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솝 우화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4
이솝 지음, 유종호 옮김 / 민음사 / 2003년 4월
평점 :
품절


 
기원전 6세기경에 살았다고 추정되는 '이솝'은 다양한 우화를 통해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글들을 남긴 구전작가이다. 출신과 사망 원인등 그 모든것이 정확하지 않은 작가 '이솝'에 대해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에 따르면 그는 노예출신이라고 말한다. 노예라고 하면 비천하고 낮은 계급이며 정규적인 학습을 받지 못한 이들이 떠오르겠지만 실상 그리스의 노예는 전쟁에 패하여 생성된 패전 노예들이 존재하였다. 그들 중 일부는 '지혜로운 자들' 혹은 '힘이 센 자들', '학식 있는 자들'이 있었다는 점에서 노예에 대한 우리의 편견만 버린다면 색다른 흥미 요소이기도 하다.

<<이솝 우화집>>이 기록될 당시 사실상 대부분의 이야기가 그러하듯이 당시 이야기
는 구전이었다. 구전이란 입에서 입으로 전달되는 이야기이다. 작가 '이솝'은 그리스에서 당시 알려진 재담가였으며 그의 입을 통해서 나온 다양한 이야기들은 동물과 사람 그리고 다양한 자연에 빗대어진 흥미롭고도 재미있는 이야기들이었다.
'이솝'의 글들만 따로 추려서 글을 만드는 작업은 사실 어려운 일이다.과거의 유명한 사람의 이름을 빌려서 자신의 글을 홍보한 다른 작가들이 존재했다는 사실과 너무 오랜 기간 흘러버린 시간, 그리고 작가에 대한 고증을 밝혀내기 어렵다는 점에서 <<이솝 우화집>>의 각각의 내용들은 오늘 까지도 연구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이솝 우화집>>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직면하게되는 다양한 문제와 그 해결 방법들을 비유를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어릴적 한번쯤은 들어 보았을직한 이야기들이 <<이솝 우화집>>이다. 유대인의 <<탈무드>> 그리고 <<한국 전래동화>>처럼 어린 아이들가 어른들 모두에게 인기가 있는 <<이솝 우화집>>은 그림책, 이야기책, 애니메이션등 다양한 형태로 출판되어 사랑받고 있다. <<이솝 우화집>>이 다른 작품들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이솝'의 작품이 도덕적인 부분에 얽매여 있지 않다는 점이다. 작품 속 글을 자세히 보면 때로는 목적을 위해서 속이거나 거짓을 말하여 위기를 벗어나는 글도 있으며 상대를 조롱하거나 책망하는 내용들도 있다. 즉 작품은 '도덕'과 '신'에 대한 순종등을 강조한 고전작품과는 달리 '인간의 삶'과 '인간의 생활'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이솝 우화집>>의 이러한 작품 특징은 작품이 어린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다기 보다는 '성인'연령층에게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린 아이'를 눕히고 들려주던 어머니와 할머니의 이야기라기 보다는 여러 사람들이 모인 장소에서 '이야기'가 더 잘 전달되었을 것이다.

<<이솝 우화집>>의 수많은 글들을 바라볼때 이러한 점들을 생각한다면 화자가 전하고자 하는 삶의 지혜가 좀더 잘 다가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초기의 철학의 모습처럼 인간의 삶에 직접적인 가르침보다는 작가의 삶에 대한 이해를 우화로 풀어 내어 설명한 방법은 작가의 사고를 좀더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07편의 내용으로 구성된 <<이솝 우화집>>을 통해서 수천년전 그리스에서 이름을 날린 작가 '이솝'을 만나고 그가 말해주는 다양한 '삶의 방식'을 통해 오늘날 현대를 살아가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과 잘못된 습관 그리고 생각들을 되짚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솝 우화집>>의 매력적인 모습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