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신 이야기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
오비디우스 지음, 이윤기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아우구스투스'의 치하 아래 구가된 '팍스로마나'시대에서 유복환 환경을 맞이한 '오비디우스'는 뛰어난 재담가이자 문학가 였다. '오비디우스'의 문학적 기질은 신화와 전설이라는 상상의 공간과 만나 더욱 찬란하게 꽃을 피우게 되었는데 그 작품이 바로 <<변신이야기1.2>>이다. 로마의 전신이나 다름없는 마케도냐의 유명했던 정복자인 '알렉산더'가 흡수한 '그리스'의 문명 그 가운데서도 신화와 철학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뤄진 문화는 '로마'와 합쳐져서 가장 위대하고 뛰어난 시대를 구가하게 된다. 기존의 그리스의 다양한 신들은 로마의 신들로 변형되어지거나 혹은 합쳐져서 그리스-로마 신화로 소개된다. 이 가운데서 '오비디우스'는 '그리스'의 신과 '로마'로의 조화를 이끌어낸 작가였으며 오늘날에도 '그리스-로마'의 다양한 신들의 향연을 살피는데 매우 용이한 책이라고 볼 수 있다.
<<변신이야기1>>은 1부-8부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창조시대로부터 시작하여 신들의 탄생과 전성기 그리고 신들과 관련된 영웅들과 인간시대까지를 담고 있다. 독자가 흔히 알고 있는 그리스 혹은 영어식 표기가 아닌 라틴어식의 이름을 따르기에 작품을 읽을때 종종 각주를 참고해야 한다는 점이 불편하다. 반면 영어와 그리스식이 아닌 라틴어로 인물들을 표기한 덕분에 정확성이 올라간듯한 느낌도 든다.
어느 시대에나 인간들의 사고는 세상의 창조와 이후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관심이 많다. 창조와 자연현상에 대한 궁금증은 인격화를 부여하였고 이 가운데서 시공간을 비롯하여 자연의 모든 것들이 숭배 가운데서 실제적 존재처럼 묘사되게 된다. 여기서 실제적 존재란 자연과 인간의 융화이다. 그렇기에 <<변신이야기1>>에 등장하는 다양한 신들은 자연현상의 대표 혹은 그 자체로서 '신'이라는 존재가 되었으며 한편으로는 '인간'의 속성을 가져 분노, 질투, 배신, 배반, 탐욕, 잔혹, 공포, 사랑, 기쁨, 슬픔등을 가지고 있다. '신'들은 인간처럼 먹고 마시고 즐기며 자고 놀고 사랑을 나누고 누군가를 질투하기도 한다. 심지어는 천상에서 내려와 인간 세상에서 더불어서 경쟁하고 놀기도 즐겨한다. 숭배의 대상으로부터 풍겨나는 어려운 분위기는 이러한 '인간적 속성'이 합쳐진 가운데서 많이 희석되고 친숙함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신'들의 향연과 놀이를 통해 그들의 탄생과 후손에 대한 이야기는 이후 '로마'의 전통과 그들의 조상에 대한 혹은 통치자들과 연관되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끝없는 사색과 유희를 통하여 문화가 꽃을 더욱 화려하게 피우는 힘이 되기도 한다. 때묻지 않고 순수한 '신화'의 세계를 '인간'의 세계로 연결시키는 작가의 상상력과 문체는 독자로 하여금 '팍스 로마나'의 위대한 문화 유산으로 초대한다.
천지의 창조와 신들의 향연을 통한 서양 고대인의 인식을 엿보고 그 신화 가운데로 빠져들게 되는 시간을 느낀 이번 작품을 더욱 많은 독자들과 함께 하고 싶다는 생각이 책을 덮고나서도 계속 아쉬움으로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