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홍 - 彩虹 : 무지개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조선 시대 사랑의 기억을 이야기 하다.

 

  <조선왕조실록>행간에 숨겨진 한 비운의 여인을 배경으로 쓰여진 소설<채홍>(서울: 해냄). 역사를 배경으로 쓰여진 책 답게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가 깊이잇게 반영되어져 오늘날 현대 문학으로 다시 부활하는 그 중심의 테마는 다름아닌 사랑입니다. 근엄한 남성 중심의 사회 조선에서 펼쳐지는 문종의 아내 봉빈의 삶은 기록되지 못한 사랑의 기억을 소재로한 이야기 가운데 죽음을 무릅쓴 자신의 삶을 살아간 여인의 모습 그 자체입니다.

<기록되지 않은 사랑은 결국 기억으로 이야기 되어 오늘에 다시 이야기 된다.>

 

욕망이 거부되는 사회

 

  세자의 두번째 빈으로 책봉된 난이라고 불리우는 소녀. 아버지 세종의 덕성을 이어 받았으나 미숙하기만한 세자 향과의 만남은 처음부터 불행한 만남으로 발전되어짐을 전제로 하고 잇습니다. 순빈 봉씨로 기억되는 봉빈은 답답한 궁궐 가운데 보내게 되는 불안정한 삶의 여정 가운데 동궁나인 소쌍과의 만남을 가지게 되고 결국 파국으로 치닫는 삶을 살지만 그녀의 삶은 사회적 통념에 반하는 삶일 지라도 당당함으로 살아간 여인의 선택을 보여줍니다.

  세종 실록에 기록된 봉빈의 삶은 부덕한 여인의 삶이었습니다. 그러나 작품 속 봉빈의 삶은 그저 한 남자와 한 여자로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은 여인의 삶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오늘날 인간의 욕망에 충실한 것에 대해 돌을 던지는 사람은 없겠지만 유교의 국가 통치 이념을 가지고 있던 조선, 그리고 그 집대성인 궁궐에서는 욕망에 따르는 삶이란 위험 천만한 사건입니다. 도덕과 규율을 우선시 하는 곳에서 욕망을 우선시한 그녀의 삶이 맞이하는 비극적인 결말은 조선 시대 기록될 수 없는 사랑의 모습의 최후로 묘사됩니다.

 

사랑없는 관계와 비뚤어진 사랑의 끝

 

  작품 속 인물들은 사랑을 전제로 한 관계로 맺어져 있습니다. 사랑은 이 작품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워드 입니다. 모두의 사랑을 받고 살아가던 한 여인이 더이상 사랑을 받지 못하고 관심도 받지 못하는 상황 가운데 봉빈은 세자와 잘못된 관계를 가지고 살아가게 됩니다 사랑 없는 관계를 받아들일 수 없는 봉빈의 일탈은 결국 비뚤어진 사랑으로 이어지지만 그것은 그녀가 경험한 부덕한 것들에 대한 반발의 일탈이라고 생각됩니다. 비록 그것이 동성간의 사랑이며 오늘날에도 수용하기 어려운 사랑일지라도 그것은 단순한 성적 욕망의 일탈 보다는 마땅히 받아야할 것을 받지 못한 한 여인의 기구한 삶을 탄생이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성군의 자질을 갖추고도 자신의 아내에게 애정을 주지 않았던 세자 향과 동궁의 나인이었던 소쌍과 사랑을 나눈 봉빈.그리고 그녀의 사랑을 나누는 나인 소쌍이 경험하는 욕망과 아픔가운데 누가 옳고 그릇되었다는 것을 떠나서 사랑에 대해서 그리고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좋을듯 싶습니다. 

 

Dear my J

 

  채홍이라는 한자는 우리 말로 무지개랍니다. 태양의 반대편에 서 있는 무지개는 왕이라는 태양의 반대편에서 가려진 사람들의 모습을 반영한답니다. 사랑을 인간의 어리석은 욕망과 본능이라고 치부하던 시대에도 사랑은 사랑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이 작품 속 봉빈의 삶에서도 그들이 외면했던 사랑의 아픈 기억들이 이야기 됩니다. 자신의 운명에 순종하면서 살아가기 보다는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사랑을 펼친 그녀들의 삶은 금기에 대한 도전적인 여성들로 이야기 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진정한 사랑의 욕망의 일그러짐 속에 빠져버린 여성들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듯 싶습니다. 역사를 소재로한 작품에 유독 관심이 많은 한국 작품 가운데서도 작가 김별아의 글은 따뜻하고 간결한 문제와 더불어 섬세한 심리 묘사를 담아내는 좋은 글이기에 책을 추천하는 바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