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문학 작품 가운데서도 '헤르만 헤세'의 작품은 내면의 완성, 영혼에 초점을 둔 작가로서 경지에 이른 작가라고 말할 수 있다. 마음의 공허함과 방황을 하는 이들에게 들려주는 '헤르만 헤세'의 작품 세계는 그들이 원하는 해방을 위한 '이정표'이기도 하다. 서양의 철학적 사고를 통한 그의 사유와 작품의 전개방식은 다시 동양적 사고 방식과 합쳐져 오늘날 '서양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의 혼합의 형태인 <<싯다르타>>라는 작품으로 탄생되었다. <<싯다르타>>는 동양적 사고와 수행의 방법과 완성된 자아로의 여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동양의 '윤회'사상과 '열반'에 대한 묘사등 작가는 기존의 방법과는 다른 또 다른 형태의 길을 설명한다. 작품 속 주인공 '싯다르타'는 브라만 계급 출신의 인물로서 현명하고 사랑받는 존재이다. '싯다르타'는 사람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좋은 이야기를 하여 힘이 되어준다. 사람들은 '싯다르타'로부터 마음의 위안을 얻고 행복해 하지만 반면 '싯다르타'는 자기 스스로는 만족하지 못하는 '내면의 불만'을 안고 살아간다. 이러한 '내면의 불만'이 누적되어 결국 '싯다르타'는 모든것을 비워내어 완전함을 이루고자 하는 열망을 목표로 수행을 떠난다. 친구인 고빈다와의 사문 여행의 동기를 통해 우리는 '싯다르타'의 여정에서 '공허함'과 '불만'을 채우기 위한 수행의 경험과 가르침을 접하게 된다. '싯다르타'의 수행은 '고행'으로 여겨지는 '심신의 수양'을 기반으로 한 '육체적 수행'과 '정신적 수행'이었다. 이 기간동안 '싯다르타'는 끊임없이 원점으로 돌아오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윤회'의 흐름을 발견하게 된다. 이 '윤회'의 흐름을 정지시킨 인물인 '고타마'와의 만남은 '싯다르타'의 또 기회였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가르침을 받더라도 깨달아야 하는 자는 자신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고 다시 수행을 떠나 '속세'를 통한 가르침을 받게 된다. '삶'가운데서 배우는 '싯다르타'가 도달하는 '열반'의 경지 이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통하여 '헤르만 헤세'는 독자들에게 '삶'의 의미와 가르침을 배워 나아갈 것을 말하며 '깨달음'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싯다르타>>의 줄거리는 '싯다르타'라는 인물의 '열반'으로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이야기 한다. 이러한 과정 가운데서 등장하는 여러가지 문제들과 가르침은 작가자신의 '깨달음'에 대한 비유로서의 가르침이기도 하다. 반면 작가는 한쪽으로만 치우친 수행이 이루어지게되거나 해석될 경우 오해의 여지를 살 수 있다는 점에서 '정신의 수행'과 '육체적 수행'을 함께 이야기 한다. 이러한 양측이 균형을 이루는 가운데서 작가는 끊임없이 '사유'하고 '노력'하는 자세로 '내면'을 들여다보고 '깨달음'을 얻기를 권한다. '통합'의 의미에서 작가는 '개인적' 통합의 끝은 곧 '모든 것' '대중적' 이며 '사회적' 통합을 보여주며 이 가운데서 우리는 동양의 사고방식과 서양의 사고 방식의 궁극적 지향점 비록 다른 언어를 사용하나 완성된 목표로서의 결말을 작품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진리'를 탐구하는 자로서 보이지 않는 것을 가시적으로 형상화 시키기 위한 작가의 노력은 독자들에게 풍성한 가르침을 주고 있다. 반면에 작품의 종교적 색채가 묻어 나는 것에 빠질 경우 우리는 작품의 의도와는 다른 논쟁 혹은 거부감에 빠져서 작가의 의도를 바로보지 못하게 되며 잘못된 관점을 통하여 작품 속 생각과 대립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