서 그들은 살아야 한다. 보이지 않는 세상에서 볼 수 없는 자신과 그리고 타인과 싸워야 하는 위기에 놓이게 된 것이다.
그러나 단 한사람.. 그녀는 보인다.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세상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녀는 보이지 않는다고 말을 한다.
백색 실명인 남편을 따라온 그녀는 세상을 본다. 하지만 그녀는 남편을 위해 손과 발이 되어주고 싶어 함께 동행한다. 하지만 격리센터에서의 삶은 그녀에게 버겁다.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보기 때문에...
눈먼 자들의 도시는 이렇게 세상의 모든 이들이 앞을 보지 못하지만 오직 한명만이 세상을 볼 수 있다는 것을 밝히며 시작한다. 책을 읽는 내내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그 어려운 상황을 이겨 나가는 지를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다소 지루해 질 수 있는 상황속에서 작은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맹인들 사이에서 권력을 차지한 자들의 행동은 같은 처지에 놓인 사람들의 고통은 아랑곳 하지 않고 자기 배부름을 위해 타인에게 고통과 치욕을 안겨주는 장면에서는 나도 모르게 화가 치솟기도 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다소 아쉬운 점은 왜 그들이 그렇게 실명이 되어야 했고 다시 눈을 뜨게 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없다. 단순히 성당에 있는 사도상의 얼굴에 덮힌 하얀천에 대한 설명으로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덮어 버린 듯하다. 그래서 책을 덮고 내내 아쉽다는 생각이 가시지 않았다. 그러나 독특한 소재와 소설속의 소소한 사건들의 묘사는 책속에 몰입하여 그들이 내가 되고 내가 그들이 될 수 있게된 매개체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보이지 않는 세상과 보이는 세상의 차이는 없다. 보이지 않는 세상에도 약자와 강자가 존재하며 권력을 위한 인간의 싸움이 존재함을 보여주고 있다. 인간이기에... 포기하지 못하고 갖지고 싶어하는 것들은 보이든 보이지 않든... 여전히 우리의 삶에 존재함을 일깨워주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근데.. 그들은 어떻게 다시 눈을 뜨게 된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