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0
송성욱 풀어 옮김, 백범영 그림 / 민음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봄직한 작품을 꼽으라면 <<춘향전>>이 빠질 수 없을 것이다. 어릴적 판소리에 등장하던 춘향가의 흥겹고 애절한 목소리들은 아직도 귓가에 생생하게 울려퍼지는것 같다. 한국의 고전 문학 작품을 이야기 할때 많은 사람들은 <<춘향전>>을 빼놓지 않고 이야기하며 오늘날에도 <<춘향전>>은 소설, 영화, 판소리 등으로 끝없이 재탄생되어 독자들에게 다가오고 있다.

<<춘향전>>의 줄거리는 의외로 간단하다. 남원을 배경으로 하여 도령 이몽룡이 춘향이를 보고 한눈에 반하여 연을 맺고 이후 서울로 과거를 보나 떠난뒤 새로 부임한 사또의 수청을 거부하여 옥에 갇힌다. 이후 과거에 급제한 이몽룡이 돌아오나 자신의 신분을 숨기고 춘향의 옥중 고생을 위로하고 사람들에게서 새로 부임한 사또의 잘못을 알고 어사또로서 탐관오리를 혼내고 춘향이와 해후한다는 내용이다.

<<춘향전>>은 그 인기와 널리 알려진 명성만큼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며 그 내용과 줄거리는 대동소이하나 주제에 있어서는 판본에 따라 '사랑', '절개', '열녀' 등으로 조금씩 달라질 수가 있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아는 한번쯤 들어본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원본에 충실하게 전체를 읽어본 이는 그 수가 그리 많지 않다는 점과 인물가 내용에 대한 부분들도 그다지 정확하지 못하다. 그렇기에 '송성욱'교수의 <<춘향전>>은 원본에 충실한 문어체로서의 특징을 살려 원전의 묘미와 즐거움을 한껏 독자들에게 만족시킨다. <<춘향전>>이 대체로 시간이 오래 흘러 다양한 현대문학 가운데서 새롭게 변형되기에 본래의 <<춘향전>>이 가지고 있는 즐거움을 느끼기 위한 이러한 노력은 낯설음을 넘어선 오늘날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구어체문학의 정수를 접할 수 있는 드문 기회라고 생각한다.

작품 <<춘향전>>은 민음사의 <<홍길동전>>과 마찬가지로 완판과 경판 그리고 영인본 3가지를 수록하였으며 경판과 완판은 그 내용과 전개방식에 있어서 다르기에 양쪽 모두를 통해서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남원의 명물이자 우리에게 실존 인물처럼 생각되어지는 '춘향이'와 '이몽룡'의 사랑과 애절함을 담고 있는 <<춘향전>>을 통해 독자들은 과거 성 윤리의 틀 안에서 파격적으로 벗어난 우리나라의 '애정소설'의 대표작품을 만나며 우리말의 아름다운 운율과 맛있는 맛을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남녀간의 즐거운 사랑놀음과 기다림을 통한 멋진 운명적 만남이 독자와 한국 고전 문학의 만남으로 독자 한사람 한사람에게 함께 이 느낌을 공유하고 싶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