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태엽 오렌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12
앤소니 버제스 지음, 박시영 옮김 / 민음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대의 에너지는 자제하거나 절제만을 외칠 것이 아니라 바른길로 인도하였을때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유익을 안겨준다. <<시계태엽 오렌지>>는 10대들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관에서 바라본다면 비행, 방황으로 대표되는 소년 열다섯살 소년의 이야기이다. 영국을 배경으로하여 소년들의 비행을 적나라하게 드러내고 이러한 소년들을 다시 도덕적 가치에 맞게 재 탄생 시킨다는 미명아래 자행하는 어른들의 합리적 사고방식에 대해 일침을 가하는 <<시계태엽 오렌지>>는 1971년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지휘아래 영화로도 만들어 졌지만 작품의 수위로 인하여 청소년 관람불가등급 처분을 받은 작품이기도 하다.
사실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비행'과 '방황'문제는 나이를 불문하고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중에서도 10대소년들은 성장통을 겪으며 정체성과 사회성 등에서 갈등을 일으키며 문제유발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는 이들의 '비행'과 '방황'은 결국 자학을 넘어서서 피해를 일으키기에 성숙하지 못한 이들로 분류되어 계도와 교화를 받게된다. 하지만 이러한 계도와 교화가 진정 올바른 것일까? 오직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들을 사회적응 프로그램 아래에서 교화시켜서 세상과 더불어 사는 이로 만드는 외견안에는 사회가 받아들이기 힘든 아이들을 사회가 받아들이기 쉬운 아이로 개조하는 이기적인 발상이 숨어 있는지도 모른다. 이러한 음흉한 발상을 뒤로한채 오늘도 아이들을 대상으로 국가와 사회는 소년, 소녀들을 위하여 다양한 교화프로그램을 내놓고 그들을 계도하고 있는지는 않은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할것이다.

작가 '앤소니 버제스'이 전해주는 소년들의 진솔한 이야기와 이들과 대립하는 국가에 대한 성찰을 통해 <<시계태엽 오렌지>>는 독자들에게 양면의 뒷면을 함께 조망하여 깊이 있는 생각을 하도록 만드는 작품이다.

<<시계태엽 오렌지>>의 작품 줄거리는 간단하다. 주인공은 화자 자신이기도 하며 이 작품은 화자의 기억의 회상이다. 작품 속에서 화자는 친구들과 어울리며 극단적인 폭력과 비행을 일삼는 소년이었다. 약물과 일탈과 비행을 일삼던 중 경찰에 체포된 소년은 새로운 범죄 교화수술에 자원한 뒤 욕망과 감정을 통체받는 프로그램 안에서 태엽이 감겨야만 움직이는 인형처럼 무기력한 존재로 변화되어간다. '앤소니 버제스'은 도입부에서 리얼리티를 살리기 위해서 극단적인 폭력과 방황 비행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약물과 희망없는 절망의 삶과 그들만의 언어를 만들어 낸다. 하지만 이러한 도입부분으로 말미암아 작품은 유해한 부분에 대한 여과없는 소개라하여 비판을 받고 대안없는 고발 작품이라는 매도를 당하기도 하였다. 기실 사회의 어두운 면에 대하여 아름답게 포장하고 더러운 것은 덮어 버리는 현실 사회에서 작가의 날카로운 지적과 묘사는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하지만 이러한 불편함이야말로 사람들의 치부를 건드리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작품 속 주인공 알렉스에게 적용하는 교화 프로그램은 기실 알렉스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독자는 보다 쉽게 통제할 수 있는 사람들을 원하였고 이질적인 존재가 아닌 보편적 사고방식에 따른 이들이기를 원한다. 이러한 음흉한 생각에 멋진 포장을 하여 사람들에게 선악의 구분을 애매하게 만들어 자유로운 사고를 제한 시키는 것은 소년들과 사회 구성원 모두를 기만하는 행위일 것이다. 알렉스가 망가져가는 모습에서 독자는 그들을 비판하지만 자유의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이는 행동하는 욕망에대한 절제된 욕망의 소유자들의 관점이다. 작가 '앤서니 버제스'가 제기하는 <<시계태엽 오렌지>>의 문제는 약 40년이 흐른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