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왕의 여자 - 오직 한 사람을 바라보며 평생을 보낸 그녀들의 내밀한 역사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조선왕조를 읽는 또 하나의 키워드 왕후, 후궁, 궁녀!
왕의 여자는 조선왕조를 중심으로 한 왕후, 후궁, 궁녀들의 일상을 복원하여 조선의 사회, 정치, 문화를 읽는 또 다른 키워드를 제시하고 있는 책입니다. 조선의 역사가 남성들 중심으로 기록되어지고 정치, 문화, 사회 또한 남성 중심적으로 해석되어지는 것을 당연시 하는 역사가들과 독자들에게 신선한 관점을 제시하는 <왕의 여자>는 내밀한 일상의 복원을 통해 독자들에게 새로운 역사이해 관점을 더해주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어진 이미지에 만족하는 우리의 현 주소
한국인들은 사극을 좋아 한다고 합니다. 모두가 좋아 하는 것은 아니겠지만서도 오늘날 보기 힘든 긴 수염과 화려한 색채가 수놓아진 옷과 단아한 모습들을 한 배우들이 등장하여 과거의 역사를 재현해내는 모습에는 지루함보다는 손에 땀을 쥐고 흥미를 유발시키는 스토리가 있습니다. 과거의 역사이기에 이미 결론을 알고 있고 허구 속 인물들과 실존인물들이 섞여 작가의 의도에 따라 각색되어진 것을 알면서도 시청자들은 사극 속 배우에 집중하고 역사적인 스토리 라인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리고 사극에서 사용된 역사적인 소재들을 우리의 역사적 사실들로 받아들이면서 문제는 시작됩니다.
역사 속 '왕의 여자'들의 '실체'를 찾아 떠나는 역사 여행
조선왕조에는 왕후, 후궁, 궁녀라는 직책을 가진 여성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사극의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그녀들은 화려한 용모와 단아한 모습으로 등장하며 다양한 생활양식과 사고관을 개진해 나갑니다. 하지만 배우들의 연기는 상당부분 작가의 각색에 의존하며 그 토대는 작가의 역사수준에 의존한 주어진 이미지가 대부분입니다. 고증과 검증의 과정을 겪는다고는 하지만 그것이 언제나 옳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왕의 여자'로 불리우는 조선 왕조의 궁궐내 여인들에 대한 정보는 극히 제한적이었기에 상상력이 더해져서 실체가 왜곡되거나 훼손되었다는 사실을 감안하지 않는다면 조선왕조 '왕의 여자'들의 정체성과 생활상은 앞으로도 계속 가공된 이미지로 전해지리라고 생각됩니다.



<왕조의 한 축을 담당했던 여인들의 삶의 '실체'가 기록된 책 왕의 여자>
저자인 김종성은 왕의 여자에 관한 전체 그림을 위해 장희빈이라는 여성의 삶을 궤적을 책의 진행 순서로 채택하엿습니다. 장희빈은 궁녀에서 후궁으로,후궁에서 왕후로, 그리고 다시 후궁의 삶을 산 장희빈은 조선왕조의 '왕의 여자'가 겪을 수 있는 경험을 모두 겪은 여자이며 궁녀에서 쫓겨난 전력까지 더한다면 전직 궁녀의 삶까지를 경험한 여성이기도 합니다. '왕의 여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명한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저자 김종성은 내밀한 일상을 철저하게 고증하는 작업에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놓치지 않고 있습니다.
만인지상의 자리에 있는 왕을 위해 존재했던 왕후와 후궁, 그리고 궁궐의 모든 여인들은 분명 조선 왕실의 역사의 현장을 목격한 산증인들이자 넓게는 한 축을 담당한 이들이었습니다. 우리가 사극에서 보아왔던 그녀들의 이미지는 막연히 작가의 의도에 따른 주어진 이미지일뿐 실상의 삶과는 어느정도 거리가 있습니다. '왕의 여자'들의 기원, 자격, 선발과정과 유형과 인원, 직무와 출산등에 대한 다양한 책 속의 도표들은 '왕의 여자'들이 상당히 체계적인 조직관리에서 활동한 소외계층이 아닌 그녀들만의 역할을 가진 주류였음을 배울 수 있습니다. 가공된 이미지를 벗고 '실체'에 접근할 때마다 독자들은 새로운 조선왕조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일상의 복원을 통한 조선왕조를 읽는 새로운 키워드를 찾는 기쁨을 독자 여러분도 즐겨보시길 권하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