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으로의 긴 여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9
유진 오닐 지음, 민승남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유진 오닐'이 헌정사에도 밝혔듯이 이 작품은 작가의 묵은 슬픔의 기억들을 희곡으로 적어내린 작가 자신의 이야기이다. 작가 '유진 오닐'은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이며 <<지평선 너머>>, <<안나 크리스티>>, <<기묘한 막간극>>, <<밤으로의 긴 여로>>를 통해 총 4회에 걸쳐 퓰리처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기도 하였다. 반면 활동기 시절의 작가 '유진 오닐'의 성공의 모습은 어릴적 암울했던 시절로 점철된 과거로부터 슬픔을 안고 살아가는 인물이기도 하였다. 결국 '유진 오닐'은 1941년 그 자신의 어린 시절과 마주보고 그 시절의 이야기를 '티론 가족'이라는 작품 속 캐릭터들을 통하여 깊은 연민과 이해와 용서를 담아 <<밤으로의 긴 여로>>를 쓰게 된다.

<<밤으로의 긴 여로>>는 '유진 오닐'에게 4번재 퓰리처상을 안겨준 의미있는 작품인 동시에 그의 생전에는 발표되지 못하였던 작품이다. 작품 속 등장 인물들은 작가의 어릴적 가족의 모습을 모델로 하였으며 작품의 내용 또한 생전의 경험과 기억을 기반으로 하였다. 하지만 이 기억은 아픔과 상처의 기억이자 작가의 치부와도 같은 이야기였다. 작가는 자신의 비극적인 가족사가 자신의 생전에 공개되는 것을 감당할 수 없었지만 과거의 이야기를 하지 않고서는 참을 수 없는 슬픔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 또한 잘 알고 있었다. 돈과 명예를 좇아 살아가는 아버지는 작품 속 '제임스 티론'이라는 인물로 마약중독자였던 어머니는 '매리 캐번 티론'으로 그리고 두 아들을 통해서 자신의 형 제임스 오닐2세의 벌거벗은 모습이 <<밤으로의 긴 여로>>에 담겨져 있다. '유진 오닐'의 실제 가족사를 바탕으로 하였기에 더욱 사실감 있는 묘사와 감정들이 반영되었다.

정상적인 가족처럼 보이는 '티론 가족'은 어릴적 '유진 오닐'의 기억처럼 음울한 분위기 속에서 등장하게 된다. 무거운 분위기와 보이지 않는 두려움들은 작품 속 주인공들로 하여금 현실을 도피하기 위한 여러가지 수단을 택하게 된다. '티론'은 가난을 '메리'는 의사탓을 '에드몬드'는 유명한 비관주의 작가들을 탓하지만서도 자신들에 대해서는 한없이 변호를 하며 상대를 비난하고 상처입힌다. 이들의 이야기는 절망과 그리고 비관으로 가득차 있지만 작가인 '유진 오닐'은 이들에 대하여 '깊은 연민과 이해와 용서'로서 <<밤으로의 긴 여로>>를 쓰기에 죽어버린 슬픈 인물들이 아닌 새롭게 숨쉬는 작품 속 인물들로 거듭 나게된 것이다. 작가는 '운명'에 얽매여 망가져가는 '가족들'의 모습에서 미움을 말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렇기에 자전적인 그의 이야기는 인간의 보편적 진실로서 관객들과 독자들에게 다가서며 진정한 예술 작품으로 남게된다.

리얼리즘을 바탕으로 묘사된 '유진 오닐'의 가족이야기는 '유진 오닐'의 삶의 또 다른 모습이 아닌 그 자체였기에 더 감동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비록 말년에 이르러서 '유진 오닐'은 병환으로 세상을 떠나지만 <<밤으로의 긴 여로>>는 밤이 아닌 빛으로서 세상 밖에 나와 많은 사람들에게 가족의 의미와 용서와 이해를 구하는 가장 훌륭한 '유진 오닐'의 대표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