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노그라피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2
비톨트 곰브로비치 지음, 임미경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비톨트 곰브로비치'가 폴란드 문학가 가운데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하여는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노벨 문학상의 후보자로도 올라간 작가의 뛰어난 능력은 독자들에게 불쾌하면서도 기분이 나쁠수도 있는 주제로부터 결코 벗어날 수 없도록 만들어 그 끝으로 인도함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다양한 욕구가운데서 우리는 도덕과 윤리적 측면 즉 마음가운데 존재하는 법에 의하여 절제하고 자제하는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포르노그라피아>> 속에서는 이러한 법칙들이 무시되고 부정되며 그것이 위배되는 현장을 보여주고 독자들로 하여금 그 끝을 향해서 함께 나아가게 만드는 힘이 있다. 그렇기에 이 작품은 어둡고 습하며 불쾌한 느낌을 가진 어두운 숲 그것도 늪이라는 느낌을 받게 한다. 양차대전당시 무너져버린 질서의 혼돈이 폴란드의 황량한 시골 마을에서 펼쳐지는 모습은 두 중년 남자의 불쾌한 상상력이 현실로 이뤄지는 순간 새로운 모습으로 다가온다.

<<포르노그라피아>>를 받아들이느냐 마느냐는 기실 독자의 판단이라고 말하고 싶다. 무언가 하나로 딱 요약하기에는 인간 내면의 그로테스크한 부분들이 강렬하여 다른 인간의 욕망들이 묻히는 느낌도 든다. 딱히 무엇에 대한 거부감이 없었지만서도 이 작품이 보여준 인간의 어두운 면들은 시종일관 불쾌하면서도 그 끝을 봐야겠다는 작심을 하게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천은 하고 싶지 않다. 작가의 뛰어난 묘사와 관찰의 능력의 끝에 걸린 인간의 욕망들을 마주보기에는 우리 자신은 그 향연에서 함께 즐길 수 없는 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