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심리경영
김채송화 지음, 이익재 사진 / 초록나무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새로운 기업문화의 등장
한국의 기업 문화는 전형적인 상하관계에 의한 조직운영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려울 때일 수록 사원들은 회사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회사는 개개인의 희생을 바탕으로 성공의 가도를 달리고 있었지만 상명하복의 원칙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세대와 달리 자유롭고 개성이 강한 신입 사원들의 유입은 기존의 기업 문화에도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잘짜여진 조직문화가 기업의 매출의 상승을 가져온다는 원칙은 분명 오늘의 기업문화에도 중요한 원칙이지만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위한 자유롭고 개성을 존중하는 기업의 필요성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셔츠에 넥타이를 메고 정장에 구두를 신고 딱딱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던 기업에 유입된 청바지와 운동화 그리고 풀어버린 넥타이 새로운 기업문화 코드는 기존의 기업 문화에 새로운 문화를 더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경영방법을 관리자와 오너들에게 요구합니다.
심리가 경영을 선도한다.
우수한 인재 10명보다 바보 10명이 더 낫다? 불가능해 보이지만 가능합니다. 엘리트로 알려진 집단을 보유한 기업을 자유분방한 기업경영의 스타일을 가진 기업이 매출에 있어서 우월한 위치를 차지한 일이 실제 기업에서 현실화 된 모습을 우리는 책을 통해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웃고 즐기고 떠들고 근무시간에 힘들면 나가서 게임도 즐기는 기업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그리고 우수한 경쟁력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기업의 핵심은 사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구성원인 사원들이 어떠한 마음과 기분을 갖느냐에 따라 기업의 경쟁력도 달라집니다. 아무리 우수한 사원일지라도 마음에 열의가 없고 성취욕구가 떨어진다면 이를 보유한 기업은 경쟁력을 상실할 것입니다. 자본주의 4.0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기업에게 제시하는 저자 김채송화가 제시하는 경영원리는 심리경영입니다.
저자는 사람마음을 얻어 기업의 놀라운 매출을 기록한 다양한 사례를 책을 통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가족같은 분위기, 경직된 기업문화를 완화된 분위기로 바꾼 기업의 성공사례. 출근하고 싶은 회사를 만들기 위한 오너들의 노력과 사고의 전환은 경쟁력을 갖춘 새로운 기업 문화를 만들어 냈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새롭고 특별한 기업문화에 자리한 놀라운 증언들을 통해 새로운 경영 문화를 위한 심리경영을 강조합니다.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기업, 이를 위해 사원들이 날마다 웃을 수 있게하고, 날마다 웃게 하기 위해 마음을 즐겁게 만듭니다.
진심어린 소통의 비결
억지로 하는 것이 아닌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새로운 기업문화와 분위기를 위한 오너들의 노력은 그동안 우리가 지켜온 기업의 인식을 뒤집고 있습니다. 외국의 기업들에서만 보았던 기업문화의 변화된 모습을 갖춘 국내의 기업들과 기관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자본주의 4.0시대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해봅니다. 웃고 즐기는 가운데 마음이 행복해지고 여유가 생기며 자연스럽게 소통이 이뤄집니다. 소통의 방법을 찾고 행복한 조직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지금 이 순간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입니다. 소속부서의 매출증가와 목표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노력의 첫걸음을 기업현장의 성공사례들을 통해 배워봅니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