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옥의 크로싱 - 99명의 거장에게서 발견한 생각의 연금술
이명옥 지음 / 21세기북스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설의 표지에서 찾아낸 21세기 인재상
 
    "생각에 생각을 섞고 논리에 감성을 혼합하고 경계를 넘어 소통하라. 이것이 크로싱(crossing)이다." 일견 표지에 실린 그림은 분명 사과이나 사과 속 내용물은 고추의 속입니다. 표지의 사과 작품은 겉과 속이 전혀 다른 한편의 그림은 모든 현상과 대상 간에 존재하는 거짓과 눈속임을 드러내고, 왜곡된 현실을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p.126) 역설의 그림은 외양으로 판단하는 사람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호기심을 불러 일으킵니다. 일상 속 사례에서 창의성을 가지고 창조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은 친숙한 것을 낯설게 바라보고 낯선것을 친숙하게 보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합니다. 깨달음의 시작은 우리의 생각에 달려 있습니다. 그리고 생각을 발전시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사람이야말로 '생각하는 인재' 21세기 인재상일 것입니다.


<혁신적 아이디어의 시작지점 크로싱이 보여주는 21세기 인재상의 모델>
 
생각의 연금술 '크로싱'
 
  크로싱은 마법의 기술이 아닙니다. 그것은 고대로부터 발전해온 인류의 발자취에서 이미 셀수 없을 만큼 확인되어집니다. 생각과 생각이 교차하고 만나는 지점을 가진 사람들은 '탁월한 차이'을 가진 사람들로 우뚝서게 됩니다. 생각의 연금술이라고도 불리워지는 '크로싱'의 기술이 신비하게 느껴지는 것은 우리가 아직 제대로 이해하거나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미지의 영역으로 비견되기도 하는 '혁신적 사고'의 영역에 발을 내딛는 사람들은 어떠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을까요? 저자는 전통적 가치와 나란히 세상을 이끌어 나가는 힘이라는 사실을 인정받은 기술의 비밀이 거장들의 삶 속에 있다고 말합니다. 거장들이 가지고 있는 '탁월한 차이'의 비밀을 파헤친 <크로싱>을 통해 독자는 벤치마킹을 통한 새로운 인재상을 그리게 될 것입니다.
 
  저자 이명옥은 한국 예술계의 킬러 콘텐츠 작가라고 불리워집니다. 예술과 타 분야를 융합하는 책들을 출간한 그녀가<크로싱>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소셜미디어 시대의 주역인 융합형 인재를 8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신 인재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스마트한 잡종의 시대가 도래하였다고 말하는 작가의 8가지 인재 유형을 살펴보면 내것과 네것의 크로싱인 하이브리드형 예술가, 기술과 예술의 크로싱인 얼리 어답터형 예술가, 영감과 탐구의 크로싱인 발명가형 예술가, 경험과 열정의 크로싱인 체험형 예술가, 재능과 지식의 크로싱인 멀티플레이형 예술가, 시간과 몰입의 크로싱인 연구자형 예술가, 감각과 감각의 크로싱인 공감각형 예술가, 너와 나의 크로싱인 협업형 예술가로 분류시켰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적 호기심과 실험 정신이 강한 지식과 경험에 대해 개방적이며 사고에서는 유연함을 가진 이들의 모습은 21세기에 요구되어지는 인재의 참 다운 모습을 것입니다. 99명의 거장들의 삶 속에서 이야기 되는 것들을 전하기 위해 분류된 8가지 유형의 사람들은 독자가 책을 읽고 책 속의 메시지를 자신의 것으로 소유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그림과 해설이라는 단순한 작업이 아닌 신대의 변화와 융합에서의 창의성의 길을 제시하는 저자의 글이 오늘날 독자들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까요?
 
한계를 넓히기 위해 선택의 폭을 넓히자
 
  <이명옥의 크로싱>은 진지하게 혹은 흘러지나가듯이 책으로 이야기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기 위해 하나의 분야만을 좇는것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창조적 아이디어를 위한 수많은 길을 무시한채 하나의 길만을 좇는 것은 분명 자신을 계발하는데 있어서 선택의 폭을 제한하고 발전의 기회를 스스로 저버리는 우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경험과 스펙을 쌓는 일도 중요하지만 그렇게 모여진 것들을 다른 이들과 '차이'로 만들기 위해서는 또 다른 연단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한 잡종의 시대라고 명명된 21세기에서 융합형 인재로 거듭나는 주인공은 바로 누구일까요? 책을 통해서 그 해답을 찾아보는 즐거움을 나눌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