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의 핵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
조셉 콘라드 지음, 이상옥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셉 콘래드'는 네덜란드에서 출생하여 영국으로 귀화한 문학 작가이다. 작품을 쓰기전 그의 직업은 선원이었다. 젊은 시절 선원으로 지내면서 다닌 다른 세계와의 만남은 '조셉 콘래드'의 작품의 소재이자 방향을 잡아준 소중한 경험이었다. '조셉 콘래드'는 당시의 경험을 살려 여러 작품들을 남겼는데 <<암흑의 핵심>>은 '콘래드'가 화자인 '말로'의 입을 통해 항해시절 직접 보고 듣고 느낀 바를 독자들에게 전달한다. 독자는 식민지 시대를 보내는 우울한 그림자에 휩싸인 검은대륙 아프리카에서 벌어진 일들을 통하여 '콘래드'의 '모험'과 '꿈'과 궁극적으로는 '작가가 말하는 탐구'라는 여정 속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암흑의 핵심>>은 화자인 '말로'가 전해주는 모험담이다. '말로'는 아프리카 콩고 지역으로 가서 무엇을 보고 무엇을 느꼈는지를 모험의 형식으로 이야기를 전해준다. 독자는 화자의 이야기를 통해서 그 당시 콩고에서 벌어진 우리가 배운바 있는 그리고 아직 배우지 못한 부분들인 식민주의의 어두운 면을 보게된다. 실제로 작가 '콘래드'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의 대한 희망과 꿈을 가지고 있었지만 작가가 되기 전 방문한 아프리카에서 그 꿈과 희망은 상처입었다고 말한다. 검은 대륙 아프리카는 작가가 꿈꾸던 에너지 넘치는 신비한 땅이 아니였다. 그곳은 서구제국주의가 발을 내딛고 그 영역을 확장 시켜 나가는 혼란의 대륙이었다.
화자인 '말로'가 전해주는 내용이 소설이라는 허구라고 말한다면 작가인 '콘래드'의 경험담은 실제적인 경험이다. 그렇기에 <<암흑의 핵심>>은 실제와 허구라는 경계가 무너져서 하나로 섞여버린 작품이다.
작가는 '말로'를 통해서 자신이 보고 느낀 바를 설명하면서 한편으로는 작가 자신의 의도를 배제하려는 느낌을 주고 있다. 그렇기에 단순히 이 작품이 작가의 사상을 모두 반영하고 있다고 말하기가 부담스럽다. 작가는 분명 서구 제국주의가 검은대륙을 어떻게 유린하고 있는지를 말하지만 한편으로는 문명과 문명의 충돌을 체험한 '말로'의 인간에 대한 이해로 시선을 돌리게 만든다. 서구라는 문명 속 인간과 아프리카 문명 속 인간들에 대한 탐구내용은 작품의 또 다른 줄기이다.
화자인 '말로'가 바라보는 인간 탐구는 '커츠'라는 주재원이다. '커츠'는 화자가 콩고에서 데리고 나오게 될 인물이며 화자의 관심이 향하고 있는 대상이다. '커츠'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회사의 입장에서 능력있는 사원으로 원주민들에게 있어서는 악질적인 사람이다. '커츠'를 바라보는 관점이 어느 부분에 놓여 있느냐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는 건 어쩔수 없지만서도 그가 망가진 인물의 표상이라는 점은 공통적인 생각이다. '커츠'의 이러한 타락한 심성과 망가짐은 '암흑' 속 핵심에 대한 본질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암흑'의 가장 핵심은 사실 누구도 볼 수 없는 곳이다. 암흑이란 말그대로 빛이 없는 공간이며 빛에 의존하여 사물을 바라보는 인간에게 암흑의 공간은 시계를 허용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그 핵심에 무엇이 자리 잡고 있는지는 우리는 알 수 없다. 단지 비유로서 그 핵심을 이해할 따름이다. 화자 '말로'의 입을 통해서 보여주는 '커츠'와 식민지 내의 백인들은 그 비유에 등장하는 핵심을 이해하기 위한 인물들이다.
'말로'는 '커츠'를 소개한다. 하지만 이러한 소개는 '말로'자신이 커츠와 반대되는 자가 아닌 '이해하는 자'로서 동질감을 가지고 소개가 이뤄진다. '커츠'에 대한 동질감이 바로 '커츠'를 독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근원이 되어 자세한 설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화자와 동일시 되는 '콘래드'도 이미 암흑의 일원이 아니였을까? 화자의 입을 통해서 암흑을 설명하는 그는 암흑을 이해하는 또 다른 동지였을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작가는 '검은 대륙'에서 암흑을 보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꿈이 깨어지며 잘못된 자아를 보고 돌아와 이렇게 독자들에게 글을 남기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지식을 추구하는 자는 이미 지식을 갖춘 자라는 말 처럼 '암흑'의 실제를 보고 돌아온 '콘래드'는 '암흑'에 속하였다가 '빛을 바라보고 돌아온 인물'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