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거지 부부 - 국적 초월, 나이 초월, 상식 초월, 9살 연상연하 커플의 무일푼 여행기
박건우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평] 글로벌 거지부부(박건우: 소담, 2014)

9살 연상연하 커플의 무일푼 여행기

스스로를 '글로벌 거지 부부'라 이름 짓고 집도 절도 없이 국외를 떠돌며 살아가는 '남녀'가 있습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가'만을 생각한다는 두 사람이 고행을 즐겁게 행복이라 말하는 '부부'가 되어 '속박되지 않는 삶'을 영위하면서 살고 있는 이야기를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글로벌 거지부부', 누군가의 눈에는 '9살 연상연하'에 '서로 다른 국적'도 '무일푼' '철 없는커플'이지만 필자의 눈에 비친 두 사람의 이야기는 자신들의 삶에 있어서 '자유'를 만끽하면서 현실에 충실한 삶을 살고 있는 '행복한 커플'로 보입니다.

'글로벌 거지 부부'의 시작

이국 땅 태국에서 처음 만난 두 사람은 전압이 다른 어색한 만남으로부터 시작됩니다.(한국은 220V 일본은 110V). 첫 데이트를 '시체박물관'에서 보내고 약간의 '오해'와 '화해' 그리고 이어지는 꾸리한 만남을 지속하는 가운데 부부의 연을 맺습니다.

한국남자 '박건우', 일본여자 '미키', 대한민국 사회 부적응자'박건우'와 일본 활동형 히키코모리 '나카가와 미키'를 두 단어로 표현하자면 '자유'와 '청춘'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부조리한 관습과 속박에 대한 저항의 삶을 살던 26살'박건우'를 동남아 여행 중 태국에서 만나 결혼을 한 9살 연상 '나카가와 미키'. '반문화'적으로 보이는 두사람의 행보를 따라가다 보면 두 사람의 삶 또한 '또 다른 인생' 그것도 '성공적인 인생'의 진행형을 만날 수 있습니다.

국경을 초월하고 홀가분한 여행을 위한 것은 무엇인가?

책을 읽는 동안 가장 궁금한 건 '사랑'이 모든것을 설명하기 어려울때 나머지를 무엇으로 설명할수 있을까였습니다. 그리고 '글로벌 거지 부부'는 그 답을 우리에게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두 사람의 삶은 아무리 좋게 봐줘도 '고행'이라고 밖에 할 수 없는 여정입니다. 하지만 '무일푼'여행에서 비롯되는 갖가지 불편한 상황 속에서 찍은 사진 속에는 늘 웃고 있는 두 사람이 있습니다. '무일푼'이지만 '국경'과 '관습', '편견'을 뛰어넘는 현장 이야기는 두 사람의 '웃음'이 거짓이 아닌 '진심'이라는 것을 알게 해줍니다.

국적도 나이도 상식도 초월한 9살 연상연하 커플의 무일푼 이야기는 '사랑'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사람이 만나기 전부터 여행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둘은 사랑에 앞서 그 무언가를 통해 여행을 하고 있었으며 그 무언가가 바로 '용기'라는 것을 발견하는 일은 어렵지 않습니다. 낯선 장소에서 생소한 '관습', '편견'앞에서도 '자유로움'과 '새로움'을 추구하는 모습은 우리가 생각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부족한 부분은 '용기'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누구보다 낮은 눈높이에서 세상 바라보기

남에게 빌어먹고 사는 사람들을 가리켜 '거지'라고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낮은 곳에 있다고도 말할 수 있지만 그들에게도 삶이 있음을 부정할 수 없습니다. 필자는 소유없음과 소유있음을 이야기 하는 철학을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아닙니다. 필자가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때로는 '무소유'의 삶이 가져다 주는 홀가분함과 자유로움의 삶의 질을 영위하는 그들의 삶을 섣부르게 평가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누구보다 낮은 눈높이에 있는 '우리 부부'를 통해 한껏 우월감을 느끼길 바란다는 저자의 글은 '겸손'한 글이지만 '겸비'한 사람에게서 느껴지는 '분위기'가 있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정확한 직업도 거주지도 없이 잡다한 재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지만 속박되지 않고 자유롭고 경계를 뛰어넘는 삶을 실천하는 '글로벌 거지부부'. '글로벌 거지 부부'의 21세기의 가치있는 삶의 한페이지를 분명히 수놓고 있는 생생한 이야기를 통해 동남아 곳곳을 누려보는건 어떤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