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홍 글자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59
너대니얼 호손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나다니엘 호손'의 천재성이 유감없이 발휘된 <<주홍 글자>>는 '죄'와 관련하여 파멸과 구원을 이야기 한다. 작품 속 분위기는 시종일관 어둡다. '죄'의 기독교적 속성을 이해한다면 <<주홍 글자>>가 가지고 있는 분위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간통의 죄'는 <<주홍 글자>>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끌어 나가는 주제이다. '죄'에 대한 불편함 속에 숨겨진 사회와 인간의 나약함을 파헤치고 독자들에게 보여주는 작가의 솜씨는 '너새니얼 호손'의 천재성이 발휘된 작품이라는 평가가 과대포장 되지 않았음을 독자로 하여금 인정하게 만든다.

<<주홍 글자>>는 '간통이라는 죄'에 얽혀있는 세 인물들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내면을 드러내는 작품이다. <<주홍 글자>>의 배경은 17세기 미국의 보스턴에 자리한 청교도 마을이다. 마을은 기독교의 규율을 중시하며 살아가는 이들로서 '십계명'(기독교의 가르침 중 모세가 하나님으로 받았다고 하는 10가지 계명)을 준수하고 순수함과 신성을 꿈꾸는 곳이다. 이러한 마을에서 '간음의 죄'를 저지른 '헤스터'의 존재는 불편하며 배제되어야 할 대상이다. 종교적 계율과 계율을 바탕으로한 규범이 가진 힘아래에서 '헤스터' 본능적이며 굴복하지 않는 새로운 힘으로 표현된다. 그녀는 사회가 그녀에게 씌운 굴레로부터 당당함을 자랑한다. 작가는 '헤스터'와 '마을'(사회)를 대립 시킴으로서 갈등과 긴장의 관계를 보여준다. 오늘날 간통=죄라는 개념의 이해와 달리 작품 속 마을의 '간통'이란 단순한 본능의 사건이 아니다. '간통'은 지켜야할 가르침에 위배되는 행위이며 죄는 곧 그들의 이상향 유토피아로 가는데 있어서 배제되어야 할 대상이다. 그렇기에 '헤스터'와 '마을'의 대립과 긴장 관계는 더욱 역동적이며 팽팽하다. '헤스터'의 작품 속 역할을 자세히 본다면 우리는 그녀의 당당함으로부터 기존의 체제와 질서에 대한 역동하는 시대적 사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헤스터'의 상대역인 '딤스테일'은 그녀와 반대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딤스테일'은 마을의 목사이다. '목사'의 자질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청렴하고 결백하며 모범이 되어야 할 '딤스테일'은 '헤스터'와 간통을 일으킨 죄인이다. '헤스터'가 자신의 죄를 드러내놓고 자신의 삶을 살아간다면 '딤스테일'은 죄로 인하여 괴로워한다. '헤스터'가 가지고 있던 '죄'는 그녀의 자유와 본능의 삶에 의해 무게가 덜어졌다면 '딤스테일'목사의 죄는 그의 신앙에 의해 '끊임없이 책망받는다. 이후 등장하는 '헤스터'의 전남편인 '칠링워스'의 복수 또한 '딤스테일'목사의 죄의 댓가를 지불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죄'를 생각지 않는자와 '죄'에 사로잡혀 책망 받는자 이 둘 가운데서 '죄'를 징벌의 수단이자 동기로 바라보는 존재 이들 모두는 '죄'를 통해 바뀌어져 나가는 삶을 살아가게 된다.

<<주홍 글자>> 속 '죄'의 개념을 기독교적 해석으로 바라본다면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거나 단절되는 원인이다. '죄'는 수치로서 다가오며 대사으로 하여금 그 마음을 짓누른다. 그렇기에 '죄'는 책망의 대상이다. '인간'은 죄로부터 멀어지기 위해 더욱 '신앙'의 삶을 살아가며 '죄'를 범할경우 멀어진 혹은 단절된 관계에 대한 회복을 갈망하게 된다. 즉, '죄'는 인간의 구원으로 가는 길목에 놓여져 '구원'으로 향해 나아가는 이들에게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죄'의 본질적인 측면은 인간 모두에게 있으며 '죄'로 말미암아 더욱 구원을 사모하게 되는 모습 또한 바라 볼 수 있다. '죄'를 지적함으로서 질서를 유지하는 '마을'과 '죄'에 대한 회개와 댓가를 지불함으로서 '구원'으로 나아가는 이들을 통해서 종교적 색채를 독자들은 바라볼 수 있다.

<<주홍 글자>>는 '허구'속 인물들을 통한 '현실'바라보기가 잘 적용된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당시의 시대와 정신을 보여주며 한편으로는 '허구'속 인물들을 통해 모순과 거짓을 지적하고 시대 정신에 대하여 반기를 든다. 그렇기에 평가는 유보적이며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으며 많은 다수의 기독교 인들에게 불편한 책일 것이다. 하지만 작가의 시선을 통해 작가와 시대가 요구하는 대상으로서 '헤스터'와 '딤스테일'을 바라본다면 독자는 상상력과 현실이 잘 조화된 공간에서 관습과 체제에 대한 봉기 그리고 새로운 해석들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