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망 없는 불행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5
페터 한트케 지음, 윤용호 옮김 / 민음사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망 없는 불행>>은 수면제 과다 복용으로 자살한 어머니를 그리는 '화자'의 이야기이다. 화자는 어머니를 잃은 슬픔 가운데서도 어머니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글을 써내려간다. '어머니'라는 존재에 대한 감성적 복받침으로 인하여 헝클어질 수 있는 '화자'의 글은 작가로서의 마인드와 직업의식을 통해 절제되어지고 최대한 보편적 진실을 탐구하는 형태로 글을 쓴다.
'화자'의 기억과 가슴에 생생히 살아있는 '어머니'는 가난으로 어려운 환경 다시 말해 치욕으로 생각되던 그 시절에도 꿋꿋이 살아갔으며 '화자'에게 삶과 책을 함께하여 어린 시절의 '화자'에게 작가의 소양을 쌓아주었다. 화자에게 있어서 '어머니'란 삶의 전체를 완성시켜주며 삶 가운데서 뗄레야 떼어낼 수 없는 존재이다. '어머니'에 대한 추억에 대한 '화자'의 이야기는 기실 작가 '페터 한트케'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소망 없는 불행>>은 작가의 자전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글이며 자신에 대한 탐구의식을 통해 '어머니'라는 존재를 설명한다. '어머니'를 소개하는 작가의 마음은 어린시절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연민을 가진 독자들에게 숙연한 마음을 들게 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소망 없는 불행>>에 실려 있는 두번째 글은 <<아이 이야기>>이다. '페터 한트케'의 자전적 글들의 특징답게 <<아이 이야기>>는 '페터 한트케'가 결혼한 첫째부인과 결별 후 홀로 키운 아이에 관한 경험이었다. '화자'는 딸 아이의 출생을 통해서 삶의 만족과 완성을 경험한다. 반면 '화자'의 감정이 단순히 '부모'로서가 아닌 경외감과 신비함마저도 함께 가지고 있는 마음임을 글의 초입 부분에서 읽을 수 있다. '아이'란 '화자'의 삶에 있어서 중심이 되고 '화자'를 존재를 가치있게 만드는 힘이기도 하다. 아이의 성장하는 모습과 사고등을 회상하면서 '화자'는 매우 따뜻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세밀하게 '아이'에 대하여 묘사한다. 이러한 묘사야 말로 '아이'에 대한 '화자'의 관심이자 사랑의 결정판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화자'에게 있어서 아이란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아닌 '세상 그 자체'와도 견줄 수 있는 존재로 묘사된다.

<<소망 없는 불행>>과 <<아이 이야기>> 두 이야기의 공통점은 '화자'의 자신에 대한 탐구적 성격이 짙게 드러나는 글이다. 작가 '페터 한트케'의 삶의 반영이 많이 이뤄진 두 작품이기에 자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두 이야기는 저작 시기가 약 8년의 기간이라는 점에서 '페터 한트케'의 문학의 발전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알수 있게 해준다. <<소망 없는 불행>>에서 한없는 비탄과 슬픔을 억누르며 회상하는 글을 남긴 과거와 달리 <<아이 이야기>>에서는 행복을 담담하게 서술하는 발전을 이뤄낸다. 작가로서의 정신과 직업 의식으로만 본다면 '페터 한트케'의 글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프로'로서 더욱 진일보한 글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페터 한트케'의 자전적인 두개의 글을 통해서 우리는 '페터 한트케'의 문학 세계에서 해방감을 느끼게 된다.

작가의 '성장'을 통해서 독자는 작가가 보여주는 '이미지'를 발견하게 되며 그 '이미지'를 바라봄으로서 마음의 안식과 평안을 얻게 된다. 아무런 생각도 하지 못하고 책속에 빠져서 몰입되어가는 '페터 한트케'의 글들은 오늘날 우리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 잡은 슬픔과 연민의 감수성을 깨우는 힘이 담겨져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