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렐의 발명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5
아돌포 비오이 카사레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아돌프 비오이 카사레스'(이하 카사레스)는 중남미 문학의 거장으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또 다른 거장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와 평생 지기이도 한 카사레스는 비현실적인 환상과 현실을 절묘하게 조합하여 몽환적이고 아름다운 작품을 만들어 낸다는 점이 특징이다.
<<모렐의 발명>>은 가상으로 만들어진 인물이 실제 인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 가운데서 나타나는 현상을 표현하기 위한 SF거장들의 선구자 역할을 하는 작품이다. '모렐'의 아름다운 모습과 비현실적인 로맨스가 펼쳐지는 공간에서 우리는 환상과 가상현실 가운데 이뤄지는 일들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모렐의 발명>>의 작품 속 주인공이자 화자에 대한 이야기를 읽기전 한가지 언급하고 이야기 하고픈 것은 작가의 서문이다. 보통 작가의 서문이 작품에 쓰일경우 작가는 작품을 쓰게된 이유에 관하여 매우 의미심장한 단서나 언급을 남겨놓는다. <<모렐의 발명>> 서문 또한 작가 '카사레스'의 작품의 의도와 창작의 기본 정신이 잘 담겨져 있기에 작품을 이해하고 읽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작가는 <<모렐의 발명>>이 당시의 소설의 흐름과 형식에 구애를 받지 아니하며 새로운 장르와 생각을 기초로 하여 작성되었음을 서문에 언급하고 있다. '카사레스'는 서문을 통해 단순한 상상력에 의한 의미없는 글을 남기지 아니하고 '합리적인 상상력'을 기반으로한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기 위해 고심하고 <<모렐의 발명>>을 집필하였다고 말한다. 작가의 창조적이고 새로운 시도가 살아 숨쉬는 <<모렐의 발명>>이 가지고 올 파장은 그의 서문에서 언급하였듯이 독자들에게 새로운 것을 만나게 하며 문학의 새 장르를 열어가는데 매우 중요한 일익을 담당한다. 이러한 작가의 서문을 통해서 우리는 오늘날 초기 SF문학으로도 불리워질 수 있는 작품을 보고 또 한편으로는 섬세하고도 아름다운 언어의 유희를 통하여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모렐의 발명>>
은 제목처럼 독자들에게 '새로운 발명'으로서 다가 온 문학계의 큰 흐름의 시작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모렐의 발명>>속 화자는 주인공의 역할도 함께 한다. 주인공은 '빌링스'라는 섬으로 도망쳐 온 사형수이다. 그는 사회에서 받은 판결로부터 도망친 사람이며 생명에 대한 욕망으로 스스로 섬에 들어와 고단한 삶을 이어가고 있다. 매일 반복되는 일상 가운데서 얻어지는 고단함은 그가 가지고자 열망했던 생명에 대한 욕망으로 버티는 삶을 살아간다. 그런 그의 삶에 한무리의 사람과 매일 오후에 바위위에 앉아 석양을 바라보는 아름다운 '여인'은 '화자'의 고독과 욕망에 대한 해방구이자 삶의 새로운 가치이다. '여인'에 대한 갈망과 주변의 반복적인 일상 등은 '화자'의 오감을 새롭게 바꾸며 '화자'로 하여금 진실에 다가서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
작품은 신비하면서도 몽환적이다. 인적이 드문 섬에서 외로이 숨어 사는 화자, 매일 오후마다 석양을 바라보는 여인 '포스틴', 매번 똑같은 대화와 행동을 반복하는 인물들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이 시각, 청각 모든 것을 체험케 하는 가상의 현실이었다는 사실은 한편으로는 섬뜩하고 우울하게 만들며 다른 한편으로는 매력적이기도 하다. 기존의 소설들이 시간의 틀안에서 전개된다고 말할때 <<모렐의 발명>>은 가상의 현실 가운데서 펼쳐지는 반복되는 영속의 시간이다. 이 영속의 시간은 인위적
조작에 의해서 조정되며 화자는 그 가운데서 새로운 욕망과 사랑 그리고 고독을 이야기 한다.
작품의 세가지 시점과 구성은 서로 대립하며 갈등을 일으키는 구조로 이뤄져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모렐의 발명>>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균형(가상의 여인과 현실의 화자의 사랑)처럼 절묘하게 균형을 이룬다. 마치 어느 한쪽이 부정되고 새로운 것이 진실임을 주장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세계로의 시작점으로서 작품이 자리 매김한 것처럼 <<모렐의 발명>>은 독자로 하여금 균형잡힌 합리적 사고와 언어의 유희의 향연에 발을 내딛게 만들며 앞으로 벌어지게 될 미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