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곡 - 연옥편 - 단테 알리기에리의 코메디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51
단테 알리기에리 지음, 박상진 옮김, 윌리엄 블레이크 그림 / 민음사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세 유럽의 르네상스를 주도한 인물인 '단테 알리기에리'의 역작 <<신곡>>의 2부격에 해당하는 글이 바로 [연옥편]이다. '단테'는 사후세계에서 지옥과 천국 사이의 '완충지대' 어찌보면 시대를 살아가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중립자들을 위한 세계인 '연옥'을 무대로 글을 쓰고 있다. '연옥'의 개념은 '개신교'와 '카톨릭'의 입장차이가 있는 곳이기에 이 공간에 대하여 신학적인 입장을 생각하고 기독교의 전체적 교리가 담겨져있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는 점을 먼저 밝혀둔다.

'단테'의 <<신곡>>이 가지고 있는 매력은 현세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다른 세계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현세의 삶을 되돌아보게 만든다는 점이다. 이 가운데서 신앙이 없는 사람조차도 <<신곡>>을 읽고 자신의 삶을 되짚어 보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계몽적인 역할로서 사람들에게 깨우침을 주는 '단테'의 글에서 [연옥편]은 중간자들 세상을 어느 한쪽에 치우치며 살아가지 않는 자들에게 와닿는 가장 열려있는 공간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연옥편]에 등자하는 연옥의 구조는 지옥과는 반대이다. 지옥이 원뿔형을 통해 밑으로 내려가는 구조라면 연옥은 하늘로 솟구친 산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단테'는 연옥의 입구를 지나 계단을 오르고 난뒤에 '연옥 문'앞에서 'P'자 일곱개를 머리에 새김 받는다. 일곱개이 고리를 지나 올라갈때마다 'P'자는 한글자씩 지워지고 지상의 죄가 모두 씻김을 받게 된다. [연옥편]의 핵심은 바로 의지의 회복이다. '지옥'에 놓여진 자들이 절망하고 괴로워한다면 '연옥'의 사람들은 괴로워하는 가운데서 '회복'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시간을 보내고 있다. 단테가 여행한 '연옥'은 오만-질투-분노-태만-사치-탐욕-애욕의 죄를 지은자들이며 이들은 정죄받고 희망을 가지고 각 고리에서 구원의 기회를 위해서 노력하는 이들이 존재한다.

'단테'의 신곡 중 [지옥편]을 [연옥편]과 연결해서 여정을 살펴 보자면 여행은 계속 위로 향해서 나아가는 모습이다. 지옥에서 알지 못한 사실이 '연옥의 여정'을 통해서 좀더 구체화된다. 연옥의 여정 가운데서 우리는 내가 무엇을 했었나를 생각하게 되며 이 가운데서 얻어진 깨달음을 통해 자신의 죄를 정죄받고 위로 올라가게 된다.

<<신곡>>의 두번째 장이자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논쟁이 되는 [연옥편]의 구조는 기실 종교적 색채를 벗어난다면 큰 무리없이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가장 좋은 장이기도 하다. 삶 가운데서 소망도 희망도 없이 살아가던 이들이 놓여진 현실 앞에서 우리는 자신을 반성하고 삶의 의미를 찾아보게 된다. 중세 카톨릭의 교리를 재미있고도 흥미롭게 펼쳐놓은 정죄받는 순간들과 방법론 또한 색다른 재미라고 말할 수 있다. 지옥의 저주와 절망을 뒤로 한채 구원을 갈망하고 희망하는 자들이 놓여진 '연옥'은 '지옥'과는 또 다른 세계를 통하여 열정을 가지고 살 것을 말한다.
[지옥]과[연옥]은 죄인들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죄가 씻김을 받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 가운데서 우리는 중세문학의 특징인 '회개'의 정수를 맛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