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조 사람혁명 - 상대를 내 사람으로 만드는 힘
신동준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현대인의 성공 모델이 되어버린 조조
중국 전사사 가운데 하나인 <삼국지>에 대해서 더이상 말할 것은 없습니다. 한제국이 무너지면서 일어난 수많은 군웅들 조조, 유비, 손권의 위, 촉, 오의세 나라가 세워지기까지의 이야기. <삼국지>를 읽으며 밤을 새던 시절을 보냈던 이들에게 상상력과 꿈을 이야기 하던 시대는 이제는 난세와도 같은 현대를 살아가면서 배울 생존의 전략으로 다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이야기되는 <삼국지>의 군웅들의 이야기 중심에 조조가 있습니다. 난세의 간웅과 영웅의 평가를 동시에 받는 조조의 삶은 생사의 기로에서 성공을 위한 결단력의 본보기로 그리고 성공을 위한 인재 경영자로서 재평가 되어 현대인의 성공모델로서 삼국지 최고의 인물로 올라섭니다.
왜 조조인가?
<조조 사람혁명>은 조조의 성공 요인을 인재의 등용과 사용에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혼자서 세상을 뒤집는 영웅의 이야기가 아닌 현실 속 영웅의 모습은 혼자가 아닙니다. 조조의 수많은 장점 가운데 인재의 등용방식은 당시나 오늘이나 파격적입니다. 유재시거(오직 능력만으로 사람을 뽑는다)의 원칙을 내세운 조조의 인재 등용은 조조 사후직전까지 위를 가장 강성한 나라로 세우는 기초가 되었으며 훗날 중화를 통일하는 가장 큰 원동력이 되기도 했습니다.
비록 나를 헤치려던 사람조차도 자신의 필요에 따라 포용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비롯해 인재를 얻기 위해 벌이는 조조의 사람을 얻기 위한 행동은 전쟁의 승패는 결국 사람에게서 결정되어진다는 것을 증명하면서 오늘날 우리의 생존 경략의 돌파구의 지혜를 함께 제시하여 줍니다.
조조로부터 배우는 '득인'과 '용인'의 기술
조조가 삼국지의 모든 인재를 아우르는 군주는 아닐지라도 당대의 명사와 무장들을 얻는데 있어 상당한 비중의 인재를 얻은 것을 사실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인재 쏠림은 조조가 남다른 득인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또한 조조와 아울러 가장 많은 인재를 등용한 사람은 원소와 비교할대 원소와 조조의 승부가 바로 용인에서 나타났다는 사실을 삼국지를 읽은 독자들은 아실 것입니다.
<조조 사람혁명>은 조조를 조조답게 만드는 가장 뚜렷한 인재에 관한 두가지의 특징 득인과 용인에 있어서의 기술을 가르쳐 주는 책입니다. 인재의 등용을 위해서 자신이 부족함을 알고 부족한 바를 채워줄 사람을 초대하고 그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의 편견을 내려놓는 것과 주변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고 그것을 사용하는데 있어 자신을 드러내기 보다 겸손함으로 다가서는 자세. 인재와 관련한 조조의 이야기는 오늘날 우리에게 '득인'과 '용인'의 기술의 중요성을 가르쳐 주며 성공을 위한 인재의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