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미카엘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5
아모스 오즈 지음, 최창모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년간 노벨 문학상의 후보로 추천되었던 '아모스 오즈'는 작가의 운명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는 작가이기도하다. 글을 쓰는 행위 자체가 작가의 삶이자 운명이라는 생각은 대부분의 문호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일듯 싶다. 이스라엘에서 태어나 예루살렘 히브리 문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러시아 문학 작품의 영향을 받은 '아모스 오즈'는 지적인 작가로서 아름다운 문체와 다양한 언어 그리고 사회를 바라보며 조화와 통합을 이루려는 작가의 시도는 아직은 생소한 '이스라엘 문학'작품에 대한 아름다운 만남으로 다가온다.
<<나의 미카엘>>의 '화자'는 주인공인 '미카엘'의 아내이다. '미카엘'과 '화자'의 결혼전 처음 만나는 순간 부터 시작되는 '화자'의 글은 연인이라면 한번쯤 꿈꿔볼만한 그런 우연한 만남(계단에서 미끄러지고 그것을 잡아주는 남편과의 만남은 단순한듯 하면서도 낭만적이다.)이었다. '사랑'의 감정은 천천히 그러면서도 그 온도를 잘 유지하여 두 사람을 연결해준다. '반복되는 만남'을 통하여 서로를 소개하고 이야기 하는 가운데서 전개되는 '사랑'의 발전은 '결혼'이라는 지점에 이르기까지 계속 상승하여 정점을 찍는다. 이후 '사랑'의 감정은 어떻게 될까?
작품을 본다면 독자는 화자의 결혼 생활을 통해서 그리고 화자의 대화를 통해서 그녀의 안타까움과 채워지 않는 갈증을 보게 된다. 화자가 말하는 '나의 미카엘'이라는 호칭에서 우리는 따뜻한 사랑과 배려를 볼 수 있다. 이 둘의 갈등 구조가 바로 화자의 내면의 갈등이자 불안정한 감정들이다.

화자가 말하는 작품 도입 부분의 강한 인상을 주던 자신을 지켜주던 그 팔은 사실 화자의 착각이나 마찬가지였다. 남성다움으로 보여지던 그의 모습은 결혼 후 시간이 흘러가면서 서서히 화자의 생각을 현실로 바라보게 된다. 기실 미카엘은 높은 이상향을 성취하려는 의욕도 없고 한계보다는 만족을 추구하는 연약한 일반 남성일 뿐이었다. 그녀의 연애 시절의 꿈은 '결혼'이라는 정점이후 점차로 퇴보하고 무너져서 그녀를 절망 가운데로 내몰게 된다. 그녀의 꿈과 환상은 '결혼'생활을 통해서 깍혀지고 떨어져 나가 부정되고 자꾸만 작아진다.

작가 '아모스 오즈'는 화자를 통해서 '이상'과 '현실'을 화자의 이야기를 통해서 독자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꿈이 없는 자들에게는 꿈을 꿈을 꾸는 사람들에게는 현실을 지적하고 말한다. 화자의 '꿈'의 붕괴는 오늘날 현실을 도피하고 꿈에서 위안을 찾는 현대인들에게 주는 메시지이다. '사랑'과 '꿈'속에서 보호받던 화자의 변화되는 삶의 모습은 오늘날 현대인들의 삶을 보여준다. 화자는 '사랑하는 힘이 죽어가고 있다'고 고백하며 자신은 아직 죽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화자의 절망의 고백에 대하여 우리는 무엇이라고 답할 수 있을까?

이스라엘의 문학 작품에 대하여 우리는 아직 많은 것을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인들은 이스라엘을 주목하고 있으며 그들의 문학을 높이 평가한다. 다른 누구보다 많은 글들을 고전시대부터 보유하였던 히브리인들의 문학은 깊이 있고 아름답다. 서정적인 문체와 아름다움으로 삶에 대한 환상과 냉철한 지적을 통한 현실적 사고를 보여주는 작가의 능력이 돋보이는 <<나의 미카엘>>은 이스라엘 문단에 등장하여 가장 많은 동감을 얻어냈다. 메마르고 불안한 현대인의 삶을 살아가는 '이상주의자'들에게 보내는 작가의 꿈과 현실의 통합과 조화의 메시지는 더이상 어느 한쪽에 사로 잡혀서 살아가지 말것을 이야기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