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신 이야기 2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
오비디우스 지음, 이윤기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로마'의 신들의 향연들을 바라보며 '팍스 로마나'로 불리워진 그 시절을 바라보는 독자들. 그리고 다시 신들의 이야기는 인간들 가운데로 내려와 위대한 혈통과 영웅들 그리고 역사적 사건들을 전설과 사건의 결합으로 재탄생 되었다. '로마'의 뛰어난 작가 '오비디우스'는 신화의 입문서라고도 볼 수 있는 <<변신이야기2>>를 남긴 작가이다. 작가의 뛰어난 상상력과 '그리스'의 신들의 향연이 만나 폭발적인 새로운 세계의 탄생을 독자들은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변신이야기1>>이 창조와 신들의 향연 그리고 영웅과 인간시대로 이어져 있다면 <<변신이야기2>>는 반신들의 이야기와 황제로 이어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변신이야기2>>는 독자도 들어보았음직한 이름들이 새롭게 등장한다. 헤라클레스, 오르페우스, 미다스 그리고 지역과 관련되어져서 이카로스, 트로이 전쟁등 전설과 사건들이 뒤섞여 새로운 세계를 이루고 독자들을 새로운 공간으로 초대하고 있다. 작품의 전체적인 줄거리는 '팍스 로마나'의 통치자인 황제에게로 까지 이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작업 가운데서 우리는 근본이 약한 '로마'의 문화와 다양한 사상들을 바라볼 수 있다. 오늘날 우리는 '그리스'의 다양한 신들을 접하면서도 라틴어식의 이름에는 매우 취약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우리가 듣고 보고 배운 그리고 이야기들은 기실 그리스 혹은 영어식 이름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라틴어식 표기법은 아무래도 익숙하지가 않다. 작품 또한 역사적 사실과 전설을 끼워맞추다 보니 앞뒤가 맞지 않거나 우스운 설정 가운데로 빠지는 모습도 종종 바라보게 될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신 이야기2>>는 '그리스'신화와 '로마'신화의 만남의 뒷 이야기 즉 '로마'와 '문화'의 만남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리스'의 문화를 받아들여 '로마'는 '그리스'의 정신 세계를 가진 '로마'였으며 이둘의 구분을 애매모호하게 만든 <<변신이야기1.2>는 다시 위대한 정복자들과 연결되어 새로운 시대로의 연결점에 서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신화와 전설 그리고 역사와 실재라는 구도는 무리한듯 보이면서도 흥미진진하며 독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수세기전 가장 아름답던 그 시간이 펼쳐지는 그곳 <<변신이야기1.2>>는 그자리 그곳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