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자전적 이야기를 소재로 하여 쓰여진 <<호밀밭의 파수꾼>>은 허위와 위선으로 가득찬 세상 가운데서 성장해나가는 '홀든'의 성장 소설이다. 사회와 교육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고 퇴학이라는 수단을 통해 세상으로 나온 '홀든'은 세상의 부조리와 모순과 위선에 대하여 경멸하며 사람들과의 만남과 내면적 갈등을 통해 점차 성숙한 인물로 성장해 나가게 된다.

문제아 '홀든'은 학교로부터 퇴학 조치를 당하고 나서 집을 나가기로 결심하게 된다. 그에게 있어서 퇴학이란 이미 네번째 다니던 학교에서 벌어진 극히 일부분일 뿐이며 그에게 있어서 곤란한 것은 퇴학보다는 고문변호사인 아버지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게 작용한다. '홀든'은 퇴학 이후 다가올 사태와 자신을 내몰게 된 위선에 찬 모습들에 환멸을 느끼고 집을 나가게 된다. 이후 여러 곳을 방황하던 그는 위선에 찬 사회의 모습과 뒷면을 바라보고 절망을 바라보게 된다. 기성세대로 부터 그 어떠한 도움과 기대조차도 품지 못한다는 사실은 그에게 더욱 절망을 안겨주지만 반대로 어린아이들을 통한 희망과 그들을 돕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희망은 결국 현실 도피라는 극단적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호밀밭을 뛰노는 아이들을 지켜주고 붙들어 주고 싶다는 '홀든'의 꿈과 비교하여 현실 속 여동생에 대한 사랑과 믿음은 '홀든'과 세상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희망'이 되어준다. 결국 주인공 '홀든'은 방황하는 시기를 넘기고 '삶' 가운데서 잊지 말아야할 그리고 지켜야할 것들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가게 된다. 작품의 줄거리를 보자면 우리는 어린 영혼이자 순수한 아이들이 뛰어노는 호밀밭과 그 아이들이 절벽 가운데로 떨어지지 않도록 붙들어 주는 '홀든'의 꿈인 '파수꾼'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기성세대로부터 아무런 도움 조차도 받지 못하며 속물로 가득찬 세상은 '홀든'으로 하여금 현실에 대한 비판과 경계 그리고 희망없는 삶을 보여주며 벼랑과 절벽으로 묘사된다. 반면 '홀든'이 말하는 호밀밭은 아이들이 뛰어노는 공간 즉 '홀든'자신이 살고 싶어하는 요소로 볼수 있으며 그곳에서 아이들을 지켜주는 손길이 되고자 하는 것은 자신을 붙들어 주길 바라는 마음이 반영된 고백적 직업이라고 볼 수 있다. 희망없는 곳으로 추락하는 자신의 모습에서 홀든은 떨어질지도 모르는 아이들의 불안정한 위치에선 자신을 바라보고 그것을 붙들어 주고 지켜줄 도움의 손길을 '홀든'은 방황하는 내내 마음 속에 품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도움을 바라는 마음은 여동생 '피비'와의 대화에서 좀더 분명하게 드러나며 '피비'의 홀든을 향한 애정과 관심은 '홀든'을 절벽으로 부터 붙들어 주는 도움의 손길이자 희망의 끈이 되어준다.

10대 소년들이 말하는 직설적이며 단순한 화법을 구사한 <<호밀밭의 파수꾼>>은 성장 소설이며 그 이면에는 기성세대와 속물근성으로 뒤덮인 사회를 보여줌으로서 상실의 시대에 대한 냉정한 비판을 '홀든'을 통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10대 소년들의 방황과 속물 근성 속에서 살아가는 상처 받은 영혼들의 외침은 '홀든'의 방황 가운데서 이야기 되며 그들을 지켜주는 '파수꾼'에 대한 <<호밀밭의 파수꾼>>의 이야기는 기성세대에게 자성과 반성을 촉구하며 희망과 절망의 절묘한 대비 속에서 설득력 높은 호소력을 담고 있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